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nsciousness of the Shroud Culture in the Gwang-Ju Region

광주지역의 수의문화에 관한 의식 연구

  • Yim, Lynn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Eun-J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Yong-Seo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임린 (전남대학교 의류학과) ;
  • 김은정 (전남대학교 의류학과) ;
  • 김용서 (전남대학교 의류학과)
  • Published : 2003.07.01

Abstract

The survey conducted in the aspect of its preservation, composition, and preparation of the shroud among the new generations. The study shows : First, in regard to its preservation, a good number of people answered that the traditional shroud should be kept, and believed the tradition should be preserved to paying their respect to their deceased. Second, in regard to its composition, they preferred a simple shroud like a simple Korean traditional attire rather than the traditional intricate shroud. Third, for the timing of purchase, again a good number of people favored to prepare those beforehand, and they would purchase them in any good opportunity they have. Fourth, regardless of the differences among the people in the aspect of its preservation, composition and purchase, an of them were favored for the simplified shroud. And the most of the people favored for the preservation of the traditional shroud culture preferred to prepare the shroud beforehand.

Keywords

References

  1. 김용서, 안명숙(1999). 한국복식사 . 교문사. 182-184
  2. 심부자, 전혜숙(1986). 문익신묘의 출토복식. 한국복식학회. 10, 81-90
  3. 안명숙(2000). 출토복식의 종류 및 특징. 露川 高雲 출 토유물. 광주민속박물관
  4. 유관순(1990 ). 우리나라 수의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유희경, 김미자,강순제(1989). 敏靈衣. 안동김씨 분묘 발굴조사 보고서 온양박물관.
  6. 이여성(1974). 조선복식고. 백양당
  7. 이은주(2000). 일선문씨와 이응태 묘 출토 복식 고찰. 안동 정상동 일선문씨와 이응 태 묘 발굴 조사 보고서. 안동대학교 박물관
  8. 이은주(1998). 金款祖(1461-1528 ) 분묘의 출토복식을 통해 본 조선전기의 敏觀衣에 관한 고찰. 판결사 김흠조선생 합장묘 발굴조사 보고서. 영주시
  9. 이은주, 박성실(2002). 조선시대 수의에 대한 역사적 고찰. 韓國의 壽衣文化신유
  10. 이재(1844). 사례편람
  11. 임린, 김용서(2001). 광주. 전남지역 수의에 관한 실태 조사. 한국복식학회. 51 (2), 93-104
  12. 장인우, 이춘계(1995). 15-17세 기 禮書에 나타난 敬靝衣와 그 의 미. 한국복식학회. 25, 269-271
  13. 전영숙(1977). 수의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1(2), 31-36
  14. 조효숙, 권영숙(2002). 현대사회의 바람직한 수의문화. 韓國의 壽衣文化. 신유
  15. 조효숙, 안지원(2002). 현행수의의 실태 및 문제점. 한국복식학호I. 52(3), 123-136
  16. 지춘상(1998). 남도민속학개설. 태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