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hyllostachys pubescens According to Growth Age or Felling Time

죽령 및 벌채시기에 따른 맹종죽재의 물리적ㆍ기계적 특성

  • 안상열 (경상대학교 산림과학부) ;
  • 신훈재 (경상대학교 산림과학부) ;
  • 변희섭 (경상대학교 산림과학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박상범 (임업연구원 남부임업시험장) ;
  • 공영토 (임업연구원 임산공학부)
  • Published : 2003.06.01

Abstract

The Phyllostachys pubescens planted in the Nambu forest Experiment was used for this study. The growth ages of the P. pubescens were 1, 2 and 3 years, respectively.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every month in between June of 2001 and May of 2002. The p. pubescens were divided into upper, middle and lower parts according to the growing points. The static modulus of elascity($MOE_d$) and dynamic modulus of elascity($MOE_d$) were investigated for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 pubescens. The density, MOEs and $MOE_d$according to the growing points were highest in the upper part of the P. pubescens. Generally, density and MOEs and $MOE_d$ of the P pubescens for 3 years grows larger every month. However, moisture content, MOEs and $MOE_d$ of the P. pubescens for 1, 2 years had nothing to do with growth ages and felling time. In the case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average MOEs and $MOE_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88 in between June of 2001 and May of 2002. Also, $MOE_d$ showed about 18.5% higher than MOEs. Generally, the equally expressed in research that was known that $MOE_d$ of wood is higher than MOEs of wood. Therefore, the $MOE_d$ using a resonance frequency mode is useful as a nondestructive evaluation(NDE) method for predicting the MOE of the P. pubescens.

경남 진주시 가좌동에 위치한 남부임업시험장내의 생육이 양호한 1년산, 2년산, 3년산의 맹종죽을 이용하여 2001년 6월부터 다음해인 2002년 5월까지 실험을 실시하여 죽령과 벌채시기(달별)에 따른 물리적ㆍ기계적 성질에 대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장부위에 따라서는 상부위에서 밀도, MOEs, MOE/sub d/의 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전체 밀도와 3년생의 MOEs와 MOE/sub d/는 벌채시기가 늦어질수록 점차적으로 그 값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함수율과 1, 2년산의 맹종죽재에서는 뚜렷한 차이점을 보이지 않아 죽령과 벌채시기에 따라서는 아무런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MOEs와 MOE/sub d/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r값은 생재가 0.88, 기건재가 0.92로 나타났으며, MOE/sub d/가 MOEs의 값보다 생재가 18.5%, 기건재가 7%정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죽령과 벌채시기에 따른 MOEs와 MOE/sub d/가 거의 동일한 경향으로 매우 잘 대응하여 맹종죽재의 탄성적 성질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공진주파수를 이용한 비파괴 측정법이 일반 소재와 마찬가지로 맹종죽재의 경우에도 이용 가능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