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ater Soluble Ionic Components in Precipitation at ChungNam West-Coast Area

충남 서해안지역 강수 중 수용성 이온 성분의 변화특성

  • 정진도 (호서대학교 환경공학과) ;
  • 이천호 (호서대학교 대학원 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This study was compared each ingredient's local/seasonal change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anions and cations, watersoluble ionic components, from the precipitation of Dangjin and Anmyeon-do areas. The samples were collected for 8 months from both spots between the period of April 1, 2002 to November 31, 2002. The precipitation samples were collected continuously through the entire duration of precipitation by using the wet-only automatic samplers. When rain continues to fall over 24 hours or occasionally, we considered those collected from 9 o'clock in the morning for 24 hours as the day's samples. As a method to verify for the reliability of the analyzed data is concerned, we use the ion balance method and the electricity conductance method, was used widely as a way of watching the atmosphere by the WMO(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GAW (Global Atmosphere Watch). Also, Dangjin and Anmyun-do area confirmed that contains artificial pollutants by analysis of ion concentration data.

당진 지역과 안면도 지역의 강수특성을 비교해 보기 위하여 수용성 이온성분 및 pH, 전기전도도 등을 2002년 4월 1일부터 2002년 11월 30일까지 당진 지역 총 47개의 시료와 안면도 지역 총 59개의 시료를 측정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강수의 신뢰성 검토에는 WMO에서 사용하고 있는 이온수지법과 전기전도도법에 의한 방법 두 가지를 사용하였는데, 당진 지역의 강수는 이온수지법($r^2$ : 0.9429), 전기전도도법($r^2$ : 0.9916)의 값을 나타냈으며, 안면도 지역의 강수는 이온수지법($r^2$ : 0.9620), 전기전도도법($r^2$ : 0.9955)의 값을 보임으로써 WMO에서 권고하는 분석 자료에 대한 신뢰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2) 당진과 안면도 지역의 pH 분포는 당진 지역이 년 평균 pH 4.6, 안면도 지역이 년평균 pH 4.8로 산성비 기준인 5.6보다 산성을 나타내었다. 산성비 기준인 pH 5.6이하의 총 발생빈도는 당진이 약 76.8%, 안면도 지역이 81.4%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두 지역에서 산성비가 그만큼 내렸다는 것과 같고, 또한 pH의 저하요인인 음이온이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되어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3) 강수량과 pH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당진 지역과 안면도 지역 모두 여름철인 7, 8월에 강수량이 집중되었고 pH 또한 4.1-5.5 사이로 봄철이나 가을철에 비해 pH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여름철의 장마로 인한 대기 중의 세정효과로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Tamaki, M. and I. Koyama, 1991, The Acid Rain Observed on Ground Level in Japan A Review of Mayor Recent Issues and problems, J. Japan Soc. Air Pollut., 26(1), 1-22.
  2. Howells, G., 1990, Acid Rain and Acid Waters, Ellis Horwood, 9-62/134-165pp.
  3. Legge, A. H and S. V. Krupa, 1990, Acid Deposition : Sulphur and Nitrogen Oxides, Lewis Publishers, 1-6pp.
  4. Knotkova, D. and , K. Barton, 1992, Effects of Acid Deposition on Corrosion of Metals, Atmospheric Environment, 26A(17), 3169-3177.
  5. Kupchella, C. E. and M.C. Hyland, 1989, Environmental Science, Allyn and Bacon, 329-340pp.
  6. 황성욱, 2000, 부산지역 산성강우의 화학적 성상과 pH 영향인자의 해석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0pp.
  7. 한국과학재단, 1994, 대기오염물질의 장거리 이동에 따른 산성강하물의 침착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재단, 20-32pp.
  8. 중앙일보, 1982, 빗물의 산성도 매년 심해져, 1982년 11월 2일자 6면.
  9. Dianwu, Z., 1988, Acid Rain in Southwestern China, Atmos. Environ., 22(2), 349-359. https://doi.org/10.1016/0004-6981(88)90040-6
  10. 조석주, 최금숙, 김흥주, 김정영, 김광래, 김광진, 1999, 서울지역 산성강우의 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보, 246-256pp.
  11. 최무운, 1990, 지구과학, 자유출판사, 7-53pp.
  12. 환경부, 1999, 산성비 감시 및 예측기술 개발, 5-20pp.
  13. 권우택, 김선태, 나춘기, 박기학, 이남훈, 이주삼, 홍지형, 황갑성, 1996, 산성우조사법, 동화기술, 333-358pp.
  14. 홍승희, 1998, 한반도 도시, 도서 및 산림지역 강수의 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30pp.
  15. H. Hiroshi, M. Kitamura, A. Mori, I. Noguchi, T. Chizumi, S. Seto, T. Takeuch and T. Deguchi, 1995, Water and Soil Pollution, 85, 2307. https://doi.org/10.1007/BF01186178
  16. 酸性雨調査法硏究會, 1996, 酸性雨の調査法, 酸性雨調査法硏究會の日本環境大氣科.
  17. 오길영, 양수인, 이원진, 1999, 목포, 여천지역 강수의 무기이온 성분농도와 거동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5(4), 385-392.
  18. 이강웅, 강성현, 오재룡, 김경렬, 1998, 해양기원 DMS의 대기중 황화합물 기여도 연구, 한국대기보존학회 춘계학술대회요약집, 195pp.
  19. 박종수, 1999, 인천지역 강우의 산성도 및 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25pp.
  20. Gary, J. S., 1992, Acid Rain, Encyclopedia of Environmental 1, Science and Engineering, Gordon and Breach Science Publishers, 1-10pp.
  21. 김희강, 김신도, 나진균, 김동술, 정일래, 문길주, 이종범, 홍민선, 1995, 대기오염개론, 동화출판사, 59-80pp.
  22. John, H. S., 1986,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of Air Pollution, John Wiley & Sons, 695-719pp.
  23. WMO/GAW, 1996, Report of the workshop precipitation chemistry laboratory techniques, WMO/GAW, 102, 14-16.
  24. 방소영, 최재천, 박상순, 조경숙, 오성남, 2002, 한반도 배경지역 강수 중 수용성 이온성분의 화학적 특성 분석, 한국기상학회지, 39(1), 29-41.

Cited by

  1. Chemical Properties of Precipitation in Related to Wind Direction in Busan, Korea, 2009 vol.35, pp.2, 2014, https://doi.org/10.5467/JKESS.2014.35.2.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