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omputers to the Development of Humor Image Fashion Design

컴퓨터를 활용한 유머 이미지 패션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 우세희 (순천대학교 의류학과) ;
  • 최현숙 (동덕여자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3.08.01

Abstract

Due to the rapid changes occurring in many aspects of contemporary society, the need for a means to actively combat widespread feelings of emptiness and alienation among the public, while satisfying its visual pleasure, is increasing. Thus the need for humorous elements which bring freedom to the human psyche is urgently requested. Of course, the field of fashion cannot be left out in this trend, and humor image design is a good example of this. Humor image in fashion endeavors to release the tension accumulated in the modern world, while trying to find a way to recover the original pureness of mankind. Another aspect currently important is computers. The creation of images in modern visual art relies a lot upon computers. Traditional visual processes such as painting, photography and video are now merged within digital technology. and are now quite symbiotic to each other.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s came computer art. which uses all applicable functions of a computer to create art. Any artistic action which uses a computer in any stage of its creation can be called computer art. The common factor in humor and computer art in modern fashion can be classified as follows : repetition, deformation and distortion. exaggeration and abridgement. juxtaposition. and Tromp l'oeil. This study has placed its objective on the fusion of humor image fashion and computer art, by manufacturing a work with humor and computers, two important aspects of modern culture. Expanding the field of fashion design while promoting creativity In fashion by finding a verging point between art and science is also necessary. I have designed and made five costumes using the above cited techniques in computer humor images, on a theoretical basis.

Keywords

References

  1. 이병수 (1970). 유머 논사설. 신동아 71호, p. 82
  2. 유머 (1964). 철학대사전, p. 849
  3. 현선진 (1997). 후기 산업사회 서구적 남성복식에 표현된 유희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 박사학위 논문, p. 1
  4. 서성록 (1995). 현대미술의 쟁점 재원, pp. 15-18
  5. 박성복 (1995). 대중예술의 이론들. 동연, p, 30
  6. www.fashion-a.com
  7. 최윤미 (1999). 90년대초 복식에 나타난 가벼움에 관한 고찰. 한국의류학회, 18(5), p. 737
  8. 김청 (1984). 패션과 예술. 금오, p. 330
  9. The Random House Dictionary of English Language (1987), 랜덤 하우스 영한대사전, Random House, p. 472
  10. 이영희 (2000). 컴퓨터 아트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7
  11. 박은주 (2000), 컴퓨터 아트 응용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7
  12. 한국 문화예술 진흥원 (1987). 예술 공학. 서울: 한국 문화 예술 진흥원, p. 38
  13. 이원곤 (1996). 영상기계와 예술. 서울: 현대미학사, pp. 18-19
  14. 임영주, 이원범 (1994). 컴퓨터 그래픽 예술. 유림 문화사, p. 21
  15. 박은주 (2000). 컴퓨터 아트 응용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10
  16. Frank Popper (1993). Art of the Electronic Age Thames and Hudson, London, p. 12
  17. 박은주 (2000), 컴퓨터 아트 응용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11
  18. 김민수 (1997). 21세기 디자인 문화 탐사, 솔, p. 232
  19. 박일철 (2001). 컴퓨터 그래픽스. 미진사, p. 45
  20. 박일철 (2001). 컴퓨터 그래픽스. 미진사, p. 52
  21. 김선아 (1999).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선 연구 -프렉탈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7
  22. 조현미 (1995). Science Meet Fiction. Fashion Today, p.60
  23. Rudy Rucker (1992). R.U. Sirius & Queen Mu. Mondo 2000 (harperperre nial), p. 111
  24. www.term.co.kr
  25. 월간미술 (2000). p. 75
  26. 이영희 (2000). 컴퓨터 아트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26
  27. 문지숙 (1993). 타이포그라피에 있어서의 시각적 유희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p. 80-81
  28. Steven Heller & Gall Anderson/박영원 역 (1996). Graphic Wit, 국제, p. 46
  29. Jose Pierre/ 박순철 역 (1990). 초현실주의, 서울: 열화당, p. 28
  30. 앙리 베그르손/김진성 역 (1983). 웃음-희극의 의미에 관한 시론. 종로 서적, p. 121
  31. Steven Heller & Gall Anderson/박영 원 역 (1996), Graphic Wit, 국제, p. 48
  32. Steven Heller & Gall Anderson/ 박영원 역 (1996), Graphic Wit, 국제, pp. 4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