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bicidal activity of Korean native plants (II)

살초활성물질 함유 국내 자생식물의 탐색 (II)

  • Kim, Mi-Sung (Division of Biological Environmen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ee, Yu-Sun (Division of Biological Environmen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hoa, Dao Bach (Division of Biological Environmen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Hee-Yeon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Choi, Hae-Jin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Lim, Sang-Hyun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Heo, Su-Jeong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Kwon, Soon-Bae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Park, Dong-Sik (Division of Biological Environmen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Han, Sang-Sub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 Chunbuk National Agriculture) ;
  • Kim, Song-Mun (Division of Biological Environmen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김미성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환경학부) ;
  • 이유선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환경학부) ;
  • ;
  • 김희연 (강원도 농업기술원) ;
  • 최해진 (강원도 농업기술원) ;
  • 임상현 (강원도 농업기술원) ;
  • 허수정 (강원도 농업기술원) ;
  • 권순배 (강원도 농업기술원) ;
  • 박동식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환경학부) ;
  • 한상섭 (전북대학교 산림과학부) ;
  • 김성문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환경학부)
  • Published : 2004.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of Korean native plants to screen herbicidal activity which could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new natural herbicides. Ninety-eight plants were collected from Wan Island, Chollanamdo in Korea and their methanol extracts were obtained. Herbicidal activities of the methanol extracts were determined by seed bioassay using canola (Brassica napus L.) seedlings. Among ninety-eight species, twenty plants were highly herbicidal ($GR_{50}<1,000\;{\mu}g\;g^{-1}$): Abies holophylla MAXIM., Ailanthus altissima (MILL.) SWINGLE, Anthemis nobilis L., Aralia elata SEEM., Artemisia iwayomogi KITAMURA, Asarum sieboldii MIQ., Brassica campestris subsp. napus var. nippo-oleifera MAKINO, Clematis terniflora DC., Crataegus scabrida SARG., Gnaphalium affine D. DON, Jasminum nudiflorum LINDL., Kalopanax pictus (THUNE.) NAKAI, Machilus japonica S. et Z., Myrica rubra S. et Z., Osmunda japonica THUNB., Phytolacca esculenta V. Houtte, Platanus occidentalis L., Quisqualis indica L., Rubus hirsutus THUNB., Yucca smalliana FERN. Fifty plants were shown moderate herbicidal activity $(1,000\;{\mu}g\;g^{-1}, however, twenty-eight plants were not shown any herbicidal activity.

본 연구의 목적은 내의 자생식물 중 살포활성이 있는 식물 종을 선발하는데 있다. 국내의 자생식물 55과 98종 시료로터 MeOH 조추출물을 얻은 다음 24-well plate에서 유채(Brassica napus L.)에 대한 살초검성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98종 중 놀은 살포활성($GR_{50}$ 값 < 1,000 ${\mu}g\;g^{-1}$)을 나타낸 식물은 가중나무(Ailanthus altissima (MILL.) SWINGLE), 고비(Osmunda japonica THUNB.), 더위지기(Artemisia iwayomogi KITAMURA), 두릅(Aralia elata SEEM.), 떡쑥(Gnaphalium affine D. DON), 미국산사나무(Crataegus scabrida SARG.), 사군자(Quisqualis indica L.), 센달나무(Machilus japonica S. et Z.), 소귀나무(Myrica rubra S. et Z.), 실육카(Yucca smalliana FERN.), 양버즘나무(Platanus occidentalis L.), 영춘화(Jasminum nudiflorum LINDL.), 유채(Brassica campestris subsp. napus var. nippo-oleifera MAKINO), 음나무(Kalopanax pictus (THUNB.) NAKAI), 자리공(Phytolacca esculenta V. Houtte), 장딸기(Rubus hirsutus THUNB.), 젓나무(Abies holophylla MAXIM.), 족도리풀(Asarum sieboldii MIQ.), 참으아리(Clematis terniflora DC.), 캐모마일(Anthemis nobilis L.) 