물관리자동화시스템을 위한 관개조직운영모형의 개발

  • 박기욱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Keywords

References

  1. 김현준, 박승우, 1988, 관개용수로에서의 수면곡선 계산, 한국농공학회지, 30(3), pp.114~120
  2. 김선주, 김필식, 윤찬영, 박재홍. 2001. 물관리자동화시스템을 위한 개방형 운영프로그램 개발, 한국농공학회지, 43(5), pp.93~92
  3. 김시원, 김철기, 김기춘, 1994, 신고농업수리학, 관개배수, 향문사
  4. 농지개량조합연합회, 1996, 물관리 및 유지관리 편람(농조 수리 시설), 농지개량조합연합회
  5. 白石英彦, 中道宏, 1993. 농업수리계획을 위한 수리모델 시뮬레이션 기법, 토지개량기술정보센타, 日本
  6. 水文水資源學會, 1998. 수문수자원 핸드북, 朝會書店. 日本
  7. 이남호. 1989. 관개지구 물관리조직의 일별 모의 조작, 서울대학교박사학위 논문
  8. 이남호, 정하우, 박승우. 1990. 관개조직의 일별 모의조작, 한국농공학회지, 32(3). pp.67~78
  9. 이남호, 정하우, 박승우, 1991. 관개지구의 관개량 예측, 한국농공학회지, 33(1), pp.118~125
  10. Haagsma, IJbrand G. and Johanns, Remco D.. 1994, Decision support systems, and integrated and distributed approach, In: annetti. P.. Computer Techniques in Environmental Studies V. Proc. of the 50th conference on Envirosoft 94, Vol. II: Environmental Systems. pp.205~212
  11. Kim S. and J .. R. Busch. 1986, Simulation of Daily Irrigation Project Diversions. For presentation at the 1986 Summer Meeting, ASAE, paper No.86-21
  12. Ximing CaL 1999, A Modeling Framework for Sustainable Water Resources Management, The University of Texas Austin, Ph.D Dissertation 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