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ripataka Qidan(戒壇大藏經) that was accommodated at the Tripataka Koreana(高麗再雕大藏經)

고여재조대장경에 수용된 계단대장경

  • 유부현 (대진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This study is made of proofreading some documents about ‘Tripitaka Koreana’, which was unknown and not noticed quite well until now and is also for montemplating the features of ‘Qidanzang’ that were accepted in ‘Tripitaka’. By all the researches the following facts were found out. First, ‘Qidanzang’ included in ‘Tripitaka’ were all 18 cases. Second, ‘Qidanzang’ that were corrected and accepted into ‘Tripitaka’ were 42cases. Third, ‘Qidanzang’ that have errors at comparing documents were all 11cases. Fourth the sutra that were accepted in the comparative book were all 57 cases. Fifth, unaccepted sutras , which were found out at comparative documents, were 4cases. At last, from the analysis abouve, we notice that most of the ‘Qidanzang’, not part of it, were accepted into ‘Tripitaka Koreana’ and like the previous viewpoint, ‘Qidanzang’ was an excellent book but it also had a few mistakes.

본고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던 재조장에 기록된 여러 가지 교감 기록을 조사ㆍ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해서 재조장에 수용된 거란장의 성격에 대해서 고찰한 것이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구명되었다. 첫째, 재조대장경에 편입된 거란장은 모두 18건이었다. 둘째, 재조대장경에서 교정의 저본으로 수용된 거란장은 모두 42건이었다. 셋째, 재조대장경의 교감기록에서 오류가 지적된 거란장은 모두 11건이었다. 셋째, 재조대장경에서 대교본으로 수용된 경전은 모두 57이었다. 넷째, 재조대장경의 교감기록에서 거란장에 미 입장된 것으로 확인된 경전은 4건이었다. 다섯째, 이상과 같은 분석을 통해서 거란장은 일부분이 아닌 거의 대부분이 재조대장경의 대교본으로 수용되었으며, 또한 종래의 견해대로 거란장은 매우 우수한 판본이었지만, 또한 적지 않은 오류도 있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東洋學報 v.二 契丹大に於けゐ大藏經雕造の事實を論 姜木置良
  2. 大藏經硏究彙編(上) 契丹大藏經略考 呂微
  3. 中國歷史博物館館刊 論遼朝大藏經的雕印 張暢耕;畢素娟
  4. 應懸木塔遼代秘藏 山西省文物局;中國歷史博物館合(編)
  5. 佛敎大藏經史 方光창
  6. 文物 有關 契丹藏 的幾箇問題 羅炤
  7. 文物 契丹藏 與 開寶藏 之差異 羅炤
  8. 佛敎與學歷史文化 關于 遼藏 的硏究 李富華
  9. 宋元佛敎文化史硏究 宋元版大藏經の系譜 竺沙雅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