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gional Differentiation of Agrarian Practices in the Late Choson Period as Reflected in Wu Ha-Young's Cheonilrok

"천일록(千一錄)"을 통해 본 조선후기 농업의 지역적 특성

  • 정치영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Published : 2003.06.30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Wu Ha-Youngs Cheonilrok in order to reconstruc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farming in the late 18th-century Korean countryside. The projected objective is approach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various indices drawn from the volume such as environment, distribution of arable lands, major crops, agricultural techniques, and productivity. The main finding of this research is that unlike todays homogenous picture of agriculture, quite significant differences of agrarian practices existed across the country in the past. The regional differentiation was attributable foremost to natural environment. To elaborate, landform, climate and soil influenced the distribution and use of land plots, the kinds of main crops produced, and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The region-specific agricultural techniques result from the cumulative processes of trial and error against the given environment. Other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which include population, skill of the peasants, size of landownership, and irrigation facilities sustained the regional differentiation of agriculture.

본고는 우하영(禹夏永)이 저술한 "천일록(千一錄)"을 통해 18세기 말 우리 나라 농업의 지역적 특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각 지역의 농업특성은 자연조건 농경지 분포 주요작물 농법 농업생산력 등 "천일록(千一錄)"에서 추출해 낼 수 있는 몇 가지 자료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당시의 농업은 오늘날과 달리 각 지역마다 뚜렷한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농업의 지역성은 일차적으로 자연환경의 차이에 기인하여, 지형 기후 토양 등 자연조건이 농경지의 분포와 이용, 주요 작물 등을 좌우하였으며 농업생산력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았다. 각 지역의 고유한 농법 역시 농민들이 지역 나름의 자연조건을 감안하여 반복된 시행착오를 거치며 개발 발전시켜 온 것들이었다. 이와 더불어, 각 지역의 인구, 농업노동력의 양과 질, 토지소유의 다과, 수리시설을 비롯한 농업기반시설의 충실도 등사회 경제적 상황도 농업의 지역성을 심화시키는 데 지대한 역할을 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