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천북지역을 포함하여 경주시를 중심으로 선상지분포와 지형발달을 조사하였다. 선상지는 하상비고가 다른 고위면. 중위면, 저위면의 세 지형면으로 구분된다. 불국사∼울산지역과 마찬가지로 빙기와 간빙기가 반복된 제4기 기후변화와 북-남 및 북서-남동 방향의 구조선이 탁월하게 발달하면서 합류선상지가 형성되었다. 단일 규모로는 우리나라에서 최대급에 속하는 경주선상지는 선사시대 이래 인간활동의 중심 공간을 제공하였다. 이 선상지를 형성한 북천은 선사, 고대에 거의 범람하지 않았다. 경주선상지는 지형면 전체에서 지하수위가 지표면 부근까지 도달하여 일반적인 지형특성과 달리 선앙부에도 용천이 분포한다. 이것은 유역분지의 상류부와 중류부에 넓은 퇴적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북천 규모에 비해 하류부에 퇴적물이 충분히 공급되지 못한데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and geomorphic development of alluvial fan in Gyeongju City including Cheonbuk area. According to a relative height to a river bed, alluvial fans of this area are divided into Higher surface, Middle surface, and Lower surface. As alluvial fans of Bulguk temple∼Ulsan bay area, the confluent fans in Cheonbuk and Gyeongju areas were formed by the Quaternary climatic change alternating glacial and interglacial stages, and the development of N-S and NW-SE fault lines. The Gyeongju alluvial fan, the largest in Korea, has been provided as the significant space for human activity since the prehistoric age. Bukcheon river formed the Gyeongju alluvial fan had not flowed over during the prehistoric and the ancient times. In contrast with general geomorphic characteristics, many springs in the Gyeongju alluvial fan are located in the middle part of the fan because ground water reaches to the surface. It is supposed that sedimental materials were not sufficiently piled up at lower reach of Bukcheon river due to the large deposits at upper and middle reach of the bas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