등 20종으로 나타났다. 자생식물 98종 중 50종 식물은 중정도의 살초활성을 나타내었으나(1,000 ${\mu}g\;g^{-1}$ < $GR_{50}$ 값 < 2,000 ${\mu}g\;g^{-1}$), 28종 식물은 살초활성을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Duke, S. O. (2003) Weeding with transgenes. Trends Biotechnol. 21:192-195
  2. Duke, S. O., A. M. Rimando, F. E. Dayan, C. Canel, D. E. Wedge, M. R. Tellez, K. K. Schrader, L. A. Weston, T. J. Smillie, R. N. Paul and M. V. Duke (2002) Strategies for the discovery of bioactive phytochemicals. pp.I-20. In Phytochemicals as bioactive agents. CRC Press
  3. Duke, S. O., J. G. Romagni and F. E. Dayan (2000) Natural products as sources for new mechanisms of herbicidal action. Crop Protect. 19:583-589
  4. Hwang, S. J., D. H. Shin and K. U. Kim (1997) Identification of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from lilac (Syringa vulgaris L.). Kor. J. Weed Sci. 17(3):334-344
  5. Kil, B. S., D. M. Han, C. H. Lee, Y. S. Kim, K. Y. Yun and H. G. Yoo (2000) Allelopathic effects of Artemisia lavandulaefolia. Kor. J. Ecol. 23:149-155
  6. Lin, L. J., G. Peiser, B. P. Ying, K. Mathisa, F. Karasina, Z. Wang, J. Itatani, L. Green and Y. S. Hwang (1995) Identification of plant growth inhibitory principles in Ailanthus altissima and Castela tortuosa.J. Agric. Food Chem. 43:1708-1711
  7. Mitchell G., D. W. Bartlett, T. E. M. Fraser, T. R. Hawkes, D. C. Holt, J. K. Townson and R. A. Wichert (2001) Mesotrione: a new selective herbicide for use in maize. Pest. Manag. Sci. 57:120-128
  8. Yang, K. J., K. H. Kim and I. M. Chung (1998)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natural herbicidal active substance in rye and oat extracts. Kor. J. Weed Sci. 18:348-355
  9. 권병옥, 복성해, 김영구, 이승호, 신종헌, 서영완 (1997) 쑥으로부터 추출된 파네실전이 효소저해활성을 갖는 아타노말로이드계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대한민국특허 1997-0008517
  10. 김문무, 이학모, 김상년 (2001a) 피부노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대한민국특허 2001-0034464
  11. 김성문, 허수정, 용석호, 김진석, 허장현 (2001b) 천연물기원 살초활성물질. 한국잡초학회지 21:199-212
  12. 김성진 (2001) 세신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세포 보호 및 기억력 증진용조성물. 대한민국특허 2001-0050670
  13. 김성진 (2003) 세신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세포 보호 및 기억력 증진용조성물. 대한민국특허 2003-7011842
  14. 김영균 (1999a) 플라타너스나무로부터 베츌린산의 생산기술. 대한민국특허 1999-0038466
  15. 김춘란 (1999b) 피부외용 남성 성기능장애 치료제 및 그의 제조 방법. 대한민국특허 1999-002787
  16. 김희연, 권용관, 조홍연, 강혜원, 한복경 (2000) 월계수잎으로부터 분리한 항산화제 및 그의 정제방법. 대한민국특히 2000-0007093
  17. 김희연, 최해진, 김도순, 허수정, 김성문 (2003a) 애기수영 (Rumex acetosella L.)으로부터 새로운 살초활성물질 chrysophanic acid의 분리. 한국잡초학회지 23(4):301-309
  18. 김희연, 최해진, 유용만, 허수정, 임상현, 김진석, 김성문 (2003b) 식물기원 제초활성물질. 한국잡초학회지 23(3):190-212
  19. 김희연, 최해진, 임상현, 허수정, 한상섭, 김도순, 황기환, 김성문 (2003c) 살초활성물질 함유 국내 자생식물의 탐색 (I). 한국농약과학회지 7(4):248-257
  20. 문석식, 조순장, 황의형, 신종헌, 서영환, 이정옥, 최상운, 박종진, 홍승서, 이현수 (1999) 항 종양 효과가 있는 화합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항종양제. 대한민국특허 1999-0017919
  21. 민선호, 김창규, 이능안, 양승각 (1989) 항균성 치약. 대한민국특허 1989-0000070
