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8도′의 별칭과 지형의 관련성

Relevancy between Aliases of Eight Provinces and Topographical Features during the Chosun Dynasty

  • 범선규 (고려대학교 지리교육과)
  • 발행 : 2003.12.01

초록

우리나라에서는 공식적인 행정명칭 이외에 각 도 또는 일부지방의 별칭이 오늘날 뿐 만 아니라 지방행정제도로 도제가 확고하게 시행되었던 조선시대에도 널리 통용되었다. 별칭 중에 가장 대표적인 것은 조선의 8도(정확하게는 경기와 7도)를 대신하는 기호 관동 호서 해서 호남 영남 관서 관북과 강원도의 동부와 서부를 지칭하는 영동 영서이다. 이 별칭들의 유래는 거의 전부 지형을 비롯한 자연지리적 요소에 그 기준을 두고 있어, 도회지명에 전적으로 의존했던 공식적인 행정도명과 비교된다. 별칭 중에는 13∼14세기의 문헌에 등장하는 것도 있으며, 15세기 후반부터는 8도의 별칭 모두가 널리 통용된 것 같다. 별칭이 길게는 700년이 넘게, 짧은 것도 500여년에 걸쳐 지속적으로 사용되면서 지리적으로는 공식적인 행정지명에 못지않은 역할을 해온 것이다. 오늘날 조선 8도와 일부 지방의 별칭은 그곳의 문화와 역사적 배경을 담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 은연중에 지리적인 '지역구분'의 단위로 받아들여질 만큼 그 의미가 중요해졌다. 각 도의 별칭은 공식적인 행정도명과는 달리 그 유래나 의미 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문헌자료를 통해서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이것에 대해 지리학계와 일반인들에게 흔히 소개되는 내용이 없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 내용 중에도 면밀한 검토가 필요한 부분이 있다. 우선 관북 관서 관동의 '관'과 영남 영동 영서의 '영'은 널리 알려진 것처럼 고갯길 한두 개만 지칭한다고 보기보다는 각각 접경지대(변경지대), 군사상의 요충지가 많은 지방과 소백산맥 태백산맥을 의미하는 면도 있다고 믿어진다. 그리고 호남 호서 기호의 '호'는 금강과 의림지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보이지만, 보다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해서는 경기만의 서쪽이라는 의미와 함께 해주와 서하(풍천)의 머릿글자를 따라 정했을 가능성도 있는 것 같다.

In Korea, aside from their official administrative names, aliases of each province or some regions are widely used not only today but also during the Joseon period when the provincial system as local administrative system was firmly implemented. Of aliases, the most representative were Giho, Gwandong, Hoseo, Haeseo, Honam, Yaeongnam, Gwanseo, and Gwanbuk representing the eight provinces (precisely, Gyeonggi and seven provinces) of Chosun Dynasty, as well as Yeongdong and Yeongseo that represent the east and the west of Gangwon-do. These aliases are mostly based on topographical features and physiographical elements, and compared to the official names of eight provinces which depended solely on city names. Of aliases, some appeared in literature during 13-l4th centuries, and all provincial aliases seem to have been widely used after the late 15th century. Aliases continued to be used for 500 to over 700 years. Aliases of eight provinces, geographically, played not lesser role than their official names. Aliases of the eight provinces and regions during the Chosun Dynasty that have been handed down are considered as holding their places' 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and have become important enough to be accepted as a unit of geographical regional division. The origin and meaning of aliases of each province have been partially disclosed to the geographical circle and the general public. However, the details should be reviewed. First of all, Gwan in Gwanbuk, Gwanseo and Gwandong, as well as Yeong in Yeongnam, Yeongdong and Yeongseo, are each considered as meaning Sobaek Mountain Range and Taebaek Mountain Range with many borderline areas (borders) and military strategic hubs. Also, Ho in Honam, Hoseo, and Giho, are considered as based on the Geum River and Eurimji, and Haeseo are considered as meaning the west of the Gyeonggi Bay, and having relevancy with the first letters of Haeju and Seoha (Pungcheon).

키워드

참고문헌

  1. 六堂崔南善 全集3 (朝鮮常識, 1937) 高慮大學校 亞細亞問題硏究所
  2. 韓國地理 (總論, 제 3판) 權赫在
  3. 지리사전 (상)
  4. 地方行政區域開發史 內務部
  5. 地方行政地名史 內務部
  6. 大東輿地圖 韓國史學會
  7. 국역고려사절요 (전 5권) 민족문화추진회
  8. 국역담헌서 (홍대용) 민족문화추진회
  9. 국역동국이상국집 (이규보) 민족문화추진회
  10. 국역만기요람 Ⅱ 민족문화추진회
  11. 국역면암집 (최익현) 민족문화추진회
  12. 국역불우헌집(정극인) 민족문화추진회
  13. 국역삼봉집(정도전) 민족문화추진회
  14. 국역상촌집(신흠) 민족문화추진회
  15. 국역서애집(유성룡) 민족문화추진회
  16. 국역성소부부고(허균) 민족문화추진회
  17. 국역세조·성종·중종·명종·선조·인조실록(색인편) 민족문화추진회
  18. 국역신증동국여지승람(전 7권) 민족문화추진회
  19. 국역신증동국여지승람(전 7권) 민족문화추진회
  20. 국역양촌집(전근) 민족문화추진회
  21. 국역연려실기술(이긍익) 민족문화추진회
  22. 국역익재집(이제현) 민족문화추진회
  23. 국역한수재집(권상하) 민족문화추진회
  24. 국역세종장헌대왕실록 24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5. 국역증보문헌비고 여지고 (전4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6. 국역택리지(이중환) 이익성(역)
  27. 호남전통문화론 박만규;나경수(편저)
  28. 문화역사지리 v.15 no.2 高慮~朝鮮의 行政道名과 道名都會地 범선규
  29. 문화역사지리 v.14 no.3 고려와 조선의 도명칭과 지방의 별칭 범선규
  30. 대한지리학회 추계학술대회요약집 嶺東의 自然地理와 災害-수해와 산불을 중심으로 범선규
  31. 북역고려사(전11책) 신서원 편집부
  32. 한국의 발견 강원도 뿌리깊은나무
  33. CD-ROM 조선왕조실록(국역, 증보판) 서울시스템(주)
  34. 韓國地方制度·自治史硏究(上) 孫禎睦
  35. 기호학파의 철학사상 윤사순(외)
  36. 湖南文化硏究 v.2 湖南文化의 影響 李丙熱
  37. 湖南文化硏究 v.2 湖南文化의 槪觀 李乙浩
  38. 東洋年表(改正增補版) 李鉉淙
  39. 대한지리학회지 v.38 no.2 지리학 용어로서의 地方에 관한 역사적 고찰 이호상
  40. 國史大事典(新改正增補版) 李洪稙
  41. 韓國驛制史 趙炳魯
  4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전28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3. 한국지명총람(전18권) 한글학회
  44. 지방행정구역발전사 행정자치부
  45. 大漢和辭典(全十三卷) 諸橋轍次
  46. 中華人民共和國分省地圖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