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cation of Algal Growth Potential Test (AGPT) on the Water Quality of the Chinyang Reservoir and the Nam River

진양호와 남강의 수질에 대한 Algal Growth Potential Test (AGPT) 적용

  • 이옥희 (인제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 조경제 (인제대학교 환경시스템학부) ;
  • 신재기 (인제대학교 낙동강유역환경연구센터)
  • Published : 2003.03.31

Abstract

The algal growth potential test (AGPT) bioassay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water quality and fertility in the Chinyang Reservoir and the lower part of the Nam River from August 2000 to July 2001, The AGPT value of the Chinyang Reservoir ranged from 0 to 23.4 mg dw $1^{-1}$, while 79% of the algae cultivation have not grown. The AGPT value was in proportion to phosphorus concentration of the water, and it was less when chlorophyll-a was high. This value was higher in the middle and lower layers than in the upper layer, and in the inflow part where the water is shallower than in the lacustrine. The AGPT value has increased in the whole reservoir in August${\sim}$September when the water volume is high. In contrast, the AGPT value in the Nam River varied greatly compared to that of the reservoir, and ranged from 0 to 252.0 mg dw $1^{-1}$ and 65% of the algae cultivation have grown. The value was less than 10 mg dw $1^{-1}$ in the upstream, over the point where the treated wastewater discharged. It was 57 mg dw $1^{-1}$ on the average in the downstream, except in March and July when the discharged water influenced greatly, exceeding the hypertrophic condition. The result of AGPT shows the differences in the time and space on the reservoir and the streams. The AGPT value has increased in July${\sim}$September, and in December in the inflow part of the reservoir; in March and August${\sim}$December in the lower part; and in January, May, and November in the streams. AGPT is useful not only in defining the influence of the limiting nutrients on the algal growth, but also in evaluating the nutrients fertility in the inland water.

