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quality of home-based day care and center-based day care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among infants

가정보육시설과 기관보육시설의 질적 특성과 영아의 사회.정서 발달

  • 최보가 (경북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문영경 (경북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Published : 2004.01.01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quality (structure and process) of home-based day care and center-based day care, and to examine socio-emotional development among infants who were in both types of day ca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1 infants who were in home-based day care and 181 infants who were in center-based day care. The measurements were socio-emotional development scale and assessment scales for day care programs.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home-based day care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from center-based day care in terms of structure. Second, home-based day care were, to some degre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enter-based day care in the process: home-based day care had better play environment and play activities than did center-band day care. Last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o-emotional development among infants according to the type of day care: infants in home-based day care were more independent to their teacher and felt more secure in child care homes than was true for the infants in center-based day care.

Keywords

References

  1. 강진아(1998). 탁아기관의 질과 영아의 탐색/놀이 행동과의 관계 : 물리적 놀이 환경의 영향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곽주영(1996). 보육교사 행동의 질적 수준과 아동의 사회적 행동 특성.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광웅, 박인전, 방은령(1997). 영유아보육론.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4. 김의영(1997). 아동보육론. 서울: 동문사
  5. 김형옥, 안선희(2001), 어머니의 심리적 자세와 유아의 사회정서발달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9(9). 15-25
  6. 박민정(1995). 가정환경과 보육시설의 질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방인숙(1993). 가족형태가 유아의 사회정서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보건복지부(2002). 보육사업 활성화 방안
  9. 서원경(1999). 기관보육시설과 가정보육시설에서의 만 2세 영아가 나타내는 놀이행동 유형비교.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신혜원(1992).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에 따른 아동의 놀이실 행동.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연미희(1998).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 정서적 발달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6, 111-122
  12. 유명주(1982). 가정탁아제도 정착을 위한 기초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유희정(1998). 보육서비스의 질적수준 향상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14. 이남주(1999).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 분석 및 보육 경험이 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구립보육시설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5. 이숙, 오선영(1998). 보육시설의 질에 다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대한가정학회지. 36(4), 189-197
  16. 이순형(1999). 한국 영아보육시설 평가의 준거-평가기준의 이론적 실제적 타당성을 중심으로-. 열린 교육학회 정기국제대회 자료집
  17. 이순형, 이옥경(2000). 한국 보육시설의 영아기 프로그램 운영평가. 한국아동학회, 20(1), 121-140
  18. 이 영(1990). 영아기 애착, 가정학 연구의 최신정보III : 아동학 분야(대한가정학회편). 서울: 교문사
  19. 이 영(2000). 영아발달과 보육. 한국아동학회 춘계 학술대회 : 영아 보육의 현황과 21세기의 과제. 한국아동학회, 1-24
  20. 이은해, 박경자, 정현숙(1998). 아동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가족변인 및 보육시설의 효과. 대한가정학회지, 36(6), 27-40
  21. 이은해, 송혜린, 신혜영, 최혜영(2002). 어린이집 프로그램 평가척도의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아동학회지, 23(4), 200-213
  22. 이재연(1989). 탁아의 유형. 아동의 권리: 가정 교육 탁아. 서울: 한국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회
  23. 이진주(1987). 가정탁아 이용실태와 이용자의 요구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전선옥(1989). 유치원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물리적 환경의 질에 따른 유아행동.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전춘애, 이미숙(2002). 보육시설의 구조적,과정적 변인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1), 115-124
  26. 정기원, 오미영, 안현애(1995). 보육시설 평가기준 및 평가체계 개발.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7. 조선영, 이영(1992). 가정보육시설의 질적 특성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13(2), 129-144
  28. 지옥정(1996). 프로젝트 접근법이 유아의 학습준비도, 사회.정서 발달, 자아개념 및 프로젝트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최지현, 박혜원(2000). 보육환경(보육시설 및 교사)이 영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 생활과학논문집, 20(1), 73-87
