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Voices: Hermeneutical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Lived Experiences in China

북한이탈여성들의 삶 이야기 : 해석학적 현상학을 통한 중국생활체험 분석

  • 김태현 (성신여자대학교 가족문화ㆍ소비자학과) ;
  • 노치영 (이화여자대학교 인간생활환경연구소)
  • Published : 2003.08.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experiences in China. 13 female defectors were interviewed. Before they extricated from North Korea, they expected to make money to survive with their family in North Korea. But it couldn't be done because they didn't have legal status in China. They were at the risk of exposing to traffickers in females and of repatriation to North Korea. Surviving in China, they realized they were “Chosun(North Korean) females”; it meant they were in extremely poor and were sold by traffickers. It made them put to shame and be hurt their pride as a Chosun national identity. On the other hand, they realized they had narrow experiences and a limited outlook on international issues. They made themselves accustomed to freedom from the Chinese Revolution ; some of them experienced achievement. In general, they were satisfied with physical needs, but lacks of safety and worth in life. Even though, they couldn't return to North Korea because they were afraid of being punished by their government, and of striking their family a fatal blow in their successful lives of the society.

Keywords

References

  1. 강정구 (1990). 연구방법론. 우리의 반쪽인 북한 사회를 어떻게 이해하고 설명해야 할까?.북한의 사회.11-37, 서울: 을유문화사
  2. 곽해룡(2000). 중국에 있는 북한이탈주민 인권실태에 관한 연구: 신이산가족 현상의 발생을 중심으로. 통일문제 연구, 12(1), 247-267
  3. 김영수(2000). 북한이탈주민의 가족문제, 서강대학교사회과학연구, 9 , 102-117
  4. 김태천 (2002). 대량 난민사태에 대한 국제법적 대응 http://www.humannights.or.kr
  5. 노치영 (2002). 생존전략으로써의 탈북과 가족해체경험- 북한여성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인간생활환경연구소논집, 1, 95-118
  6. 문숙재, 김지희 (1999). 북한 여성들의 탈북동기와 생활실태 - 중국 연변지역의 탈북 여성들을 중심으로 -. 아시아재단 보고서
  7. 박철학 (2001). 자유북한인/가족의 사회부적응 실태의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박현선 (1999). 현대 북한의 기족제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박사학위 논문
  9. 백욱인(1990). 북한의 일상생활. 북한의 사회. 171-195, 서울: 을유문화사
  10. 윤여상(2001). 최근 재외 탈북자 현황과 새로운 변화. 통일한국, 8, 13-17
  11. 윤여상(1998). 재외 탈북자 실태와 지원체계. 통일연구논총, 7(2), 169-201
  12. 윤인진(2000). 탈북자와 남한 사람들이 어떻게 하나가 될까?-탈북자의 성공적인 사회적응을 위한방안. 한국사회문화연구원 공개토론회 남북한 사람들이 하나 되는 길. 서울 프레스 센터
  13. 윤인진(1999). 통일을 대비한 북한 이탈동포 대책. 북한이탈동포 대책 공청회 발표 자료
  14. 이신화(1997). 환경난민이란 무엇인가?: 대량탈북위기에의 조기경보, 한국 국제정치학회 연례학술회의 발표논문
  15. 이영선, 전우택(1997). 탈북자의 삶-문제와 대책. 서울: 도서출판 오름
  16. 이온죽, 장지연 (1999). 여성, 가족, 사회. 서울: 세영사
  17. 이우영(2000). 북한이탈주민 문제의 종합적 정책방안 연구. 통일 연구원
  18. 장혜경 , 김영란 (2000). 북한이탈주민 가족의 가족 안정성 및 사회적응과 여성의 역할.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19. 전우택 (2000). 사람의 통일을 향하여 - 이질화된 남북한 사람들의 심리적 통합을 위한 사회정신의학적 고찰 서울: 도서출판 오름
  20. 정성임(2000). 북한의 여성정책과 여성인식 구조. 통일연구, 4(2), 177-205
  21. 조서영(1999). 재외(在外) 북한이탈주민 인권보장에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2. 좋은 벗들(2001). 북한주민의 북한사회 인식 조사. WWW.jungto.arg
  23. 좋은 벗들(2000). 2000년 8월의 조선-중국 국경지역 난민보고서. www.jungto.arg
  24. 좋은 벗들(1999). 99년 3월 국경지역 난민보고서. www.jungto.arg
  25. 통일부(2001). 가정생활과 여성의 지위. WWW.unikorea.net
  26. 한겨레21(1997). 유린당하는 탈북 여성들.
  27. 홍순호, 박준영, 함인희(1999). 북한인식과 한반도. 서울: 살림
  28. Van Manen (1997). Researching Lived Experience: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NY: SUNY Press
  29. USCR (2001). Worldwide Refugee Information, www.refugees.org
  30. United States Institute of Peace (1997). North Korea's Dec1in and China's Strategic Dilemmas, www.usip.org
  31. Yoon, I. (2000). North Korean Diaspora: North Korean Defectors Abroad and in South Korea, Development and Society, 30(1), 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