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in Home Economics on self-efficacy: Focused on family relations area

고등학교 가정과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이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가족관계 영역을 중심으로

  • 이형실 (중앙대학교 가정교육과) ;
  • 금은주 (중앙대학교 가정교육과)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in Home Economics on self-efficacy, focused on family relations area in high school. In this study, Problem-Based Learning lesson plan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32 freshmen of high school as an experimental group. Lecture-style lesson was applied to the other 32 students as a control group.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scores of self-efficacy were found in the experimental group. Post-test scores of self-efficacy were higher than pre-test score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scores of self-efficacy in the control group. The subjective evaluation from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indicated that Problem-Based Learning lesson was effective in helping them to take an active Part in class and increasing interests in Home Economics.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 가정과 수업을 가족관계 영역에 적용했을 때 학생들의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와 이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가정과 수업은 강의식 수업을 한 학생들보다 자아효능감 및 자아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에서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문제중심학습 가정과 수업 후 학생들의 평가를 통하여 대체로 문제중심학습 가정과 수업을 통해 협동심을 기를 수 있게 되었고, 가정 과목의 재미를 느꼈으며, 자기 스스로 하는 수업이었다 둥의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반응과 수업 후 가족관계 부분을 일상생활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어서 우리가 일반 생활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정리해 보면 학생들은 가정과 수업을 할 때 교사위주의 강의식 수업이 아닌 문제중심학습 수업을 할 매 더 적극적이고 긍정적으로 참여하며, 이로 인해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 등 자아효능감이 향상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가정과 수업은 학생들의 자아효능감 향상에 효과적이며 이를 통해 강의식 수업에서 벗어난 학생중심의 수업과 실제적 문제중심접근, 자율학습과 협동학습을 기를 수 있기 때문에 가정과 수업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평가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왜 구성주의인가 강인애
  2. 고등학교 교육과정 (1) 교육부
  3. 고등학교 실업 · 가정과 교육과정 해설 교육부
  4.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협동학습을 적용한 가정과 수업에 관한 연구 구영순
  5. 교육심리연구 v.12 no.1 동기이론의 교육현장 적용 연구와 과제 : 자아효능감 이론을 중심으로 김아영
  6.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사회과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과 탐구학습이 학업성취도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나용주
  7.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실천문제 해결 수업모형을 적용한 중학교 가정과 인간발달과 가족관계 영역의 수업지도안 개발 도난희
  8.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사회복지관 청소년 프로그램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 문성희
  9.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소집단 학습이 자아효능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방기정
  10.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협동학습과 경쟁학습이 학습자의 사회성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안명수
  11.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웹기반 협동학습시 학습자의 자기효능 감과 보상구조가 학습 참여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오윤진
  12.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자기효능감 및 학습전략과 학업성취의 관계 우정미
  13.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가정환경과 아동의 자기효능감 간의 인과모형 탐색 우희정
  14.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남녀 고등학생이 인식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수업의 효과 윤복순
  15.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가족관계 영역의 토의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에 관한 연구 이문숙
  16. 가정과 교수법 이연숙
  17.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이 여고생들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이현미
  18.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수업의 학습시간 투입의 동기요인과 효과 분석 연구 정택희
  19.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CAI 개별학습과 협동학습이 아동의 자아효능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조현석
  20.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남녀 중학생의 가정생활 행동영역과 가정생활 범주에서의 실천도에 관한 연구 최정란
  21. Review. v.84 no.2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Bandura,A.
  22. Problem-based learning applied to medical Springfield Practice- based learning Barrow,H.
  23. A conceptual scheme and decision rules for selections andof home economics curriculum content Brown,M.M.
  24. Phychological Reports v.51 The 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Sherer,M.;Maddux,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