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수지의 용수공급능력 평가 -하천망 모형과 전역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저수지 용수 최적 배분-

  • 강민구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Keywords

References

  1. 강주환, 김남일, 이길성, 황만하, 1998. SSARR-8 모형을 이용 한 낙동강 수계의 저수유출해석, 한국수자원학회지, 31(1), pp. 262-267
  2. 건설교통부. 한국수지원공사, 2000 . 수자원장기종합계획 Water Vision 2020
  3. 고익환, 박명기, 김정엽 . 2004 . 이수관리를 위한 저수지 시스템 모의운영 모형 개발, 2003년 분과위원회 연구과업 보고서, 한국수지원학회, pp.55-92
  4. 국토개발연구원, 2001. 환경친화적 국토발전을 위한 전략 연구
  5. 김병진, 빅승우, 1994. 기상예보를 고려한 관개용 저수지의 최적 조작모형 (III), 한국농공학회지 . 36(3), pp.47-59
  6. 김현영, 박승우, 1988 . 관개용 저수지의 일별 유입량과 방류량의 모의(III). 한국농공학회지. 30(3), pp.95-105
  7. 농림부. 1999 농업 .농촌용수 종합이용계획(농촌용수이용합리화계획)
  8. 윤용남, 김중훈, 김태균, 1995 . 최적화모형을 이용한 수지원의 적정배분,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15(4), pp.855-864
  9. 이재응, 송재우, 2002 . 최적화기법과 모의기법을 이용한 다목적 댐의 용수공급능력 평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2(6B), pp.811-818
  10. G. C. Dandy. Connarty M. C.. and Loucks D. P.. 1997. Comparison of methods for yield assessment of multiple reservoir system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ASCE. pp.350-358
  11. Yeh W. W-G.. 1985. Reservoir management and operation models:A state-of-art review. Water Resources Research. 21(12). pp.1797-1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