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Bed-rock Formations on Water Quality and Contamination : Statistical Approaches

수자원의 수질과 오염에 대한 기반암의 영향 연구 : 통계학적 접근

  • 이병선 (서울시정개발연구원) ;
  • 우남칠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This study was objec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water qua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contamination in adjacent bed-rock areas of Upper Hwajeonni and Guryongsan Formations in Miwon, Choongchungbuk-do, Korea. Water samples showed mainly (Ca, Mg)-$HCO_3$ type in Upper Hawjeonni Formation and (Ca, Mg)-$SO_4$ and (Ca, Mg)-$HCO_3$ types in Guryongsan Formation indicating the enrichment of $SO_4$ in major compositions. Groundwater quality could b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major weathering processes, implied by the ratio of bicarbonate to silica. Carbonate-silicate weathering predominates in Upper Hwajeonni Formation, and silicate weathering in Guryongsan Formation. Stream-water quality also appeared to be controlled by water-rock interaction. Cluster analysis identified three groups of groundwater and four groups of stream-water with distinctiv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the levels of each chemical constituent in water samples derived from both natural weathering reactions and anthropogenic contamination sources. To delineate the pollution potential of water resources, Modified Pollution Index(M.P.I.) was developed. M.P.I. scores of water samples ranged from -0.08 to 0.18, with mostly positive along the rock quarry in Guryongsan Formation areas. M.P.I. scores appeared to be a useful predictor of metal contamination of water resources.

