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Growth and Chlorophyll Contents of Major Oak Tree Seedlings under Different Light Environment in Forest

임분내 광환경의 차이에 따른 주요 참나무 수종의 생장과 엽록소 함량 변화에 관한 연구

  • 권기원 (충남대학교 환경임산자원학부) ;
  • 최정호 (충남대학교 환경임산자원학부) ;
  • 송호경 (충남대학교 환경임산자원학부) ;
  • 강병식 (충남대학교 환경임산자원학부)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This study was subjected to compare seasonal changes of survival rate, relative growth rate, and chlorophyll contents of major oak tree species including Quercus acctissima, Quercus mongolica, Quercus serrata, Quercus varibilis seedlings grown in Quercus acctissima forest under different light intensities. Three light intensities were 81% of sunlight, 34% of sunlight and 21% of sunlight. In each treatment, 100 tree seedlings were planted and survival rate, growth rate, and chlorophyll contents were measured. The highest survival rate was Quercus acctissima in 73% seedlings compared with those subjected to the other tree seedlings in 45~66%. Lowest survival rate was Quercus vnriabilis seedlings in 41%. Oaks tree species of the height, the root collar diameters of the relative growth were better in the seedlings grown in 81% light intensities of full sun. But growth rates decreased rapidly in the shade treatment of 21% light intensities of full sun. Lowest chlorophyll contents(chlorophyll a, b and total) were shown at 21% light intensities of full sun, lowest light intensity treatment in this study This result is thought growth and chlorophyll contents associated with light intensity Also,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has to be investigated in near future because photosynthesis and chlorophyll contents were strongly related to tree growth with long periods.

참나무류 주요 수종을 대상으로 다양한 광선 조건에 식재된 실생묘의 활착 및 상대생장량과 광선에 대하여 민감하게 작용하는 엽록소 함량의 계절적인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상수리나무 1-1묘, 1-0묘, 신갈나무 1-0묘, 졸참나무 1-0묘, 굴찬나무 1-0묘를 상수리나무 임분내에 상층임분 밀도를 자연광의 81%, 34%, 21% 등 3가지로 조절하였다. 조사대상 수종의 묘목을 20m x l0m 크기의 시험구에 100본씩 식재하여 활착율, 상대생장량, 엽록소 함량을 비교하였다. 상수리나무 1-1묘가 평균 73%로 다른 수i종에 비해 높은 활착율을 보였고, 상수리나무 1-0묘가 66%, 신갈나무와 졸참나무가 각각 56%, 45%였으며, 굴참나무는 41%로 이식후 활착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자연광의 81% 실험구에서 대부분의 주요 참나무류 수고, 근원경 생장이 가장 좋은 경향을 보여 주고 있었으며 자연광의 21% 실험구에서는 오히려 광도가 낮아지면서 생장이 상대적으로 저해되는 경향을 보여 주고 있다. 엽록소 함령(a, b, 총엽록소 함향)은 광도가 낮아지면서 엽록소 함량도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주요 참나무류 수종의 피음 효과에 대한 생장반응은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하며, 엽록소 함량과 생장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생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