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3초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북한이탈여성의 자녀양육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Child-rearing Experience of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with Young Children)

  • 이주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85-106
    • /
    • 2017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earn from Korean female defectors about their views of child-rearing experiences in South Korea. This study explored how 7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with young children developed child-rearing microideologies that acknowledge both North Korean cultural ideology and South Korean cultural ideology. Methods: To examine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child-rearing experiences, indepth interviews with 7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with young children were conducted. Results: Four theme clusters, 11 themes, and 47 meanings were found from a phenomenological analysis with indepth interview data. Based on the themes, three types of child-rearing microideologies were identified: (1) separation,(2) assimilation, and (3) integration. Each type of child-rearing microideology can be understood with a meaningful phrase "there is no choice", "nevertheless" and "because I came here to be better," respectively.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provides knowledge on the individual-specified child-rearing strategy of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with young children and suggests the necessity of diverse policy proposals based on the child-rearing microideology types.

북한이탈여성들의 삶 이야기 2:생존전략을 중심으로 한 중국생활체험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Voices II:The Lived Experiences Focused on Survival Strategies in China)

  • 김태현;노치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229-243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survival strategies in China. In this research, 13 female defectors in China were interviewed. There seemed to be 6 survival strategies in the interview. They disguised themselves as if they were Chosunjok;they tried to wear fashionable clothes, to mimic Chosunjok dialect, to speak mingling Chinese words with Korean words, and to get counterfeit ID cards. They suppressed themselves from showing their angers or resentment against Chinese who looked down on them due to their illegal status, but they would seek chances to revenge on them in the future. They have survived by gelling married to Chinese, but they were reluctant to have a baby because it was not for sure what their future lives are going to be like. They were alert against people around them all the time, especially against North Korean defectors, and were conscious of their competitive relationship among themselves. Finally, some of them appeared to seek routes to immigrate to South Korea, but others who didn't yet make up their minds to immigrate to South Korea had vague anticipations of North and South Koreas to be reunified.

북한이탈여성들의 삶 이야기 : 해석학적 현상학을 통한 중국생활체험 분석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Voices: Hermeneutical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Lived Experiences in China)

  • 김태현;노치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8호
    • /
    • pp.1-1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experiences in China. 13 female defectors were interviewed. Before they extricated from North Korea, they expected to make money to survive with their family in North Korea. But it couldn't be done because they didn't have legal status in China. They were at the risk of exposing to traffickers in females and of repatriation to North Korea. Surviving in China, they realized they were “Chosun(North Korean) females”; it meant they were in extremely poor and were sold by traffickers. It made them put to shame and be hurt their pride as a Chosun national identity. On the other hand, they realized they had narrow experiences and a limited outlook on international issues. They made themselves accustomed to freedom from the Chinese Revolution ; some of them experienced achievement. In general, they were satisfied with physical needs, but lacks of safety and worth in life. Even though, they couldn't return to North Korea because they were afraid of being punished by their government, and of striking their family a fatal blow in their successful lives of the society.

감각적 사유와 이질적 주체 구성-종편의 탈북여성 재현의 정치 (How Media Constitutes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to Disparate Subject)

  • 김은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772-780
    • /
    • 2016
  • 본 연구는 종편채널의 탈북여성 재현의 정치를 논의한다. 종편채널에서 등장하는 탈북여성출연자들은 자본주의 논리에 적극적으로 편승한 연성화된 사적 존재로 구축되며 대중적 시선에 맞추어 소비되는 이질적 주체가 된다. 그녀들은 내부의 경쟁구도와 증언을 통해 희화화되며 이질적 대상으로 강조된다. 또한 그녀들은 그동안 미디어 내에서 이방인들이 존재하던 공간을 보다 저렴한 비용과 쉬운 방식으로 대체하는 B급 출연자로 활용되면서 가부장적 체제에 순응하는 존재로 대상화된다. 종편채널들은 탈북여성출연자들을 지속적으로 이질적 대상으로 규정하여 이야깃거리를 생산해냄으로써, 보여지는 대상으로서의 그들에 대해 말하는 자격과 시간을 소유하는 방식으로 미디어 권력을 확보한다. 결국 탈북여성출연자들은 감각적으로 응시되는 소비의 대상일 뿐 '우리'로 병합될 수 없는 '그들'로 남는다.

