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Seeding Times and Mixture Rates of Oat and Forage Rape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Forage Yields After the Harvest of Potatoes in Jeju.

제주 중산간지에서 감자 수확후 휴경기 동안 연맥 및 사료용유채의 파종시기와 혼파비율이 생육특성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 Park, Nam-Geon (National Jeju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R.D.A.) ;
  • Ko, Seo-Bong (National Jeju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R.D.A.) ;
  • Lee, Chong-Eon (National Jeju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R.D.A.) ;
  • Lin, Shin-Heum (National Jeju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R.D.A.) ;
  • Hwang, Kyung-Jun (College of Agri. & Life Sci., Cheju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3.03.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eeding times and mixture rates of oat and forage rape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forage yields during rest periods from March to June after the harvest of potatoes in potato cultivation fields located in the areas about 600m above the sea level in Jeju. The experiment was a split plot desist with seeding times(early, middle and late March) sown . at intervals of ten days from early March to late March as the nam plots and mixture rates as subplots, consisted of oat single(150kg/ha), forage rape single(15kg/ha), oat/rape mixtures 75 : 25% (112.5kg/ha of oat and 3.75kg/ha of rape), oat/rape mixtures 50 : 50%(75kg/ha of oat and 7.5kg/ha of rape) and oat/rape mixtures 25 : 75%(37.5kg/ha of oat and 11.3kg/ha of rape). The germination and establishment of eat and rap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eeding times and mixture rates. The plant heights were higher when seeded middle March compared to seeding times of early and late March. The growth stage of the oats seeded early March was dough stage, while that of oats seeded middle or late March was milk stage. The dry matter yields per ha were higher(p<0.05) when seeded middle March than those of seeding time of early and late March. The crude protein contents of rape single, mixtures and oat single treatments were 15.9, 12.4∼14.5 and 8.5%, respectively.

본 연구는 제주 중산간지에서 목초지를 전용하여 감자 재배지로 활용하고 있는 경작지에서 가을감자 수확 후 3월부터 6월까지 휴경기 동안 연맥 및 사료용 유채의 파종시기 및 혼파비율을 달리 했을 때 생육과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면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맥(Swan)과 사료용 유채(Akella)의 파종시기를 주구로 3월 초순, 3월 중순, 3월 하순 파종구 등 3처리로 하고, 혼파비율을 세구로 연맥 단파구. 사료용유채 단파구, 연맥 75%+사료용유채 25%, 연맥 50%+사료용유채 50%, 연맥25%+사료용유채 75% 혼파구 등 5처리를 두어 분할구 배치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연맥 및 사료용 유채의 발아 및 출현상태는 파종시기와 혼파비율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수확시 연맥의 생육단계는 3월 초순 파종구가 호숙기로 가장 빨랐다. 파종시기에 따른 ha당 평균 건물수량은 3월 중순 파종구가 7,171kg으로 다른 파종시기에 비해 높았으며, 혼파비율에 따른 건물수량은 연맥 단파구가 7,676kg으로 가장 높았고, 연맥/사료용 유채 혼파구 및 사료용 유채 단파구 순으로 나타났다(p<0.05). 조단백질 함량은 사료용 유채 단파구가 15.9%, 혼파구가 12.4∼14.5%, 연맥 단파구는 8.5%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응기, 김병완, 성경일, 김창주. 1996. 호밀과 유채의 혼파비율이 생육특성, 사초수량 및 영양소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6(2):147-154
  2. 김원호, 서 성, 정광화, 최순호, 김맹중, 이성철. 1999. 중산간지에서 춘계파종 및 수확시기가 연맥의 생육특성, 사초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영향. 한축지. 41(2):215-220
  3. 김창주, 김병완. 1993. 대관령지역에 있어서 낙농가를 위한 청예용 사초생산에 관한 연구. IV. 사초용 유채(Brassica napus Subsp. oleifera)/호맥(Secale cereale L.) 혼파에 의한 사초생산성 증진에 관한 연구. 한축지. 35(1):60-69
  4. 농촌진흥청. 1988. 토양화학 분석법. 농촌진흥청
  5. 성경일, 김병완, 정종원. 2001. 대관령지역의 배추재배 휴경지에서 사초용 유채, 연맥 및 호밀의 춘파시기 결정헤 관한 연구. 동물자원지. 43(2): 267-276
  6. 신정남. 김병호. 1995. 봄 재배 연맥의 생육시기별 건물수량 및 화학조성분. 한초지. 15(1):61-66
  7. A.O.A.C. 1984.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ed.(Ed. S. Williams). A.O.A.C. Arlington. VA
  8. Caballero, R., E. L., Goicoechea and P. J. Hernaiz. 1995. Forage yields and quality of common vetch and oat sown at varying seeding ratos and seeding rates of vetch. Field Crops Research 41:135-140 https://doi.org/10.1016/0378-4290(94)00114-R
  9. Goe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r. Handbook. 397. ARS. USDA. Beltsvile
  10. Pfeifer, R. P. and Kline, J. P. 1960. A major cause of winter kill of winter oats. Aaron. J. 52 : 621-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