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mage Perception and Preferences of the Color of Male′s Jacket, Shirt, and Necktie

남성의 재킷, 와이셔츠, 넥타이 색의 이미지 지각과 선호도 연구

  • 최유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
  • 이명희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Published : 2004.10.01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olor of jacket. dress shirt, necktie. and perceiver's gender on image perceptions of male, and to examine how clothing color preferences varies according to perceiver's gender and age. The stimuli of 8 pictures of male and the semantic differential scale were used to evaluate image perception. Subjects were 192 males and females in Seoul. The colors of jacket g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perception of potency. elegance, preference, and manliness. The colors of dress shirt g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perception of manliness, the necktie's colors gave influences on elegance and visibility. Perceiver's gender did not giv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image perception. Visibility had an interaction effect by the colors of jacket and dress shirt. Potency and preference evaluation had interaction effects by the colors of jacket. dress shirt. and necktie. White dress shirt had positive effects on the perception of potency and preference in the case of matching with dark blue jacket and red necktie, and blue shir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potency and preference in matching with dark blue jacket and blue necktie. The preference of dark grey suit and black shir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Dark blue suit, white shirt, and blue shirt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ge group.

Keywords

References

  1. 정삼호. 김재희, 이은진 (2001). 패션 Self 스타일링. 서울: 교문사, p. 12
  2. 한국섬유산업신문 (2001. 10. 10). 자료검색일 2002. 9. 1. 자료출처http://www.tinnews.com
  3. 강혜원 (1995). 의상사회심리학 (개정판). 서울: 교문사, p. 70
  4. 남미우 (1994). 상황, 의복단서 및 관찰자 변인이 남자 착용자의 인상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7
  5. Molloy. J. T. (1978). Dress for success. New York: Warner Book. Inc
  6. Francis. S. M.. & Evans, P. K. (1987). Effect hue. value. and garment style on college recruiters' assessments of employment potential. Perceptual and Motor Skills, 76, pp. 87-93
  7. 이주현, 조긍호 (1995). 의상디자인 요소가 의복착용자의 인상에 미치는 영향(제1보): 의복형태와 색채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9(5). pp. 747-764
  8. 차미승 (1992). 의복형태와 색채이미지의 시각적 평가와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2-55
  9. 이은미, 강혜원 (1994). 의복단서 및 착용자 연령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남성 정장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8(2). pp. 197-210
  10. 강경자, 임지영 (1996). 넥타이의 색과 무늬가 남성복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0(5). pp. 753-768
  11. 이향미. 김재숙 (1998). 남자 고등학교 교사의 인상형성에 미치는 의복 격식차림, 색 및 맥락의 영향: 대전지역 남 . 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2(3). pp. 312-320
  12. Radeloff. D. J. (1991). Psychological types. color attributes, and clothing, textiles. and design students.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9(3), pp. 59-67
  13. Winakor, G., & Navarro. R. (1987). Effect of achromatic value of stimulus on responses to women's clothing style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5(4). pp. 40-48
  14. Lind. C. (1993). Psychology of color: Similarities between abstract and clothing color preference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2(1). pp. 57-65 https://doi.org/10.1177/0887302X9301200108
  15. 이인자 (1976). 성격과 의복디자인 선호간의 상관관계연구. 대한가정학회지, 14(2). pp. 69-83
  16. 이은영 (1990). 복식의장학 (제1차 개정판). 서울: 교문사. p. 166
  17. 정삼호 (1984). 부산시 여대생의 의복관심과 패션디자인 선호도 조사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2(1), pp. 43-51
  18. 김인수 (1985). 색채가 의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청주지역을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유경숙 (1996). 성역할 정체감과 의복디자인 선호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07
  20. 남미우. (1994). 상황, 의복단서 및 관찰자 변인이 남자 착용자의 인상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35
  21. 임정은. 이명희 (1999). 직장남성의 성격특성과 의복디자인 선호와의 관계 연구. 복식문화연구, 7(5). pp. 80-92
  22. 유경숙. (1996). 성역할 정체감과 의복디자인 선호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86-87
  23. 퍼스트뷰닷컴. 자료검색일 2002.4.4. 자료출처 http://www.firstview.com
  24. 이은미, 강혜원 (1994). 의복단서 및 착용자 연령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남성 정장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8(2), pp. 197-210
  25. 남미우. (1994). 상황, 의복단서 및 관찰자 변인이 남자 착용자의 인상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55
  26. 이선경, 고애란 (1995). 남성 의복 착용자의 의복 유형과 얼굴의 매력성이 인상에 미치는 영향(I) : 직업 추론 및 의복인상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9(2), pp. 230-241
  27. 이명희 (1999). 노년 여성의 한복 및 양장 착용과 관찰자의 연령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복식, 43. pp. 187-202
  28. 김윤경, 이경희 (2000). 의복무늬의 시각적 감성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6). pp. 861-872
  29. 이주현, 강혜원 (1995). 의상디자인 요소가 의복 착용자의 인상에 미치는 영향(제2보) : Dress 및 Pants Blouse의 형태와 색채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9(6), pp. 984-994
  30. 유경숙. (1996). 성역할 정체감과 의복디자인 선호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39
  31. 이혜숙, 김재숙 (1998). 복식색과 색조합의 이미지 지각(제1보) : 여자저고리, 치마를 중심으로 한 준실험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2(5), pp. 597-606
  32. 이명희, 강승희 (1998). 장신구와 재킷 색이 여성의 인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2(8). pp. 1111-1121
  33. 텍스헤럴드 (2002. 3. 9). 자료검색일 2002. 9. 4, 자료출처 http://www.fashionn.com
  34. 유경숙. (1996). 성역할 정체감과 의복디자인 선호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6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