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Typology of Maritally Violent Men: Testing the Three Batterer Subtypes Derived from Theory

가정폭력 행위자의 유형: 이론에 따른 세 하위유형의 검증

  • Published : 2004.08.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subtypes of men who batter, and explored the differences among them. It was based on 217 subjects from all around the nation who received legal punishment. In the analysis of the typology, we specifically tested whether the Holtzworth-Munroe and Stuart proposed typology was verified. The results of the cluster analysis revealed support for their theoretical distinction for three types of abusers. These results imply that Holtzworth-Munroe and Stuart's batterer typology is applicable to Korean batterers to some degree. Type 1 men demonstrated the lowest levels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abuse toward their wives and were the least likely to have had a history of child abuse or alcohol problems. These men had lower MCMI scores and did not show any extraordinary personality traits. Men in this category were violent only against their wives, had relatively liberal sex role attitudes and had the most satisfaction in their intimate relationships. Type 2 men were violent only at home, using a moderate level of violence. These men had very high levels of dependency on others and showed a borderline, avoident or passive-aggressive personality. The amount of alcohol consumption was similar to Type 1, but scores of jealousy, self-esteem, and attitudinal variables were similar to Type 3 men. They lacked assertiveness skills and reported the least marital satisfaction. Type 3 men used the most severe violence and were violent both inside and outside the home. These men showed signs of antisocial and aggressive personality. They had experienced frequent physical abuse during childhood, were the most likely to abuse alcohol and had lower self-control. Type 3 were the most traditional in their views of women's roles and had attitudes supporting violence. Based upon the study findings, practical implications of enhancing treatment efficacy were considered.

본 연구는 사법부의 보호처분을 받은 전국의 217명 가정폭력 가해남성들을 대상으로 행위자의 유형을 구분하고 각 유형별 특성을 살펴보았다. 유형화 과정에서 본 연구는 특히 Holtzworth-Munroe와 Stuart가 제안한 세 하위유형이 타당한지 확인하였다. 군집분석을 사용해서 밝혀진 결과에 따르면, Holtzworth-Munroe와 Stuart의 세 유형분류는 타당성이 있으며 그에 따라 한국 행위자들에 대한 적용 가능성도 어느 정도 확인되었다. 첫 번째 유형은 신체 및 심리적 폭력 수준이 가장 낮고, 아동기 학대경험이 적으며, 알코올에 덜 의존하는 생활패턴을 보인다. 성격기질 측면에서도 특징이 없는 편이며, 모든 MCMI 변인들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기록하고 있다. 유형1은 아내에게만 폭력을 행사하며, 비교적 양호한 성평등적 태도를 갖고 있고 부부관계 만족도가 높다. 두 번째 유형은 중간 수준의 폭력성을 보이며 이러한 폭력은 아내에게만 행해지고 있었다. 유형2는 가장 높은 수준의 의존성, 경계선성, 회피성, 수동공격성을 기록하고 있다. 알코올 의존도는 유형1과 비슷하나 질투심, 자존감, 태도 변인들은 유형3과 근사한 수치를 보인다. 이들은 특히 주장기술이 부족하고, 부부관계에서의 불만족을 표출하고 있었다. 세 번째 유형은 신체적, 심리적 폭력의 정도가 가장 높고 아내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상황에서도 폭력을 행사한다. 이들은 가장 높은 반사회성과 공격성을 나타내고 있다. 아동기 학대경험이 가장 많고, 알코올 남용이 심하며, 통제력이 낮다. 또한 여성의 성역할에 대해 보수적이면서 폭력 사용에 대한 허용도가 매우 높았다. 이러한 결과들을 기초로 행위자 유형별로 상담 효과를 높이기 위한 개입방안들이 제시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