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Web-based Education Program for the Gifted in Mathematics

웹기반 원격 수학영재교육 학습자료 개발

  • 이영희 (경남대학교 수학교육과)
  • Published : 2003.03.01

Abstract

There have been tremendous needs and requirements of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to the level of country development and for developing their talents. Even though a lot of research has been done on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supported by the government, lack of educational materials and material development has been a main concern. Some trails using the web with the help of information technology have been made on distance education and resulted good effect on education. No application using a web-based educational method has been made on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so far. This paper describes about the web-based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on mathematics. The discussed topics are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compliments of the current educational materials in mathematics being used at the KIGES(Kyungnam Institute of the Gifted Education in Science), and the continuation of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Furthermore, a better and more efficient way is suggested for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that has been limited by geographic and locational restrictions.

국가발전과 영재의 재능계발을 목적으로 한 영재교육의 필요성이 인식되면서 국가적 차원의 뒷받침을 받고 있는 지금 영재교육과 관련된 여러 가지 연구들이 있지만, 정작 영재들을 교육할 학습자료의 개발이 미흡하여 영재지도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인터넷사용 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컴퓨터 응용기술의 발전으로 면대면 수업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원격교육시스템의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연구가 많지만 이를 직접 영재교육에 적용한 사례는 흔하지 않다. 이에 웹기반의 원격 수학영재교육용 학습자료를 개발하여 현재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수학 영재교육을 보충하고 영재교육의 연속성을 확보하며, 나아가 지리적 여건상 집중교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에서의 수학영재교육의 내실을 기할 수 있도록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재은 외 1인(1986), 영재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2. 김흥원(1998), 수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 (수학 창의적 문제 해결력 검사 를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vol. 8. 2, p69-89
  3. 배성민 외 3인(1999),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원격영재교육(KAIST 원격영 재교육 시스템의 사례), 영재교육연구, vol. 9. no. 2, p153-172
  4. 송상헌(1998), 수학영재성 측정과 판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 학교 p111
  5. 송인섭 외 4인 편역(2001), 영재교육의 이론과 방법, 학문사, p79
  6. 신현용 외 3인(1999), 러시아의 수학영재 통신교육, 수학교육, 제 38권 제 2호, p95-103
  7. 이희권(2002), 영재교육제도 및 정책방향, 한국수학교육학회 수학교육학술지, 제 7집 6권, 147-155
  8. 전경원 역(1993), 창의적인 문제해결력, 서울, 서원출판사 : Feldhusen, J. F. & Treffinger, D. J.(1983),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in Gifted Education
  9. 전경원(2000), 한국의 새천년을 위한 영재교육학, 학문사, p221
  10. 카이스트 사이버원격교육-수학, http://gifted.msquare.or.kr
  11. Renzulli, J. S.(2002), What is this thing called Giftedness? And How do we develop i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ducation for the Gifted in Science, 5-46
  12. Mayer, R.E., Schustack, M.W. & Blanton, W.E.(1999), What Do Children Learn from Using Computers in an Informal, Collaborative Setting?, Educational Technology, Mar-Apr, 2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