로샤 검사에 나타난 북한이탈주민의 대처와 방어 (The coping and defense features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Rorschach test)

  • 최윤경;김종남;채정민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5권4호
    • /
    • pp.507-528
    • /
    • 2009
  • 대처와 방어 전략은 스트레스 반응을 약화시키도록 작용하는 심리적 기제라는 측면에서 유사하지만, 방어는 현실의 어떤 측면을 왜곡해서 지각하는 반면, 대처는 상황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과 관계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로샤 검사에 나타난 북한이탈주민들의 대처와 방어의 특징을 밝히려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44명의 북한이탈주민과 42명의 남한주민으로, 이들은 출신지역과 성별에 따라 네 집단, 즉 남자 북한이탈주민(N=16), 여자 북한이탈주민(N=28), 남자 남한주민(N=17) 및 여자 남한주민(N=25)으로 분류되었다. 모든 대상자에게 개별적으로 로샤 검사를 실시하였고, 로샤 원자료는 Exner(2003)의 종합체계에 따라 채점되었다. 분석을 위해 대처 혹은 방어와 관련된 로샤 변인들이 선택되었다: EA, CDI, Adj D, EB style, Lambda, Zd, X-%, Xu%, W:D:Dd, P, 반응시간 및 검사를 수행하는 동안의 행동특징. 다른 집단에 비해 여자 북한이탈주민은 빈약한 대처자원(낮은 EA), 적응의 어려움(Adj D<0), 및 현실 왜곡(높은 X-%)을 나타낼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들은 또한 더 많은 '모르겠다' 반응과 반응시간이 더 지연된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빈약한 대처자원으로 인해 여자 북한이탈주민이 스트레스에 더 취약할 수 있으며 사회기술훈련과 같은 심리적 개입이 남한 사회에서 이들의 성공적인 적응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함의가 논의되었다.

  • PDF

탈북자의 북한에서의 식생활 실태와 남한에서 인식한 차이 (Dietary Living in North Korea according to the Defectors)

  • 박영숙;이기춘;이기영;이은영;이순형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4-73
    • /
    • 1999
  • We performed a study to understand the dietary situation in North Korea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Two hundred North Korean defectors from the North since 1990 participated in this survey. Information was collected from December, 1997 to February, 1998 by mailing pre-tested questionnaires, which had been confirmed by 10 previous interviewers. The final data from 157 defectors(107 male and 33 female with 17 unidentified gender) were analyzed. We found that (1) North Koreans are lower in height, weight and BMI than South Koreans, (2) The North Korean diet is very simple and monotonous. It is limited to their local and unprocessed foods and dishes, which is far from the trend of globalization and readiness. (3) On the other hand, in the North, the government control on foods diminished because food shortage leads to free market activity where housewives manage their own foodservices, and to accelate their eating-out behaviors. (4) Profound differences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in dietary life are noticed by the defectors as English words and Korean words. Efforts to understand and learn about each other is necessary before not too late.

  • PDF

북한이탈주민의 범죄행위 및 범죄피해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대책 (A Study on the Preventive Measures of Criminal Behaviors and Criminal Damages of North Korean Defectors)

