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조선은 교린정책을 바탕으로 일본과 교류하면서 일본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입수하여 지도를 만들었다. 1403년에 제작된 $\ulcorner$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lrcorner$에는 행기도 계열의 상세한 일본지도가 수록되어 있고. 1471년 간행된 신숙주의 $\ulcorner$해동제국기$\lrcorner$에는 보다 정교한 일본지도가 실려있다. 이러한 성과는 15세기 대외인식의 개방성에서 기인하는 바가 컸다. 16세기 이후 주자성리학이 사회운영의 원리로 정착됨에 따라 화이관에 입각한 일본 인식이 강해졌다. 이 같은 경향은 일본지도에도 반영되어 민간에서 유행되었던 각종의 여지도책에 수록된 일본지도는 수록된 내용이 간결하고 지형의 윤곽도 많이 왜곡되어 있다. 이러한 흐름과 별도로 통신사의 왕래가 활발해지면서 상세한 일본지도들이 유입되어 제작되었고. 실학자들을 중심으로 일본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The Joseon had made maps of Japan with information that gained during the exchanges with Japan on the basis of the polio of maintaining amicable relations. The elaborate map of Japan similar to Haenggido was in Honilgangniyokdaekukdojido(Map of integrated lands and regions of historical countries and capitals, made in 1402, and more accurate map of Japan was found in Haedongjegukgi(Chronicle of the countries of the Eastern Sea, compiled by Sinsukju in 1471. These products were due to openness of foreign exchanges in 15th century. After 16th century, understanding of Japan based on China-centric view was intensified, as the confucianism of Chu-tzu planted its roots deeply in Joseon society as the social doctrine. These tendency were reflected in the map-making, accordingly many kinds of maps of Japan in the atlas were meager in contents and distorted in shorelines. Apart these currents, as comings and goings of official envoy became brisk, elaborated maps of Japan were imported and copied in the Joseon dynasty. Consequently these maps helped the elites of Joseon to raise understanding of Jap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