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스피스간호가 말기암환자의 통증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ffects of Hospice Care on the Pain Management of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 Yoon, Mae-Ok (Presbyterian Medical Center, Jesus Hospital)
  • 발행 : 2003.07.05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호스피스 간호가 말기암환자의 통증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 분석함으로써, 말기암환자의 안위를 도모하여 전인적이고 개별화된 간호를 제공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시도된 단일군 전후설계(one group pre-post test)이다. 방법 : 2000년 7월부터 11월까지 전주시에 소재하는 1개 종합병원의 호스피스에 의뢰되어 연구참여에 동의한 말기암환자 3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호스피스 간호는 1주일에 $5{\sim}6$회를 조주 동안 제공하였으며, 자료분석은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의 서술통계와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 1) 통증정도의 중증도는 통증정도가 24시간 동안 가장 심했을 때 통증점수는 중재전이 6.35점, 중재후가 4.76점이었다. 통증으로 인한 지장정도는 중재전에는 인생을 즐김(8.22점), 통상적인 일(7.46점), 보행(7.08점), 일반적인 활동(7.08점)순이었으며, 중재후에는 인생을 즐김(6.62점), 통상적인 일(6.43점), 보행(6.11점), 일반적인 활동(5.78점)순으로 중재전과 후가 동일한 순위를 보였다. 2) 통증의 중증도는 중재전보다 중재후에서 각각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영역별로 분석하였을 때 24시간 동안 가장 심했을 때 통증(t=4.085, P=0.000), 24시간 동안 가장 약했을 때 통증(t=4.020, P=0.000), 평균통증(t=4.254, P=0.000), 조사당시 바로 지금 느끼는 통증(t=5.017, P=0.000)영역에서 중재후 통증이 중재전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3) 통증으로 인한 지장정도는 중재전보다 중재후에서 각각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영역별로 분석하였을 때 일반적인 활동(t=3.137, P=0.003), 기분(t=6.713, P=0.000), 보행능력(t=2.027, P=0.050), 통상적인 일(t=20.132, P=0.040), 대인관계(t=4.143, P=0.000), 수면(t=4.071, P=0.000), 인생을 즐김(t=3.881, P=0.0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 호스피스 간호를 제공받은 말기암환자는 제공받지 않은 말기암환자에 비해 통증정도와 삶의 치장 정도에서 모두 낮아짐이 확인되었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과 같이 말기암환자에 대한 호스피스 간호는 통증감소와 통증이 생활에 지장을 주는 정도를 감소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앞으로 말기암환자를 위해 적극적인 활용을 권장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effects of hospice care on pain management of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Method :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7 terminal cancer patients hospitalized in the general hospital in JeonJu with the hospice care nit.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questionaire with interviews from July to Nov. in 2000. The severity and interference of pain were examined with the self reported survey based on the Korean version of Brief Pain Inventory (BPI-K).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mean, SDs, paired t-test. The hospice care to provide for three weeks. Results : 1) The mean scores of the worst pain for the last 24-hours measured with the pain severity of BPI-K were pre-intervention (6.35) and post (4.76). The pain interference of BPI-K in pre-intervention was enjoy (8.22), work (7.46), walk (7.08) and activity (7.08), while post was of enjoy (6.62), work (6.43), walk (6.11) and activity (5.78), respectively. 2) In pain severit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pre-intervention and post in all of followings. - worst pain for last 24 hours (t=4.085, P=.000) - least pain for last 24 hours (t=4.020, P=.000) - average pain for last 24 hours (t=4.254, P=.000) - pain right now (t=4.017, P=.000) 3) In pain interferenc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pre- intervention and the post in all of followings. - activity (t=3.137, P=.003) - mood (t=6.713, P=.000) - walk (t=2.027, P=.050) - work (t=2.132, P=.040) - relate (t=4.143, P=.000) - sleep (t=4.071, P=.000) - enjoy (t=3.881, P=.000) Conclusion :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who were offered hospice care had significantly lower hospice care pain and pain interference than those without hospice care. According to these results, hospice care can be regarded as an effective modality in relief of pain in the terminal ill-patien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