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ncept of the Temporary dwelling space by the composition and use of the mobile Space - FA way of moving, folding, module, extension, evolution by aware of nomad -

모바일 스페이스(Mobile Space)의 공간 구성 및 용법에 의한 일시적 거주 공간 개념에 관한 연구 - 노마드적 인식에 의한 이동, 접이, 모듈, 확장, 진화의 방법으로 -

  • 김진숙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실내건축설계학과) ;
  • 임종엽 (인하대학교 건축학부)
  • Published : 2004.10.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welling space by attaching or inserting the mobile space unit to the fixed building by providing the temporary dwelling space for those suffering from flood disaster, natural disaster or solitary old people or the space and program that the completed building in the city can not provide such as temporary events in the bridge, passage space, walking space for the handicapped, stores located between street blocks, and plaza.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emporary dwelling space through the composition of space and the experiment of the applicability of the program through the methods of movement, folding, module, expansion and evolution of mobile space. An attempt was made to apply the concept of ‘mobile space’ to the dwelling space not only with a focus on the freedom of variable and changeable physical movement but also with a focus on the existence of the nomad and the way of thinking that bleaks away from a given value system and code, creates a new value and continues to move to a new domain.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how the concept of ‘mobile space’ has been developed in what form and method they have been applied and interpreted in the historical background. It attempted to resolve the concepts of movement and mobility through the experiment so that they might apply to the space of contemporary city. This study attempted to experiment this possibility using the mobile space unit and apply it.

Keywords

References

  1. 이정우, 시뮬라르크의 시대- 들뢰즈와 사건의 철학, 거름, 2003
  2. 길성호, 수용미학과 현대 건축, Spacetime, 2003
  3. 군둘라 엥리슈, 잡노마드 사회, 문예출판사, 2002
  4. 손관승, 디지털시대의 엘리트 노마드, 북앳북스, 2003
  5. 권영걸, 공간 디자인 16강, 국제, 2001
  6. 찰스 젠크스, Architecture Today, P37
  7. ArchiLab. Thames & Hudson, 2001
  8. 1900년대 이후의 현대 건축, 강병근역, 기문당, 2000
  9. Jennifer Siegal, Mobile,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2002
  10. Rem Koolhaas and Bruce Mau, S.M.L.XL, 010 Publisheres, 1996
  11. Peter Cook, ARCHlGRAM,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1999
  12. Bernard Tshimi, 2000
  13. Lucas Dietrich, Big Idea Small Building, Universe, 2001
  14. Living in Motion - Design and architecture for flexible dwelling, A Vitra Design Museum Travelling Exhibition, 2003
  15. 장은영, 랜드스케이프 건축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석론, 2002
  16. 김현아, 건축디자인 매체로서의 다이어그램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론, 2002
  17. 한태권 도요 이토 건축의 공간 구성에서 나타나는 유동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론, 2002
  18. 최교식, 현대 건축의 프로그램 해석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론, 2001
  19. 이강업, '메타볼리즘과 아키그램 건축 운동에 있어서 과학 기술의 건축적 작용에 관한 비교연구, 한양대 석론, 1998
  20. 장용순, 건축과 도시의 통계 방법과 상호 교환성의 관점에서 램쿨하스의 도시론 연구, 서울대 석론, 2000
  21. 이기정, 디지털 문화로 인한 물리적 환경의 변화가능성 예측 연구, 연세대 석론, 2000
  22. 이준화, 불확정성의 개념을 적용한 복합시설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론, 2002
  23. 윤세한, Life-style 전환기의 아파트 -도시 시대 삶을 담는 건축 - 21세기 변화하는 삶에 대응하는 주거계획의 방향
  24. 김혜자. 이선민, 탈 경계의 건축: 도요 이토의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실내디자인학회, 2003.02
  25. 최지운, 후기 구조주의 사유체계에 의한 디지털 건축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 건축학회, 2001
  26. 이철재, 디지털 건축에서 추구하는 하이브리드한 주거공간에 관한 연구, 실내디자인학회, 2001, 12
  27. 임종엽. 이철재, 디지털 건축의 형태 분석에 의한 공간 유형 연구, 실내디자인학회, 2000
  28. 이준화. 강건희. 이영수, 현대 건축에 나타난 불확정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학건축학회, 2001,10
  29. 신승수 + 조임식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스3: 공간 생산의 새로운 조건', 건축과 환경 20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