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 Trends of Vernacular Design Culture and Products in Post-industrial Society - a case of products: vernacular playing-culture of children and Infants -

후기산업사회의 버내큐러 디자인문화와 산물의 특징적 경향1 - 산물의 실례: 유소년 버내큐러 놀이문화 -

  • 진선태 (서울산업대학교 공업디자인과)
  • Published : 2003.05.01

Abstract

We can discover some facts that vernacular design products with a property of volunteer culture coexist with ready-made products as an useful objects in the post-industrial society. Currently, few attempts had been made at studies of the vernacular design objects with understanding cultural context in post-industrial society, it is necessary to illumin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user with a role of design producer and the product viewed in culturally. In chapter 2, by examining documentary, t have been understood the definition, apprehensions, attributes linking creative use's culture with vernacular design culture, and distinctions between vernacular design and main stream design system. In chapter 3, by verifying products of everyday street and construction site, have been investigated the public characters and the differences compared with the past. In chapter 4, as a subtle example, have been analyzed design feathers and cultural characters of the products which children and infants culture generates by reflecting the socio-economic backgrounds and the culture from 60c and 70c to now according to the phases of the times. In conclusion, first, it seems quite probably that all of artificial objects exist a state of ready-made but that is not appropriate to correspond with user's whole behaviors. supplementally, it causes the phenomenon of vernacular design products. Secondly, it is reasonable to suppose that such main-stream design system and vernacular design go forward continually and crossly with coexistent relationships as high culture and sub culture. Third, three concepts: long-life design, ecology design and recycling revealed in vernacular design are useful distinguishing marks for the future design directions, moreover instant-response, fast and flexible process, three distinctions have a possibility of alternative process which can overcome the control-based process such as the systematic approach and the planning MTG in present. Finally, in children and infants culture, vernacular design products have changed the pure style products in the past into the modified techno playing products in the present. These should De a substitute product that supplyes variousness to ready-made design system and a design culture that maintains continually as a independent culture.

후기 산업사회에서도 자발적 문화인 버내큐러 디자인은 그 유용성을 가지고 기성품과 공존해 온다. 이러한 후기산업사회에서의 버내큐러 디자인산물에 대한 연구와 그 문화적 맥락을 이해하려는 시도가 부족한 상황에서 디자인생산자의 역할로서 의 사용자와 산물의 관계를 문화적 관점에서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2장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서 창조적 사용자 문화와 버내큐러 디자인 문화의 관계성을 연결하는 정의와 이해, 속성 ,주류디자인과의 차이성을 파악하였으며, 3장에서는 일상거리와 공사현장에서의 산물사례 실증을 통해 디자인산물의 일반적 특징과 과거와의 차이성을 살펴보았고, 4장에서 중심사례로서 60, 70년부터 현재까지의 유소년의 놀이문화가 사회경제적 배경, 문화를 통해 발생시키는 산물의 디자인 방식, 문화적 특징을 시대축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첫째, 인간이 필요로 하는 모든 인공물은 레디메이드(read-made)된 형태로 존재하나, 사용자의 모든 행위와 대응하기에 적절치 않고, 보완적 형식인 버내큐러 디자인산물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둘째, 상위문화와 하위문화가 공존하며 발전하는 것과 같이 디자인에서의 주류적 디자인과 버내큐러 디자인은 그 공존적 연결성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교차하며 나아간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이러한 버내큐러 디자인에 나타나는 디자인적 특징으로서 환경생태학적인 롱라이프디자인 (long life design), 환경친화적 디자인(ecology design), 재활용 (recycling) 개념 등은 미래적 디자인방향에 유용한 특징이며, 즉 시대응적이며 신속하고 유연한 프로세스는 기존의 시스템적 어프로치, 계획성 마케팅의 통제적인 과정을 극복하는 대안적 프로세스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넷째, 유소년놀이문화의 버내큐러 디자인산물은 과거 순수형태에서 테크노 변형 놀이산물 문화로 변형되어왔는데, 이는 기성적 디자인이 갖지 못한 다양함을 보완하는 대안적 산물이며, 독립적 문화로서 지속성을 가져야 하는 디자인문화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