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Interior Color Status in Facilities for the Elderly - Focused on the 10 Facilities in Seoul and Kyunggi region-

고령자를 위한 실내환경의 색채적용 평가 -서울ㆍ경기도 지역 10개 양로시설을 중심으로 -

  • 천진희 (상명대학교 디자인대학 실내디자인 전공)
  • Published : 2003.11.01

Abstract

The residential and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re continuously increasing due to change of value on family under situation of aging population increase. And it is predicted that accommodation capacity of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its rate those facility takes compared to whole social welfare facilities will be accelerated considering past increase speed. On the other hand, about 60% of elderly people have low physical and mental level almost dose to handicapped people therefore special environmental concerns helping their independent living are necess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facilities for the elderly are adequate to accommodate their request condition by understanding color among environmental factors is one of most important factor for smooth understanding, communication and psychological remedy effect for thou. For this purpose, importance and effect of color and visual characteristic and reaction to color in elderly environment are researched through documents and visited 10 facilities in Seoul and Kyunggi region to research interior color status. And measuring of color on 5 main spaces of the facilities such as lobby/lounge, corridor, dining room, bedroom, stairway/ramp are done under analysis of its functional and aesthetic level based on Moon & Spencer's color theory.

우리나라는 고령인구의 증가추세 속에서 가족에 대한 가치관의 변모로 양로원과 같은 주거복지시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간의 증가 속도를 감안한다면 앞으로 전체 사회 복지시설 대비 양로원이 차지하는 비율과 수용인원의 수는 가속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고령자는 약 60%가 장애인 수준에 가까울 정도로 심신의 기능이 저하되어 있어 이들의 독립적 생활을 지원하는 특별한 환경적 배려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환경적 요소 가운에 색채가 고령자의 원활한 인식작용과 커뮤니케이션, 심리적 치료효과에 중요한 인자임을 인식하여 고령자 시설이 이들의 요구조건을 수용하기에 적절한지를 파악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고령자환경에서 색채가 지니는 중요성 및 효과, 고령자의 시각적 특성 및 색채에 대할 반응을 문헌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서울$.$경기도 지역의 10개 양로시설에 대한 현장방문을 통해 실내환경의 색채현황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대상시설의 주요 공간인 로비/라운지, 복도, 식당, 침실, 계단실/경사로 등 5개 영역에 대한 측색 결과를 문과 스펜서의 색채조화론에 기초하여 색의 3속성별 조화정도와 미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고 색채 경향을 분석하여 적정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