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Direction of the Environmental Movement based on Voluntary Simplicity Life Style

자발적 단순성지향 생활양식(Voluntary Simplicity Life Style)에 기초한 환경운동의 방향

  • Published : 2004.01.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al movement and voluntary simplicity life sty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voluntary simplicity life style and the environmental movement are concepts which became the center of public interest because of the evil practices appeared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 Second, the level of consciousness of environment is comparatively high, but the level of the power of execution is comparatively low as a whole. In the case of Korea, people have not yet the mature responsibilities of citizenship. It is very important to enforce different informal educat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environmental movement. Home training based on voluntary simplicity life style is the most important informal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the environmental movement. Consequently, for the preservation of environment we need to do our best endeavors such as home training based on voluntary simplicity life style, environmental education based on our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and more powerful administrative measures which is administrative support rather than administrative control.

Keywords

References

  1. 곽인숙, 박정희(2000). 생태도시에 대한 인식과 이주이사. 대한가정학회지, 38(12), 177-188
  2. 김명자(2001). 지속가능한 삶과 생활환경. 대한가정학회 54차 춘계 학술대회 자료집. 1-10
  3. 김영재. 김정숙(1999). 환경지향적 소비자행동에 관한 연구-제주시 주부를 대상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7(3), 157-174
  4. 김은지, 유두련(2000). 환경상품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11(3), 41-58
  5. 노남숙(1994). 주부의 한경관리지식 인지도와 환경 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의식주, 경영, 구매, 가족관리행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민현선, 이기춘(1999). 환경친화적 소비태도와 소비행동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7(1), 29-44
  7. 박명희(2001). 시민생활양식변화의 전망과 녹색생활문화. 녹색소비자연대 자료집. 39-55
  8. 박순희(1997). 가정복지와 자발적 단순성 지향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가족 결속력, 적응, 가사노동만족도와 경제적 복지. 효성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9. 박순희(2000). 인간의 복지향상을 위한 환경운동의 방향. 대한가정학회지, 38(11), 69-104
  10. 박영숙(2001). 한국의 시민사회와 녹색생활문화양식-리우 +10과 녹색소비. 녹색소비자연대 자료집, 18-31.
  11. 박운아(1997). 기혼여성의 환경친화적 소비자행동.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백경미(1998). 현대소비문화와 한국소비문화에 관한 고찰. 소비자학연구, 9(1), 17-32
  13. 손상희(2001). 한국가계의 소비수준 및 표준 : 지속가능한 생활양식의 실현 모색.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5), 259-278
  14. 송인숙(1999). 자발적으로 간소화하는 생활방식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7(11), 85-95
  15. 서정희(1999). 21세기 소비자주권시대를 실현하기 위한 소비자교육의 과제와 방향. 소비문화연구, 2(1), 119-138
  16. 성영신(1994). 한국인의 그릇된 물질주의와 과소비 유형. 한국 심리학회 춘계심포지움 자료집, 97-110
  17. 유진 오덤, 이도원, 박은진. 송동하 역(1998). 생태학 : 환경의 위기와 우리의 미래. 서울: 사이언스 북스.
  18. 윤소영(1991). 가사노동에 영향을 미치는 제약요인 및 통제소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윤정혜, 이희숙(2001). 지속가능한 소비생활 확산을 위한 방안 고찰. 대한가정학회 54차 춘계 학술대회 자료집, 32-48
  20. 이덕승(2001). 녹색소비생활 실천운동의 현황과 과제. 녹색소비자연대 자료집, 32-38
  21. 이영자(2000). 소비자본주의 사회의 여성과 남성. 서울:나남출판
  22. 이정전(1998). 녹색경제학. 서울: 한길사
  23. 장일순의 이야기 모음(1997). 나락 한 알 속의 우주. 대구: 녹색평론사
  24. 정수복(1994). 유럽 환경운동의 형성과 전개-프랑스와 독일을 중심으로. 현대의 위기와 새로운 사회운동. 서울: 문원, 136-162
  25. 최남숙(1994). 서울시 주부들의 환경교육과 환경보전행동에 관한 연구 : 가정폐기물 분류배출 행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6. 최종욱(1994). 현대의 위기와 '위험사회' 의 현상학. 현대의 위기와 새로운 사회운동. 서울: 문원, 9-32
  27. 최종욱,권용혁(1994). 새로운 사회운동론에 대한 이론적 설명담론, 현대의 위기와 새로운 사회운동, 서울: 문원, 33-104
  28. 최정신a(2001). 스웨덴의 환경운동과 생태주거건축. 녹색소비자연대 자료집, 4-17
  29. 최정신b(200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환경운동과 주거환경. 대한가정학회 54차 춘계 학술대회 자료집, 66-74
  30. 홍은표(1992). 현대소비자론. 서울: 석정
  31. Cornill, T.A., Oransky, K.S. & Pestle, R. (1979). Changing family lifestyles: Adapting to the energy crisis. Journal of Home Economics 71(4). 36-37
  32. Elgin, D.S. & Mitchell, A. (1977). Voluntary Simplicity: Lifestyle of the future?. The Futurist 11, 254-261
  33. Herberger, R.A. Jr. (1975). The ecological product buying motive: A challenge for consumer education. Journal of Consumer affairs, 9, 187-195 https://doi.org/10.1111/j.1745-6606.1975.tb00562.x
  34. Leet, D.R. & Driggers, J. (1990). Economic decisions for consumers. Wadsworth Pub. co
  35. Leonard-Barton, D. (1981). Voluntary simplicity lifestyles and energy conserva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8, 243-252 https://doi.org/10.1086/208861
  36. Leonard-Barton, D. & Rogers, E.M. (1979). Voluntary simplicity. In Olson, J. C. ed.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7, Ann Abor: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37. Pestle, R.E., Cornille, T. & Solomon, K. (1982). Lifestyle alternative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attitude scale.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11(2), 175-182 https://doi.org/10.1177/1077727X8201100208
  38. Shama, A. (1981). Coping with staglation: Voluntary simplicity. Journal of Marketing, 45, Summer, 120-134 https://doi.org/10.2307/1251547
  39. Webster, F.E. Jr. (1975).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ly conscious consume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 188-196 https://doi.org/10.1086/208631
  40. Wilhelm, M.S. & Keith, J.G. (1987). Predictors of voluntary simplicity in consumer behaviour. Journal of Consumer Studies and Home Economics 11, 113-129 https://doi.org/10.1111/j.1470-6431.1987.tb00066.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