  22. 박수님, 부용출 (1989) 세포 보호제. 대한번국특허 1989-0015050
  23. 박영준 (2004)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방지제 및 발모제. 대한민국특허 2004-0019161
  24. 박종의, 이정규 (2003) 상용 약용식물도감. 신일상사. p.598
  25. 복성해, 정태숙, 배기환, 박용복, 최병숙, 문석식, 권용국, 이은숙, 이준성, 현병화 (1998) 루틴 및 쿼세틴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및 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대한민국특허 1998-0037959
  26. 성낙술 (2002) 약초자원의 개발이용 소득화 방안. pp.3-22. In 강원도 자생 부존자원의 소득작물화 방안. 강원도 농업 기술원
  27. 손남율 (2000) 항바이러스제 및 항암제. 대한민국특허 2000-0012577
  28. 손동욱, 류지영, 강정일, 김현수, 이상현 (2003) 간독성에 대한 보호 활성을 갖는 가시오가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부탄올로 분획한 분획층과 부탄올분획층에서분리한 시린진과시린가레시놀-디-오-베타-굴루코피라노사이드을 함유하는항산화작용과 간독성 보호 활성을 갖는 조성물. 대한민국특허 2003-0061603
  29. 송양헌, 이상남, 박기업 (2001a) 식물성스테롤과 생 플라보노이드의 결합체를 이용한 혈중콜레스테롤 저하제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혈중콜레스테롤 저하제. 대한민국특허 2001-0021262
  30. 송양헌, 이상남, 박기업 (2001b) 식물성 스테롤의 유도체를 이용한 혈중 콜레스테롤저하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혈중 콜레스테롤저하제. 대한민국특허 2001-0021260
  31. 유종현, 박건영 (2001) 암예방 생식 조성물. 대한민국특허 2001-0004943
  32. 육창수 (1989) 원색한국약용식물도감. 아카데미 서적. p.665
  33. 윤혜숙 (1993) 합성에 의한 하이게나민 (Higenamine) 의 제법과 이를 함유한 혈전증 및 내독 쇼크억제제. 대 한민국특허 1999-041208
  34. 윤혜숙, 장기철, 이덕형, 류재천 (1999) 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대한민국특허 1999-0041208
  35. 이강만, 이현주 (2001) 알코올 탈수소효소를 저해하는 천연물 유래의 숙취억제조성물. 대한민국특허 2001-0027453
  36. 이경모 (2003) 친환경농업 생산현황과 발전방향. pp.69-96. In 환경농업총람. 농경과 원예
  37. 이우철 (1996a)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p.624
  38. 이우철 (1996b) 한국식물명고. 아카데미서적. p.2383
  39. 이유선, 김미성, 임상현, 허수정, 권순배, 박동식, 한상섭, 김성문 (2004) 국내 자생 살초활성물질의 탐색. 한국잡초학회지 24(2):103-113
  40. 이재호 (2001) 살충성 비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살충방법. 대한민국특허 2001-0010424
  41. 이철호, 조동광, 이갑연, 권기원, 최명석 (2002b) 한국산 음나무의 kalosaponins 함량과 이에 영향하는 몇가지 생장요인. 한국식물생명공학회지 29(3):209-215
  42. 이영재, 류기중, 이남호, 진주연, 양철신 (2002a) 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압강하용 조성물. 대한민국특허 2002-0048884
  43. 이철희 (2002) 생물산업발전을 위한 자생식물의 활용방안. pp.27-67. In 기능성 자생식물의 고부가가치상품화 방안. 농촌진흥청 고령지시험장
  44. 임민성, 강성식, 김종욱, 최규택, 박평환, 서병태(1997) 올레인산 유발 급성 폐손상시 pentoxifyline의 예방적 효과. 대한마취과학회지 33:41-48
  45. 전기엽, 문성필 (2000) 해당화뿌리의 가수분해형 탄닌(Rosanin) 이 실험용 백서의 혈당, 중성지방 및 제4당수송체 mRNA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대한내과학회지 58(2): 180-188
  46. 전종택, 김영택, 홍진천, 박성순 (2001) 피부자극완화효과를 가진 화장료 조성물. 대한민국특허 2001-0004548
  47. 정보섭, 신민교 (1990) 도해 향약(생약)대사전. 영림사. p.1160
  48. 정홍근 (1993) 항알러지성 의약조성물. 대한민국특허 1993-0000384
  49. 조병옥, 진미림, 정형진, 김선영, 김봉철 (2003) 생약복합물을 포힘하는 위장관 운동장애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대한민국특허 2003-0023173
  50. 조의환, 정순간, 이순환, 강동욱, 오정완, 이영희, 홍용기(2001)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및 지방세포의 증식 억제효과를 갖는 베타-시토스테롤 유도체 및 그의 제조 방법. 대한민국특허 2001-0088579
  51. 진무현, 김송이, 김호정, 장민열, 강세훈 (1998) 콜라겐합성 촉진재를 포힘하는 주름개선, 탄력증진 및 창상치유용 피부 조성물. 대한민국특허 1998-0032537
  52. 최명석, 신금, 권오웅, 손성호 (1998) 항균작용이 있는 차나무과 수종의 추출물 및 제조방법. 대한민국특허 1998-0003324
  53. 최옹호, 안성구, 이승헌 (1997) Oleic acid 도포에 의한 hairless mouse의 피부투과장벽 및 표피의 변화. 대한피부과학회지 35(4):702-711
  54. 최원식 (1999) 식물에서 추출한 정유성분의 저곡해충훈증제. 대한민국특허 1999-0063763
  55. 최해진, 김희연, 허장현, 허수정, 김도순, 김성문(2003) 할미꽃(Pulsatilla koreana Nakai)으로부터 새로운 살초활성물질 anemonin의 분리. 한국잡초학회지 23(4):31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