  30. 한미라(1993). 가정보육시설의 질적 수준과 유아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 현온강, 태진(2000). 보육환경의 질과 영유아의 적응- 인천시 보육시설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8(3), 25-42
  32. 황현주(1991). 유아교육기관의 질과 유아의 사회적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Anderson, B. E. (1989). Effect of public daycare: A longitudinal study. Child Development, 60(4), 657-866 https://doi.org/10.2307/1131027
  34. Belsky, J. & Rovine, J.J (1988). Nonmaternal care in the first year of life and the security of infant-parent attachment. Child Development, 59, 157-167 https://doi.org/10.2307/1130397
  35. Burchinal M. Roverts J, Riggins R, Zeisel S. Neebe E., Bryant D. (2000). Relating Quality of Center-Based Child Care to Early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Longitudinally. Child Development, 71(2), 339-357 https://doi.org/10.1111/1467-8624.00149
  36. Clark-Stewart A. (1989). Infant day care: Malignant or maligned? American Psychologist, 44, 266-273 https://doi.org/10.1037/0003-066X.44.2.266
  37. Clark-Stewart A. & Gruder, C. P.(1984). Day care forms and features. In T. C. Ainslie(Ed.). The child and the day care setting. New York: Praeger
  38. Cochran (1997). A comparison of group day and family childrearing patterns in sweden. Child Development, 48, 702-707 https://doi.org/10.2307/1128679
  39. Haskin, R. (1985). Public school aggression among children with varying day-care experience. Child Development, 56, 689-703 https://doi.org/10.2307/1129759
  40. Howes, C. (1990). Can the age or entry into child care and the quality of child care predict adjustment in kindergarten? Developmental Pstchology, 26, 292-303 https://doi.org/10.1037/0012-1649.26.2.292
  41. Howes, C., Olenick, M. (1986). Family and child care influences on toddler's compliance. Child Development, 57, 202-216 https://doi.org/10.2307/1130652
  42. Howes, C., & Rubenstein, J. (1985) Determinants of toddler's experiences in day care: Age of entry and quality of setting. Child Care Quarterly, 14, 140-150 https://doi.org/10.1007/BF01113407
  43. Howes C. & Stewart, P. (1987). Child's play with adult, toys, and peers: An examination of family and child-care influences. Developmental Psychology, 23, 423-430 https://doi.org/10.1037/0012-1649.23.3.423
  44. Kadushin A. & Martin J. (1988). Child Welfare Service. New York : Macmillan Publishing Co, Inc.
  45. McCartney, K. (1984). Effects of quality of day care environment on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20, 244-260 https://doi.org/10.1037/0012-1649.20.2.244
  46.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1997). The effect of infant child care on infant-mother attachment security: Result of the NICHD Study of Early Child Care. Child Development, 68, 860-879
  47.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1998). Early child care and self-control, compliance, and problem behavior at twenty-four and thirty-six months. Child Development, 69(4), 1145-1170
  48. Nl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2000). The Relation of Child Care to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71(4), 960-980 https://doi.org/10.1111/1467-8624.00202
  49. Phillips, D., McCarney, K., & Scarr, S. (1987). Child-care quality and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Deveiopmental Psychology, 23, 537-543 https://doi.org/10.1037/0012-1649.23.4.537
  50. Reinsberg, J. (1995). Reflections on quality infant care. Young Children, 50(4), 23-25
  51. Shore, R. (1997). Rethinking the Brain: New Insights into Early Development: New York: Families and Work Institute
  52. Vandell, D. Corasaniti, M. (1990). Variations in early child care. Do they predict subsequent social, emotional, and cognitiive difference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5, 555-572 https://doi.org/10.1016/0885-2006(90)90019-W
  53. Vandell, D. Henderson, V.K., & Wilson, K.S. (1998). A longitudinla study of children with day care experiences of varying quality. Child Developmnet, 59, 1286-1292 https://doi.org/10.2307/1130491
  54. Vandell, D. & Powers, C. (1983). Day care quality and children's free play activities. Amerid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53, 293-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