  • 임창호
    • 시큐리티연구
    • /
    • 제49호
    • /
    • pp.217-246
    • /
    • 2016
  • 국내에 입국한 북한이탈주민의 수가 3만 명이 되는 상황에서 북한이탈주민에 의한 범죄 및 범죄피해, 위장탈북 간첩, 재입북 사건, 해외 위장망명 사건 등이 증가하면서, 북한이탈주민의 한국 사회 정착 부적응으로 인한 다양한 사회일탈 문제들이 우리 사회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북한이탈주민들은 목숨을 걸고 북한에서 한국으로 왔지만 문화적인 이질감, 편견, 사회주의 체제 습성 등 여러 가지 이유들로 인해서 한국 사회 부적응 현상을 보이고 있다. 대부분의 북한이탈주민들은 사회적 약자로서 한국 사회의 최저 빈곤층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결과 이들의 주요 목표는 경제적 성취이다. 이런 상황에서 북한이탈주민들은 돈을 벌기 위해서 범죄를 범하거나 범죄피해를 당하는 경우가 많다. 이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들의 범죄행위 및 범죄피해의 실태를 분석한 후 효과적인 예방대책들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서 북한이탈주민에 의한 범죄행위 및 범죄피해에 대한 각종 문헌들을 연구하고, 관련 통계자료를 활용하고, 관련 사례의 경우에는 뉴스기사를 참고하고, 특히 신변보호 담당관과 심층 인터뷰를 함으로써 북한이탈주민들의 범죄행위 및 범죄피해의 효과적인 예방대책들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먼저, 북한이탈주민에 의한 범죄행위를 예방하기 위해서, 한국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정체성을 고양시키고, 초기 적응교육을 내실화하고, 취업보호 및 정착도우미제도를 체계화하고, 북한이탈주민의 적응 유형별로 관리하고, 북한이탈주민 관리 네트워크를 정비하고, 경찰관서 내에 탈북자 관리부서를 신설하고, 교도소 재소자의 교육을 강화하며, 비보호 대상자에 대한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다음으로, 북한이탈주민의 범죄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취약 북한이탈주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신변보호 경찰관과 연락체계를 유지하고, 해외여행시 사전에 신변안전대책을 마련하고, 일상생활에 대한 법률교육을 강화하고, 여성의 사회화에 대한 재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 PDF

출신성분에 따른 탈북여성의 문화적응 기제에 관한 비교분석 (The Synthetic comparative analysis of cultural Acculturation mechanism from North Korean women Elite-class in South Korea)

  • 김윤나;주경필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29-338
    • /
    • 2017
  • 본 연구는 현재 남한에 입국한 북한이탈주민의 71%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탈북여성의 남한사회 적응과 관련하여 출신성분에 따른 Berry의 문화적응 이론의 재검증을 시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북한의 출신성분제도, Berry의 문화적응 이론, 관련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였고 IRB심의가 끝난 2014년 12월 15일~2015년 2월 30일까지 FGI 및 설문조사를 통해 탈북여성이 겪는 사회적 정체감과 문화적 유능감을 밝혀보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출신성분에 따른 남 북한정체감(심리적 문화적응 전략), 문화적 유능감, 지각된 동화 압력, 문화이질감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적응은 개별적인 사례 특성에 따라 다른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구체화된 발전과제를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의의와 함께 후속연구의 과제를 제안하였다.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성기능 실태 및 영향요인 (Factors Related to Female Sexual Dysfunction of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 이영선;구혜완;한인영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55-69
    • /
    • 201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emale sexual dysfunction of North Korean defector women and to identify related factors. Methods: A total of 110 North Korean defector women who married and lived in South Korean community more than 1 yea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obtain data.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Female Sexual Function Index (FSFI). Independent variables were demographic factors (age, education, residential environment, sexual experience(rape), sex knowledge and sex attitud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two-way ANOVA, and Multiple Hierarchical Regression. Results: The mean score of sexual func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was 18.94(SD:5.88). Sexual functioning for North Korean defector women was relatively low, 18.94 in comparison to Rosen's cutoff scores of 26.6.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exual function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lderly, high educational level, stable residential situation, non rape, and conservative sexual attitudes. Conclusions: The results show the status and description of sexual dysfunction in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in South Korean community and can be a basic reference for study about sexual dysfunction. However, more study about North Korea Defector Women with sexual dysfunction should be interviewed and evaluated.

북한이탈여성의 일과 자녀돌봄 양립 경험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t Research on Balancing Experience of Work and Child care of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 김유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385-395
    • /
    • 2017
  • 본 연구는 남한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여성의 일과 자녀돌봄 양립 경험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자는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맞벌이 가정의 북한이탈여성 5명을 선택하고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현상학적 질적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여 구성요소 5개와 하위구성요소 14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북한에서의 성장 배경>을 가진 연구참여자들은 <탈북과정에서의 가족 해체 및 재구성>의 복잡한 과정을 거치면서 남한에 입국했다. <남한 정착과정에서 자녀돌봄의 어려움>과 <진로 선택과 취업 지속의 어려움>사이에서 고군분투했으며 그와 관련하여 <조화로운 일-자녀돌봄의 양립을 위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북한이탈여성의 일과 자녀돌봄을 균형있게 양립할 수 있는 실천적 서비스를 위한 제안으로서 부모교육, 경력경로 형성 프로그램, 성인지적 관점의 정책개발을 제시하였다. 또한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