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rovement Devices of Urban Center′s Green Function of the Public Open Space Attached Building in Incheon, Korea

인천시 공개공지의 도심 녹지 기능 개선 방안

  • Cho, Woo (Dept. of Environment and Ecology, Incheon Development Institute) ;
  • Lee, Yong-Joo (Park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fice of the East) ;
  • Lee, Kyung-Jae (School of Architecture, Urban Planning and Landscape Architecture, Univ. of Seoul)
  • 조우 (인천발전연구원 환경생태연구실) ;
  • 이용주 (인천시 동부공원사업소) ;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건축도시조경학부)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mprovement devices of urban center's green function in the Public Open Space Attached Building(P.O.S.) in Incheon, Korea. Study sites were the P.O.S. of office building(10 place), transportation facility building(3 places), government office building(2 places) that were made up 1994∼2002 and analyzed establishment, using and planting status. And P.O.S.'s planting area structure of Osaka and Kawasaki in Japan that is operating P.O.S. system similar to Korea was compared with study sites of Incheon. P.O.S. of Incheon is not managing as valuable urban center's green and establishing to satisfy legal requirement. The strengthening devices of P.O.S. function are as follows. First, it is desirable that planting area rate of P.O.S. in order to develop small park in urban center is increasing by 40% that is children's park level. Second, it must be conferred about planting basis, tree selection and planting method etc. of P.O.S. with green and park development department at building authorization. Third, by the 'landscape planting standard of plottage' that is becoming planting standard of P.O.S is heightened and must increase quality and amount of green. Fourth, it is required mandatory establishing of sign so that citizens can search easily and utilize of P.O.S. Fifth, legal regulation should be decided to prevent that P.O.S. is used unlike purpose originally.

이 연구는 인천시 공개공지의 조성과 이용실태 그리고 식재 현황을 분석하여 도심 녹지로서 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1994∼2002년 조성된 대형상업건물 10개소, 교통관련 건물 3개소, 공공기관 건물 2개소의 공개공지였으며, 우리나라와 유사한 공개공지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일본 오사카시와 가와사키시 공개공지의 식재지 구조를 인천시 연구대상지와 비교하였다. 인천시는 아직까지 공개공지를 도심 녹지로 보는 시각이 부족하였고 공개공지는 법적 의무만을 충족시키는 수준에서 조성되고 있었다. 공개공지의 도심녹지 기능 강화를 위해서는 첫째. 공개공지 식재지율을 어린이공원 수준인 40%로 늘려 소공원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공개공지의 수목 식재기반. 수종선정, 식재방법 등에 대한 사항을 인허가시 녹지관련 부서와 협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공개공지의 식재 기준으로 삼고 있는 '대지안의 조경 식재기준'을 현재 보다 상향 조정하여 녹지 질과 녹량을 증진시켜 환경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공개공지를 시민들이 쉽게 알아보고 이용할 수 있는 안내 사인의 설치 의무화가 요구된다. 다섯째, 공개공지가 본래 목적 이외의 다른 용도로 전용되지 못하게 법적 규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제성(1999) 공개공지 유형화 및 실태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7쪽
  2. 길기석 (1997) 공개공지 이용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7쪽
  3. 김동완(1999) 서울 양재 시민의 숲 배식기법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2쪽
  4. 김선미(1986) 대지내 공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9쪽
  5. 김종엽(1999) 자연식생구조를 고려한 완충녹지 배식 모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8쪽
  6. 김주석 (2002) 공개공지의 설치기준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8쪽
  7. 김혜경(1997) 공개공지 조성 및 이용실태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건축법 제 67조를 중심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4쪽
  8. 박문호(2003) 도시공원 . 녹지 관련 제도개선방안 - 도시공원법 개정(안)을 중심으로 -. 도시공원. 녹지제도 개선을 위한 공청회 자료집. 1-34쪽
  9.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7) 건축의 공공성 증진을 위한 건축기준 및 유도 방안 150쪽
  10. 유병림(1996) 도시소공원의 개념 및 기능. 도시문제 10월호: 9-25쪽
  11. 이옥하(1999) 조경수목의 생육환경을 고려한 적정 식재간격의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98쪽
  12. 정석 (1996) 공개공지와 도시소공원, 도시문제 10월호: 61-72
  13. 조우(1998) 도시지역 녹화공간의 배식기법: 공동주택단지 완충녹지의 배식. 환경생태학회지 12(1): 78-90
  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96) Green Town 개발사업 I(연구개요 및 건축분야). 297쪽
  15. 한봉호(2000) 생태도시 구현을 위한 도시녹지축의 생태적 특성 평가 및 식재모텔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1쪽
  16. 野島義照, 島尾勝(1989) 公開空地等におけろ綠地空間の整備の動向. 造園雜誌(52)5: 306-311
  17. 中島宏, 五十風誠, 近蕂三雄(1995) 綠空間の計劃と設計. (財)經濟調훌會, 304pp
  18. 三船康道, まちづくろユラポレ-ツョソ(1997) まちづくろキ- ヮ-ド事典. 學藝出版社, 238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