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ess and Stress Management in Clinical Nurses Working from University Hospitals in Daejeon City

대전지역 대학병원 간호사들의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에 관련된 요인

  • 윤현숙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
  • 조영채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2004.03.01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determining stress and the degree of stress coping among nurse as well as such general characteristics as daily life styles, duty,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at group. 525 nurses, from four university hospitals in Daejeon city underwent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during the 3-week period from July. 21 to August. 9, 2003. The questions focu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socio-demographic and duty characteristics, daily life styles, and stress and methods of coping with stress.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degree of stresses, 66.1% of the study subjects were at the potential risk of stress, with the high risk group constituting 30.3% and the normal group 3.6%. The stress and the degree of stress coping were shown to be affected by socio-demographic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as well as daily life styles. The group at higher risk of stress was shown to have a lower degree of coping with stress, implying that a lower degree of coping with stress would in turn heighten the occurrence of stres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n effective strategy that includes stress-reduction programs available in the field and prompting further build-up of comprehensive stress-management programs.

Keywords

References

  1. 고성희. 적응방법에 대한 정신질환자와 비정신질환자의 스트레스 및 그 비교연구. 간호학회지 1978;9(1):23-29
  2. 김경숙. 대학병원과 개인병원 신장실 간호사의 스트레스 및 대처방법 비교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3. 김남신, 문희자. 임상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적응 방법에 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1992;4:43-61
  4. 김명화. 임상 간호사가 경험하는 업무 스트레스 요인, 정도 및 대처전략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5. 김영철, 정향균, 이시형. 일반 성인에서의 생활스트레스가 정신증상 및 신체에 미치는 영향. 신경정신의학 1989;28(2):282-291
  6. 김윤진, 윤방부. 의사의 전문가적 스트레스 분석에 관한 연구. 가정의 1987;8(1):8-17
  7. 김정희, 이장호.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세트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1987
  8. 곽은희. 간호원의 소진경험 정도와 업무만족도간의 상관연구. 연세대학교 간호학과 석사학위논문 1983:1-120
  9. 대한예방의학회. 건강통계 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 1993:121-152
  10. 문희자, 이해연. 수술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만족에 관한 연구. 대한심신스트레스학회지 1997;5(2):61-77
  11. 박경옥, 이명선. 산업장의 소음 폭로수준과 근로자의 스트레스 증상과의 관련성. 예방의학회지 1996;29(2):239-254
  12. 박준한, 전진호, 강장미. 종합검진 수진자의 스트레스 수준과 생활습관, 자각증상 및 임상적 진단의 관련성. 예방의학회지 1998;31(4):728-738
  13. 박호숙. 일부 간호사의 간호업무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와 그에 대한 대응방법의 유형 및 소진정도와의 관계. 중앙의학 1987;52(9):557-565
  14. 배영숙. 종합병원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적응방법에 관한 연구. 기독병원 간전논문 1987;5:193-203
  15. 배정이, 서문자.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1989; 19(3):259-272
  16. 안동성, 이영호, 정영조. 남자 직장인에서 흡연과 우울, 스트레스와 다른 물질 사용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1994;33(6):1409-1424
  17. 양명석. 간호사들이 근무중에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관련요인. 카톨릭대학교 산업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1-24
  18. 옥루수. 임상 간호사의 스트레스 지각정도, 대처유형 및 스트레스 증상간의 관계 연구.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19. 이명하. 임상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에 관한 논문분석. 성인간호학회지 1996;8(1)
  20. 이순자, 남철현. 산업근로자의 스트레스 수준과 대처방안에 대한 관련요인. 대한보건협회학회지. 2001;27(2):163-175
