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ocial Functions of Sijo

시조의 사회적 기능 고찰 - 조선조 사회와 시조의 관계를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3.07.01

Abstract

In early Josun(朝鮮) era, the scholars, genteels, and high officials in Josun dynasty paid attention to Sijo(時調) who hoped Josun society would share Confucian values. Sijo poems written by them are based upon Confucian ideology, giving an opportunity to its members to make sure their homogeneity and helping Josun dynasty sustain its regime. Gyongichega(景幾體歌) has, however, already failed to be an appropriate genre to do these functions. Nevertheless, in the late Josun dynasty when there were agitation in class hieracy, development of currency economics, maldistribution of wealth, and pursuit of enjoyment, obscene poems turned out. Consequently these songs contributed to encroaching and eventually destroying the Josun dynasty. The question that who are in charge of creating and enjoying Sasulsijo(辭說時調) cannot be answered by approaching it in the social class point of view. The range of the maker or the reader of Sasulsijo in the late Josun dynasty was much more extensive than that in the early times. Not only aristocracy or the middle society but even some of the lower class may have made and enjoyed those songs. In the meantime, it is singer-songwriters whom Park, Hyogwan blamed for their profiteering abuse of obscenity that is supposed to have been mainly reponsible for the creation of those songs. Siga is a double-edged art in its essence--the good and the bad. The lewd songs were, in the early Josun, strictly controlled but in the late Josun dynasty, were thriving due to social changes. In this context, songs based on Confucian ideology as well as the ones focused on sexual love became decayed along with the collapse of the Josun dynasty. Even though, in the light of the history of Siga, those two types of Siga are underestimated in its artistic value, they have very special social historical meaning in doing positive and negative functions for existence and destroy of the Josun dynasty.

시의 사회적 기능이 있듯이, 조선조의 시조도 나름의 사회적 기능이 있었다. 16세기에 들면서 시조는 사대부들에 의해 특정의 기능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장르로 주목을 받았다. 유교적 이념을 전달할 적절한 도구로 본 것이다. 특히 퇴계는 시조가 온유돈후한 내용을 담아 가자나 청자가 모두 유익함이 있도록 해야 함을 강조했다. 이런 유교의 철학적 사유를 담은 시조나 훈민가는 향유자들로 하여금 이념적 동질성을 확인토록 하여 조선왕조체제유지에 기여하는 사회적 기능을 수행했다. 당시 경기체가는 그런 기능을 갖기에 적합하지 않았던 것이 분명하다. 신분질서의 요동, 통화경제의 발달, 부의 편재, 향락 추구 등의 변화가 초래된 조선 후기에 들면 조선 전기에 억제되었던 남녀성애를 노래하는 사설시조가 성행한다. 성애를 노골적으로 표현하는 이들 시조는 당시의 향락적 분위기, 부패구조와 밀접한 관계를 가짐으로써 결국 조선조 붕괴에 일조하게 된다. 유교이념의 시조와 남녀성애의 시조, 양자는 한쪽이 성하면 한쪽이 쇠하는 상관관계는 조선조의 사회상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진행되었다. 사설시조 담당층의 문제는 계층의 문제가 아니라 성향의 문제다. 향유계층의 폭이 넓어 꼭히 어느 계층을 담당층이라고 하기 어렵다. 다만 그 작자는 전문가들일 가능성이 많은데, 현인군자의 정음을 찾기를 표방하는 박효관 쪽보다는 그가 비난한 격낮은 소리패일 가능성이 크다. 망국의 노래쯤으로 여겨지는 고려 속가에 비해 조선 후기의 사설시조가 훨씬 더 음설한 데도 사설시조를 더 긍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이런 시각이 용인되는 것은 고려 속가가 고려왕조의 멸망에 일조한 데 그쳤다면, 사설시조는 조선왕조의 몰락과 봉건체제의 붕괴에 아울러 영향한 때문이라 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