이 연구는 충북 미원면 일대 옥천대 흑색셰일 분포지의 상부 화전리층과 구룡산층 지역에서 기반암의 종류에 따른 수질과 오염특성의 변화를 규명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배경수질은 상부 화전리층 지역 시료에서는 주로 (Ca, Mg)-$HCO_3$ 유형이, 구룡산층 지역 시료에서는 $SO_4$의 상대적인 부화로 인하여, 주로 (Ca, Mg)-$SO_4$, (Ca, Mg)-$HCO_3$ 유형이 나타났다. 지하수 시료의 경우, 상부 화전리층 시료에서는 탄산염 및 규산염 광물의 풍화가, 구룡산층 시료에서는 규산염 광물의 풍화가 주를 이루고 있다. 하천수 시료의 경우도 대부분 물-암석 반응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분석의 결과, 지하수 시료는 크게 3그룹으로, 하천수 시료는 크게 4그룹으로 분류된다. 요인분석의 결과, 물 시료내의 각각의 화학원소의 함량은 주로 자연적인 풍화의 요인과 일부 인위적인 오염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형된 오염지수(M.R.I.)를 사용하여 연구지역의 수질오염을 살펴본 결과 -0.08∼0.18 사이로 나타나며, 주로 구룡산층 채석장 지역 시료에서 0이상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에서 도입된 변형된 오염지수는 앞으로 수질 오염 예측 및 관리자를 위한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자원환경지질 v.30 추부지역 흑색셰일 및 점판암 분포지역에서의 잠재적 독성원소들의 분산과 부화 김종신;전효택
  2. 지하수환경 v.5 충북 괴산군 덕평리 일대의 지하수 수질과 오염 김형돈;우남칠;최미정
  3. 자원환경지질 v.34 광주광역시 운정동위생매립장 주변 지하수와 하천수의 환경지구화학적 오염특성 오근창;윤정한;김경웅;박천영;김정빈;양동윤;김주용;이광례
  4. 지질학회지 v.30 춘천 지역의 기반암 종류에 따른 지표수의 지구화학적 특성 유재영;최인규;김형수
  5. 지질학회지 v.38 제주도 용천수의 수리지화학적 특성 이봉주;문상호;박기화;고동찬;고기원
  6. 지질공학 v.13 대구시 퇴적암 분포 지역의 지하수에 대한 환경지화학적 특성 이인호;조병욱;이병대
  7. 지하수토양환경 v.7 광주광역시 지하수의 수리지화학적 특성 연구 이인호;조병욱;이병대;성익환;임용수
  8. 한국지질도-미원도폭 (1:50000) 이종혁;이민성;박봉순
  9. 자원환경지질 v.29 충주지역 흑색셰일 분포지역에서의 잠재적 독성원소들의 분산과 부화 이진수;전효택;김경웅
  10. 자원환경지질 v.30 보은지역 흑색셰일 분포지역에서의 암석-토양-식물계내 잠재적 독성원소들의 분산과 이동 이진수;전효택;김경웅
  11. 한국자원공학회지 v.35 옥천대 흑색셰일 및 점판암 분포지역의 토양과 식물내 독성원소들의 지구화학적 거동 이진수;전효택;김경웅
  12. 자원환경지질 v.30 덕평지역의 탄진 변성니질암에 관한 환경적 독성원소의 지구화학적 기원, 거동 및 부화 이현구;이찬희
  13. 자원환경지질 v.30 충북 괴산 덕평리 일대 흑색 셰일 및 흑색점판암기원 토양의 점토광물 조성 및 중금속원소의 분산 전철민;문희수;최선경;우남칠
  14. 지하수환경 v.4 동해신광산 터널굴착공사와 관련된 지표수 및 지하수의 유동변화에 대한 조사연구(Ⅱ)-수리지구화학적 고찰 전효택;이희근;이종운;이대혁;류동우;오석영
  15. 광산지질 v.24 함우라늄 흑색세일 분포지역에서의 유독성원소들의 분산에 관한 지구화학적 연구 전효택;정명채
  16. 지질공학 v.9 동래온천지역의 지열수와 지하수의 지화학적 특성 한석종;함세영;성익환;이병대;조병욱;조명희
  17. 지하수토양환경 v.7 무주지역 수질특성자료의 통계학적 분석에 의한 소유권 구분 한원식;우남칠;이기철;이광식
  18. 자원환경지질 v.29 대전지역 지하수에 함유된 우라늄 및 라돈의 함량 한정희;박계헌
  19. Applied Geochemistry v.11 The coourrence and dispersion of potentially toxic elements in areas covered with black shales and slates in Korea Chon,H.T.;Cho,C.H.;Kim,K.W.;Moon,H.S. https://doi.org/10.1016/0883-2927(95)00061-5
  20. Goesystem engineering v.3 Hydro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contamination of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in the Middle Okchon zone, Korea Chon,H.T.;Oh,S.Y. https://doi.org/10.1080/12269328.2000.10541158
  21. International Ground Water Modeling Center(IGWMC), Proceedings of the 1993 Ground Water Modeling Conference The use of 2-way cluster analysis as a tool for delineating trends in hydrogeologic units and development of a conceptual model Colby,N.D.
  22. USGS open-file reports 217 Method of analysis by the U.S. Geological Survey national water quality laboratory determination of inorgabic and organic constituents in water and fluvial sediments Fishman,M.J.
  23. Science v.170 Mechanism controlling world water chemistry Gibbs,R.J.
  24. USGS Water-supply paper 2254(3rd ed) Study and Interpretation of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water Hem,J.D.
  25. Water Quality Data-Analysis and Interpretation Hounslow,A.W.
  26. Journal of Geochemical Exploration v.65 Migration and dispersion of trace elements in the rock-soil-plant system in areas underlain by black shales and slates of the Okchon zone, Korea Lee,J.S.;Chon,H.T.;Kim,K.W.
  27. Environmental Geochemistry and Health v.20 Enrichment of potentially toxic elements in areas underlain by black shales and slates in Korea Lee,J.S.;Chon,H.T.;Kim,J.S.;Kim,K.W.;Moon,H.S. https://doi.org/10.1023/A:1006571223295
  28. Appled Geochemistry v.6 Prediction of watersoluble metal concentrations in fluvially deposited tailing sediments, Upper Clark Folk Vally, Montana, U.S.A. Nimick,D.A.;Moore,J.M. https://doi.org/10.1016/0883-2927(91)90074-Y
  29. Journal of Hydrology v.181 Geochemical controls on peatland pore water from the Hudson Bay Lowland: a multivariate statistical approach Reeve,A.S.;Siegal,D.I.;Glaser,P.H. https://doi.org/10.1016/0022-1694(95)02900-1
  30. Ground Water v.31 Analysis of temporal variability in hydrochemical data used for multivariate analyses Ritzi,R.W.;Wright,S.L.;Mann,B.;Chen,M. https://doi.org/10.1111/j.1745-6584.1993.tb01814.x
  31. Ground Water v.27 Geochemical comparison of ground water in area of New England, New York, and Pennslyvania Rogers,R.J. https://doi.org/10.1111/j.1745-6584.1989.tb00483.x
  32. Journal of Hydrology v.243 Geochemical and statistical evicence of deep carbonate groundwater within overlying volcanic rock aquifer/aquitards of southern Nevada, USA Stetzenbach,K.J.;Hodge,V.F.;Guo,C.;Arnham,I.M.;Johannesson,K.H. https://doi.org/10.1016/S0022-1694(00)00418-2
  33. Ground Water v.37 Charaterization of a ground water hydrochemical system through multivariate analysis: clustering into ground water zones Suk,H.;Lee,K.K. https://doi.org/10.1111/j.1745-6584.1999.tb01112.x
  34. Chemical Geology v.179 Two-way clustering analysis of geochemical data to constrain spring source waters Swanson,S.K.;Bahr,J.M.;Schwar,M.T.;Potter,K.W. https://doi.org/10.1016/S0009-2541(01)00316-3
  35. Ground Water v.27 Multivariate analysis in hydrochemistry: An example of the use of factor and correspondence Usunoff,E.J.;Guzman-Guzman,A. https://doi.org/10.1111/j.1745-6584.1989.tb00004.x
  36.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v.5 Groundwater quality in the shallow aquifer nearby the Gubong gold-mine tailings Woo,N.C.;Choi,M.J.
  37. Environment Geololgy v.40 Arsenic and metal contamination of water resources from mining wastes in Korea Woo,N.C.;Choi,Mi J. https://doi.org/10.1007/s002540000161
  38. Environmental Geochemistry and Health v.24 Assessment of groundwater quality and contaminantion from Uranium-bearing black shales in Goesan-Boeun area, Korea Woo,N.C.;Choi,M.J.;Lee,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