진양호와 남강 수역에서 2000년 8월부터 2001년 7월 까지 남조류 Microcystis aeruginosa에 의한 조류생장잠재력측정 (AGPT)을 수행하였다. 진양호의 AGPT값은0${\sim}$23.4 mg dw $1^{-1}$ 범위이었고, 무생장 처리구가 79%를 차지하였다. AGPT값은 수중 P 농도에 비례하였고, chl-a가 높을 때 낮았다. 또한, 표층보다 중 ${\cdot}$ 저층에서, 하류보다 수심이 얕은 유입부에서 높았다. 계절적으로는 수량이 풍부한 시기인 8월${\sim}$9월에 저수지의 전체를 통해 AGPT값이 증가하였다. 반면에, 남강의 AGPT값은 0${\sim}$252.0 mg dw $1^{-1}$ 범위로써 저수지에 비해 변동 폭이 매우 컸고, 생장이 관찰된 처리구는 65%이었다. 하수처리수가 유입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상류는 연중 10 mg dw $1^{-1}$ 이하였으나, 하류 (KUM${\sim}$YOM 구간)는 유량의 영향이 컸던 3월과 7월을 제외한 평균값이 57 mg dw $1^{-1}$로써 과영양 수준을 초과하였다. AGPT 결과는 저수지와 강에서 시공간적인 차이가 관찰되었다. 저수지의 유입부는 7월${\sim}$9월, 12월에, 하류는 3월, 8월${\sim}$12월에, 하천은 1월, 5월 및 11월에 그 값이 증가하였다. AGPT는 조류 생장에 대한 제한영양염 판정뿐만 아니라, 수중 fertility를 평가함에 있어 유용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기후자료: 산청, 진주 강수량 기상청
  2. 한국육수학회지 v.35 남강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금지돈;양홍준
  3. 한국육수학회지 v.32 국내 주요 호수의 육수학적 조사(3) 김범철;박주현;허우명;임병진;황길순;최광순;채기숙
  4. 경남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환경연구 v.17 남강에 적용된 하천 수질모델의 비교 연구 김봉진;윤기섭;양운진;이찬원
  5. 한국환경과학회지 v.2 진양호와 합천호의 식물플랑크톤상에 관한 연구 김종원;이학영;김맹기;조인숙
  6. 농연보 v.22 남강의 수질과 식물플랑크톤의 분포 김철수;오경환
  7. 한국육수학회지 v.28 진양호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관한 연구 김한순;최재신;정준;김도한
  8. 한국육수학회지 v.32 낙동강에서 AGP에 의한 수질평가 신재기;조경제
  9. 한국육수학회지 v.33 금강 중 · 하류에서 AGP에 의한 수질 평가 신재기;조경제
  10. 인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낙동강 부영양화에 따른 담수조류의 생태학적 연구 신재기
  11. 환경정책 v.4 남강 상류지역 수질보전의 정책방향 윤성윤;정인철
  12. 한국환경농학회지 v.16 남강 농업용수의 시기별 수질변화 이영한;김종균;이한생;조동진;조주식;신원교
  13. 경남대학교 환경연구소 연구보고 v.13 남강 및 태화강 수질의 미생물학적 연구 이호원;허성관;이민웅
  14. 경상대학교 연구논문집 v.21 경남지방의 하천수질오염에 관한 연구, 제1보 남강의 수질오염 실태조사 정태명;하호성;조무제;양민석;윤한대;허종수
  15. 한국환경농학회지 v.14 남강의 수질예측을 위한 QUAL2E 모델 적용 최형섭;박태주;허종수
  16. 한국환경농학회지 v.2 진주시 생활하수가 남강 수질오염에 미치는 영향 하호성;허종수
  17. 남강다목적댐 보강사업 환경관리조사 보고서 한국수자원공사
  18. 남강다목적댐 관리연보 한국수자원공사
  19. 농연보 v.24 진양호의 수질 보전을 위한 조사연구.1. 진양호 상류유역의 수질현황 허종수;하호성;한문규;조주식;이춘희
  20. 농연보 v.24 진양호의 수질 보전을 위한 조사연구. 2. 진양호 상류유역의 수질오염원 및 2000년대 수질예측 허종수;하호성;한문규;조주식;이춘희
  21.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18th ed.) APHA;AWWA;WEF
  22. Mitt. Internat. Verein. Limnol. v.21 Algal assay procedure with one or five species. Minitest Claesson, A.;A. Forsberg
  23. Mitt. Internat. Verein. Limnol. v.21 Water chemical analyses and/or algal assay ?- Sewage effluent and polluted lake water studies Forsberg, C.;S.-O. Ryding;A. Claesson;A. Forsberg
  24. Mitt. Internat. Verein. Limnol. v.21 The use of natural phytoplankton populations in bioassay Goldman, C.R.
  25. Mitt. Internat. Verein. Limnol. v.21 The fertility of some Norwegian inland waters assayed by algal cultures Kotai, J.;T. Krogh;O.M. Skulberg
  26. Mitt. Internat. Verein. Limnol. v.21 Some aspects on the calssification of natural waters by algal assays(AGP), prelude Lehmusluoto, P.O.
  27. Verh. Internat. Verein. Limnol. v.23 A standardized method of algal assay Lhotsky, O.;P. Marvan
  28. Wat. Res. v.8 Algal productivity in 49 lake waters as determined by algal assays Miller, W.E.;T.E. Maloney;J.C. Greene
  29. Arch. Hydrobiol. Beih. (Ergebn. Limnol.) v.14 Comparison of different methods for chlorophyll and phaeopigment determination Nusch, E.A.
  30. Laboratory Manual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Wastewater, and Soil Rump, H.H.;H. Krist
  31. SYSTAT?? 8.0 statistics SPSS
  32. Jpn. J. Limnol. v.41 Studies on the water-blooms in lake Kasumigaura Sudo, R.
  33. National Eutrophication Research Program, Corvallis EPA1972-795-146/1, Region 10 Algal Assay Procedure : Bottle Test USEPA(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34. Toxic Microcystis Isolation, cultivation and classification of bloom-forming Microcystis in Japan Watanabe, M.;Watanabe, M.F.(ed.);K. Harada(ed.);W.W. Carmichael(ed.);H. Fujik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