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lothing Names in Sino-Korean Study Books in Choseon Period

조선시대 아동용 한자 학습서를 통해 본 복식명칭 연구

  • Published : 2004.07.01

Abstract

To study the clothing names has been one of the research subjects in the history of clothing since the name could be the basic tool to understand the clothing. In the past, the name of clothing were used in Chinese character which is hieroglyphic. Each character of Chinese has special meaning. They had been changed into Korean after Korean characters were invented. During the period when they were changed into Korean, some of them retained the original meaning while others widened the original meaning. Some of them even translated into totally different meaning. Accordingly, it could be a clue to survey the changing process of Chinese names into Korean by analysing the vocabulary in the books published in Choseon dynasty. In this study, the first step is to survey the children's Chinese vocabulary learning material, Hunmongahoe(1527), Sinzeungliuhap(1576) and Ahackpyun(1804). These books were widely used from 16 to 19 centuries. It has been surveyed how the meaning of clothes names has changed and the special features of changed names. The names appeared in these Chinese vocabulary learning books included headgear, footwear, dress, part names of dress, ornaments, color and names of textile. The followings are observed by studying the names appeared in more than two books above: 1. The same Chinese character were translated differently. 2. Recently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 has been reduced or changed into new Chinese character. 3. Some of them retained the same meaning but used different character. It has been observed that some clothing names retained the original meaning but others changed the meaning, or translated into different names. It shows that the appropriate meaning of names should be properly selected when we study the history of clothing.

Keywords

References

  1. 황유선 (1999). 조선시대 저고리류 명칭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98-101
  2. 이은주 (2001). 17세기 전기 현풍곽씨 집안의 의생활에 대한 소고. 복식, 51(8), pp. 25-41
  3. 장인우 (2002). 조선중기 의생활 어휘에 대하여 -순천김씨묘 언문간찰을 중심으로-. 복식, 52(3), pp. 1-13
  4. 서정원 (2003). '老乞大' 刊本들을 통해 본 14-18세기의 복식관련 용어 비교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pp. 95-98
  5. 김희진 (1988), 訓蒙字훌의 語彙的l 硏究: 字訓의 共時的 記述과 國語史的 變遷을 中心으로. 숙명여자대학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48, p. 291
  6. 이양순 (2001). '순천김씨묘간찰'에 나타나는 복식관련어 연구. 반교어문학회지, 14, pp. 125-151
  7. 오완규 (2001). 천자문. 훈몽자회. 신증유합 자석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78-81
  8. 이가원, 안병주 감수 (2004). 大漢韓辭典. 교학사
  9. 한국고전총서 :훈몽자회 (1973). 서울: 大提閣
  1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권2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 694
  11. 동양학총서;신증유합 (1972). 단국대학교부설 동양학연구소
  1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권14, p. 14
  13. 정재영 (2002). 茶山 정약용의 '兒學編'. 태학사. p.11
  14. 정재영 (2002). 茶山 정약용의 '兒學編'. 태학사. pp. 161-242, 영인본 참조
  15. 정약용 著, 池錫永 注釋(1908), 兒學編, 廣學書鋪
  16.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권14, p. 376
  17. 韓石峰 著. 이기문 간행 (1972). 原本)石峰千字文. 서울: 駱山書院. 국립중앙도서관소장
  18. 崔世和 著 (1993). 漢字 敎本 三書 硏究(千字文;丙子本 影印本 수록). 서울: 太學社
  19. 註解千字文 (1804). 周興嗣 原著; 洪泰運 書. 京城: 廣通坊. 국립중앙도서관소장
  20. 이가원, 안병주 감수 (2004). 大漢韓辭典. 교학사, p. 328
  21. 이여성. 조선복식고. 백양당. pp. 189-191
  22. 국립국어연구원 (1999). 표준국어대사전(상). 두산동아, p. 411. p. 501
  23. 張混 輯. 蒙喩篇. 국립중앙도서관소장
  24. 四禮便覽. 卷之一, 冠禮, 陳冠服, 帽子(丘氏) 日今世帽 子有貳等 所謂大帽者 乃是笠子 以蘇雨日 所謂小帽者 或妙或羅或緞爲之 小帽卽今(감頭)
  25. 역어유해 (1974). 아세아문화사, p.87 小帽子 감투
  26. 國漢會語 (1986). 한국어학자료총서 第-輯. 태학사. p.124
  27. 남광우 (1997). 교학 고어사전. 교학사, p. 78
  28. 남광우 (1997). 교학 고어사전. 교학사, p. 128, 冠帶+옷
  29. 이가원, 안병주 감수 (2004). 大漢韓辭典. 교학사, p. 2950
  30. 의인왕후 빈전혼전도감. 인옥왕후 빈전혼전도감. 규장각소장
  31. 장인우 (2002). 조선중기 의생활 어휘에 대하여 -순천김씨묘 언문간찰을 중심으로-. 복식, 52(3), p. 6
  32. 朝鮮史料叢刊, 第八. 眉巖日記草 一. p. 16
  33. 朝鮮史料叢刊, 第八. 眉巖日記草 五. p. 105
  34. 國朝五禮儀補. 序例 卷之一, 吉禮 王妃禮制度
  35. 김민수 等著 (1992). 국어대사전. 금성출판사, p. 244, 袴衣: 남자의 흩바지, 單袴. 中衣
  36. 國漢會語 (1986). 한국어학자료총서 第-輯. 태학사. p. 287
  37. 김민수 等著 (1992). 국어대사전. 금성출판사, p. 816, 댜다<형용사>
  38. 고문서집성(12) -장서각편III- (199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 23. p. 119
  39. 譯語類解(1974). p. 309
  40. 이기문 감수 (1990). 동아 새국어사전. 동아출판사, p. 205
  41. 이희승 편저 (2001). 국어대사전. 민중서림, p. 472, 귀엿골〈옛〉귀고리
  42. 국립국어연구원 (1999). 표준국어대사전(상). 두산동아, p. 760, 귀마개<옛> 귀막이, 귀고리
  43. 이기문 감수 (1990). 동아 새국어사전. 동아출판사, p. 645
  44. 이기문 감수 (1990). 동아 새국어사전. 동아출판사, p. 481
  45. 國漢會語 (1986). 한국어학자료총서 第-輯. 태학사. p. 149
  46. 안병호 (1985). 계림유사와 고려시기조선어. 민족문화사. p. 261
  47. 남광우 (1997). 교학 고어사전. 교학사, p. 587, 털로 짠 직물
  48. 주해천자문. 국립중앙도서관소장
  49. 이기문 감수 (1990). 동아 새국어사전. 동아출판사, p. 1537
  50. 태종실록. 17년12월 경술(康戌)
  51. 이가원, 안병주 감수 (2004). 大漢韓辭典. 교학사, p. 2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