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나는 들뢰즈의 포스트구조주의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Property of Post-Structuralism in Fashion illustration by Delouse

  • 발행 : 2004.08.0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ought systems of post-structuralism by Deleuze and digital culture which is the core topic of social and cultural discussion. And this study also aims to grasp the diversity and movable thinking shown in fashion illustration from the aesthetic thought systems of post-structuralism theory by Deleuze. Furthermore, this study intends to ascertain the concrete representation characteristics and its significance of fashion illustration by analyzing works on the basis of the above-mentioned theory. What are discussed in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post-structuralism which supplies the theoretic basis for figuring out the principles of diversity and movable thinking. Second,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en structure and movable individuality of Deleuze who is a representative scholar of post- structuralism. Third, this study analyzed th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value to which the principles of post-structuralism, derived from the aesthetic theory of Deleuze, was applied.

키워드

참고문헌

  1. 손연기 (2003. 7. 29). 디지털 신인류. 디지털 타임스. 자료검색일 2003. 12. 23. 자료출처 http://www.dt.co.kr
  2. Mcluhan. M. 김진흥 역 (1995). 미디어는 맛사지다. 서울: 열화당. p. 8
  3. 김종일 (1999). 포스트구조주의적 인식에 따른 건축형태의 해석과 표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10
  4. 아사다 아키라. 이정우 역 (1995). 구조주의와 포스트구조주의. 서울: 새길. p. 7
  5. 김욱동 (1991).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구조주의. 서울: 현암사. p. 12
  6. 최지운 (2002). 포스트구조주의의 사유와 건축의 변화된 구조-개체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 24
  7. 이종도 (2004. 3. 31). 들뢰즈의 세기 맞은 한국 철학계. 한국일보
  8. 민성원, 최유진 (1998), 현대사상. 서울: 도서출판 우석. p.339
  9. 박성수 (1996). 프레임. 쇼트, 몽타주 : 들뢰즈의 ‘시네마에 대하여’. 문화과학. 9. pp. 2-5
  10. Deleuze. G. 하태환 역 (1995). 감각의 논리. 서울: 민음사
  11. 민성원, 최유진 (1998). 현대사상. 서울: 도서출판 우석. p. 343
  12. 이진경, 신현준외 (1995). 철학의 탈주 서울: 새길. p. 56
  13. Deleuze. G. (1988). Magazine litt$\'{e}$rare. p. 17. 강수미(1999). p. 44 재인용
  14. 이정우 (1999). 시뮬라크의 시대. 서울: 거름. p. 44
  15. Deleuze. G. 하태환 역 (1995). 감각의 논리. 민음사. 서울. 11장 참조
  16. Deleuze. G. & Guattari. F. (1987). Introduction: A thousand plateau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Minneapolis. p. 5
  17. 강수미 (1999). 후기모더니즘의 회화성에 대한 해체와 의미생성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5 재인용
  18. 김광길 (1998). 구조주의와 탈구조주의 비평 연구. 경기대학교 인문논총. 6. p. 20
  19. Deleuze. G. (1969). Logique du Sens. Les Editions de Minuit. p. 13
  20. 박성수 (1997), 철학적 사유와 영화적 이미지의 연관성. 시대와 철학. 8. p. 161
  21. 계간미술편 (1981). 현대미술용어사전. 서울: 중앙미술사. p. 173
  22. Wolf, R. (1999). Millennium mode: Fashion forecast from 40 top designers. New York: Rizzoli. p. 19
  23. Toledo. R. (1996). Style dicbonary. Abbeville Press. Inc
  24. Deleuze. G. 이정임, 윤정임 역 (1991). 철학이란 무엇이가? 서울: 현대미학사. p. 154
  25. Deleuze. G. (1991). Logique du Sens. Les Editions de Minuit. p. 67
  26. 김상민 (2002). '재현의 논리'에 대한 G. 들뢰즈의 비판과 그 극복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67
  27. 이정우 (1999). 시뮬라크의 시대 서울: 거름. p. 188
  28. 차재옥 (1995). 현대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만화이미지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