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fference of Lung Cancer Prevalence According to Smoking Habits

흡연 습관에 따른 폐암 발생의 차이

  • Park, Moo Su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ung, Jae 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ung, Jae He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Young Sa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Se K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ee, Sun Ha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and Management, Yonsei University) ;
  • Chang, J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Sung K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박무석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재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재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영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세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지선하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 장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성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2003.09.30

Abstract

Backgrou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moking habits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and identify any difference of prevalence according to histologic types of lung cancer. Methods : The data were calculated by total amounts of tar and nicotine inhaled during the whole lifetime according to variation of smoking habi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d any difference of prevalence in lung cancer according to smoking habits. The subjects comprised 150 lung cancer cases and 300 hospital control cases that were matched by age and sex. Smoking habits during the whole lifetime were surveyed by standardized questionnaire. Odds ratios were estimated by un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re were 104 male and 34 female lung cancer cases. By histologic type, there were 53 cases of squamous cell carcinoma, 67 of adenocarcinoma and 30 of small cell lung carcinoma. The differences between lung cancer cases and controls according to smoking habits were total duration of smoking, total pack years of smoking and number of cigarettes smoked per day during the previous two years. The odds ratio were higher in Kreyberg I, but not in Kreyberg II, for the longer duration of smoking, the greater total pack years of cigarettes consumed, the more cigarettes smoked per day during the previous two years, the longer duration on non-filter smoking, the earlier life cases who began to smoke, and the higher amounts of calculated total tar and nicotine inhaled over the whole lifetime. When we added grade of inhalation to calculation of amounts of tar and nicotine inhaled over the lifetime, the odds ratios of total inhalation amounts of tar and nicotine were as high as those the without them. Conclusions : This study reconfirmed that smoking habits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lung cancer and that there were different associations between smoking habits and histologic types of lung cancer. In particular, calculations of total tar and nicotine amounts inhaled over the whole lifetime were calculated for the first time in trials from lung cancer epidemiologic studies.

연구배경 : 흡연과 폐암 발생 사이의 인과관계는 잘 알려진 사실이지만, 흡연 습관 즉 흡연량 및 기간, 흡연을 처음 시작한 나이, 담배 연기의 흡입 정도, 그리고 담배의 종류 등 다양한 요소들이 폐암 발생에 더욱 크게 작용한다고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 특히 일상동안의 흡연으로 흡입된 타르, 니코틴이 폐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방 법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에 내원한 45세에서 75세 사이의 폐암 환자 150명과 나이와 성별을 일치시킨 폐암이 아닌 질병을 가진 환자 300명을 대상으로 흡연 습관에 따른 폐암 발생 및 폐암 조직형의 교차비, 일생동안 흡입한 티르와 니코틴 총량을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여 산술적으로 합산하여 흡입 총량에 따른 교차비를 알아보고자 환자-대조군 연구를 시행하였다. 각 담배에 포함된 개피 당 타르, 니코틴 함량을 문헌을 통해 조사하였고, 개개인의 흡연 습관의 차이에 따른 일생동안 흡입된 타르와 니코틴의 함량을 구하였다. 결 과 : 폐암 환자군 150명 중 현재 흡연자가 가장 많았고, 여자들 중에서는 비흡연자가 가장 많았으며, 대조군도 유사하였다. 폐암 환자군의 흡연 습관 중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던 것은 흡연 기관과 총 갑년, 최근 2년간 피운 하루 당 개피 수이었고, 흡연 시작 나이와 필터 없는 담배를 피운 기간은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폐암 조직형 중 편평상피세포암과 소세포암은 남자와 현재 흡연자가 가장 많았으며, 선암은 여자와 비흡연자가 가장 많았다. 흡연 습관들 중 Kreyberg I에서는 흡연 시작 나이가 어릴수록, 흡연 기간이 길수록, 총 갑년이 높을수록, 최근 2년간 피운 하루 당 개피수가 많을수록, 필터없는 담배를 피운 기간이 길수록 교차비는 증가하였다. 또한 산술적으로 합산한 일생동안 흡입된 타르와 니코틴의 총량이 높을수록 교차비가 높았다. 그러나 Kreyberg II에서는 각 흡연 습관들의 교차비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는 단일 병원에서 조사되었고, 환자의 기억에 의존하는 제한점이 있으나, 흡연 습관이 폐암 발생, 폐암 조직형 등과 상당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일생동안 흡연 습관의 변화를 타르와 니코틴의 흡입된 총량으로 산술적으로 계산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향후 이에 대한 대규모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