  21. 이유진. 교대제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적응방법. 카톨릭대학교 산업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22. 이은화. 간호업무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와 그에 대한 대응방법의 유형 및 소진정도와의 관계. 카톨릭대학 의학부 논문집 1979;40(1):316-371
  23. 이정숙. 간호원이 근무중에 느끼는 스트레스 요인. 중앙의학 1979;37(5):317-323
  24. 이정훈. 산업인력의 정신건강과 스트레스의 측정변수에 대한 타당성 평가. 한국 생산성본부 1993
  25. 이평숙. 생활사건과 관련된 스트레스양 측정에 관한 방법론적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4
  26. 장세진, 차봉석, 고상백, 강명근, 고상열, 박종구. 직업적 특성과 사회심리적 스트레스간의 관련성. 예방의학회지 1997;30:129-43
  27. 장세진. 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 연구- 스트레스. 서울. 대한예방의학회 1993:121-59
  28. 조금숙. 간호사의 스트레스 지각정도, 대처유형, 사회적 지지정도, 스트레스증상간의 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29. 차봉석, 박종구, 이명근, 장세진. 일부 제조업 근로자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예방의학회지 1988;21(2):365-373
  30. 차봉석, 장세진, 이명근, 박종구. 산업장 근로자의 직업성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예방의학회지 1989;22(1):90-101
  31. 최영희. 입원환자와 일반인의 생활사건과 대처방안에 대한 비교연구. 대한간호학회지. 1982;12(2)
  32. 최은경, 김공현, 이종태. 항만하역 근로자들의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간호학회지. 2002;11(1):63-80
  33. 최정애. 일부 산업장 근로자의 간이정신진단 검사(SCL-90)결과에 관한 연구. 예방의학회지 1982;15(1);219-228
  34. 홍근표. 간호원의 소진경험에 관한 분석적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4:1-127
  35. Brenner. The stressful price of properity. Science News 1978;18:16
  36. Breslow L, Enstrom JE. Persistence of health habits and their relationship to mortality. Prev Med 1980;9:469-483 https://doi.org/10.1016/0091-7435(80)90042-0
  37. Fehring RJ, Effect of Biofeedback-aided relaxation on the psychological stress symptoms of college student. Nursing Research, 1983;32(6):362-366
  38. Goldberg DP. Manual of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Windsor, England: NFER publishy 1978
  39. Jacobson SF.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of neonatal ICU nurse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983;6:33-40 https://doi.org/10.1002/nur.4770060107
  40. Jalowiec A. Power MJ, Stress and coping in hypertensive and emergency room patients. Nursing Research. 1981;30(1):10-15 https://doi.org/10.1097/00006199-198101000-00003
  41. Kahn-K. Organizational stress: Studies in role conflict and ambiguity. NY. John Wily and Sons 1964
  42. Kessler RC, Essex M. Marital status and depression: The importance of coping resources. Social Forces 1981;10:187-210 https://doi.org/10.2307/2570246
  43. Lazarus RS. Folkman S. Stress, Appraisal and Copping, New York: McGraw-Hill 1984
  44. Luthans F. Organizational behavior, 4th. Mcgraw-Hill, 1985:130
  45. Mawadi BH. Satisfaction, dissatisfaction and cause of stress in medical practice. JAMA 1982;306:458-463
  46. Morgan M. Marital status, health, illness, and service use. Social science and Medicine 1980;14:633-643
  47. NIOSH. A proposed national strategy for the prevention of work-related psychological disorders, cincinnati, OH. Auther 1988
  48. Pearlin LI. Schooler C. The structure of coping. Journal Health and Social Behavior 1978;19:2-21 https://doi.org/10.2307/2136319
  49. Pearlin LI, Menaghan EG, Lieberman MA, Mullan JT. The stress process. J Heal Soc Behav 1981;22:337-356 https://doi.org/10.2307/2136676
  50. Sherbourne CD, Hays RD. Marital status, social support, and health transitions in chronic disease patient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990;31:328-343 https://doi.org/10.2307/2136817
  51. Selye H. The stress syndrom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965;65(3):97-98 https://doi.org/10.2307/3453119
  52. Smith JC. Understanding Stress and Coping. NY. MacMillan,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