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변여과수 개발을 위한 낙동강 충적층 지하수의 지구화학적 특성연구

Geochemical Study on the Alluvial Aquifer System of the Nakdong River for the Estimation of River Bank Filtration

  • 발행 : 2003.03.01

초록

지하수의 인공함양특성을 해석하기 위한 기초조사로서 낙동강변의 충적층내에 부존하는 자연수의 지구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전체적으로 시추공 및 지표수에 대한 현장측정자료는 시기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연구지역의 자연수는 Ca-$HCO_3$형에서부터 $Ca-SO_4$형에 속하며 특히 미량원소로서 Mn의 함량이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다중패커시스템 (Multi-packer system)에 의해 채취된 시료에 대해 심도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면 Na, Ca, Mg, $HCO_3$의 함량이 심도가 깊어질수록 증가하고 있고, Cl과 $SO_4$의 경우는 맨 하부구간인 18m에서 채취된 시료들이 시료채취시기와 관계없이 매우 낮은 값을 보인다. 미량원소의 경우 문제가 되는 Mn은 시료채취 시기와 관계없이 중간 구간인 13.5m 구간에서 특히 많은 함량을 보이고 있다. 연구지역내 물시료들에 대한 산소와 수소 동위원소 및 삼중수소 함량 분석결과는 다중패커설치공 및 일반 관측공과 지표수들간에 서로 중첩되어 구분이 어렵다. 황동위원소 분석결과는 지하수내 황의 기원이 퇴적암을 구성하는 황산염광물의 용해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스트론튬 동위원소비는 양수정 및 그 인접공의 시료들과 강변에서 인접한 공의 시료들간에 차이는 있으나 명확하지는 않다. 질소동위원소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화학비료로나 토양내의 유기물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Geochemical studies on the alluvial aquifer system near the Nakdong River were carried out for the basic investigation of the estimation of artificial recharge for the river bank filtration. In-situ data do not show any distinct difference between the pumping well and river. Most of waters belong to $_3$ and Ca-$SO_4$ types and show high Mn concentration. In the borehole installed with Multi-Ca-HCOPacker (MP) system, Na, Ca, Mg, $HCO_3$ contents of the groundwater are increased with depth increasing. Cl and $SO_4$ contents of the groundwater show the lowest values at the bottom level (18m depth) and Mn content is very high at the middle level (13.5 m depth) of MP system. There is no distinct difference in the ${\delta}^{18}O$ and D values and tritium content between MP, borehole and surface water samples. The sulfur isotope data indicate that the possible sulfur source is dissolution of sulfate mineral from sedimentary rock. Strontium isotope ratio shows a little differences between the pumping well and observation borehole samples. Nitrogen isotope data indicate that the nitrogen of water samples is originated from fertilizer or organic materials.

키워드

참고문헌

  1. 한국지질도 현풍도폭 (1:50,000) 국립지질조사소
  2. 왜관도폭 (1:50,000) 조선총독부 지질조사소
  3. 자원환경지질 v.32 no.5 중원지역 탄산수의 지구화학적 진화 고용권;윤성택;김천수;최현수;김건영
  4. 자원환경지질 v.33 no.6 문경지역 심부지하수의 수리화학 및 환경동위원소 연구 고용권;김천수;배대석;이동익
  5. 자원환경지질 v.34 no.3 여수 북동부 화산암 지역 시추공 지하수의 지화학 특성 고용권;김경수;배대석;김천수;한경원
  6. 지하수환경 v.7 no.1 유성지역 지열수의 지구화학적 특성 연구 김건영;고용권;김천수;배대석;박맹언
  7. 지질학회지 v.24 no.1 남한의 지하수 및 강수의 안정동위원소 조성 김규한;中井信之
  8. 지질학회지 v.30 no.3 춘천 지역의 기반암 종류에 따른 지표수의 지구화학적 특성 유재영;최인규;김형수
  9. 지하수환경 v.5 no.4 풍기지역 지하수의 수리지구 화학 및 환경동위원소 특성연구 윤성택;채기탁;고용권;김상렬;최병영;이병호;김성용
  10. 지하수환경 v.5 no.3 고령지역 지하수에 대한 지화학적 연구 이재영;김철호;이인호;고인석
  11. 지하수환경 v.4 no.4 국내 화강암질암내심부지하수의 지구화학적 특성 이종운;전효택;전용원
  12. 자원환경지질 v.32 no.6 공주제일광산 수계에 분포하는 지하수, 지표수, 토양 및 퇴적물의 환경지구화학적 특성과 중금속 오염 이찬희;이현구;조애란
  13. 지하수환경 v.4 no.1 동해신광산 터널굴착공사와 관련된 지표수 및 지하수의 유동변화에 대한 조사연구(II)-수리지구화학적 고찰 전효택;이희근;이종운;이대혁;류동우;오석영
  14. 지질학회지 v.31 no.2 삼광광산 편마암에서의 수리지구화학 및 물-암석 상호반응 정찬호;고용권;김수진;김천수
  15. 자원환경지질 v.32 no.5 광주지역 일곡 매립지 주변에서의 하천수 및 지하수 오염 모니터링 차종문;김주용;이병태;김경웅
  16. Groundwater and Pollution Geochemistry Appelo C. A. J.;Postma D.
  17. Geochim Cosmochim Acta v.62 Isotopic ratios and release rates of strontium measured from weathering feldspars Brantley S. L.;Chesley J. T.;Stillings L. L. https://doi.org/10.1016/S0016-7037(98)00082-9
  18. Soil Sci. Soc. Amer. Jour. v.44 Spaial variability in Nitrogen-15 and total nigrogen in some virgin and cultivated soils Broadbent F. E.;Rauschkolb R. S.;Lewis K. A.;Chang G. Y. https://doi.org/10.2136/sssaj1980.03615995004400030017x
  19. Geochim Cosmochim Acta v.60 Kinetic and mineralogic controls on the evolution of groundwater chemistry and $^{87}Sr/^{86}Sr$ in a sandy silicate aquifer Bullen T. D.;Krabenhoft D. P.;Kendall C. https://doi.org/10.1016/0016-7037(96)00052-X
  20. The Geochemicstry of Natural Waters Drever J. I.
  21. Principles and Application of Inorganic Geochemistry Faure G.
  22. Groundwater v.33 Deep bedrock hydrogeologic characterization through the use of multiport monitor wells Hartten A. S.;Genau R. B.
  23. Science v.177 Use of variations in natural nitrogen isotope abundance for environmental studies: a questionable approach Hauck R. D.;Bartholomew W. V.;Bremner J. M. https://doi.org/10.1126/science.177.4047.453
  24. Water Quality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Hounslow A. W.
  25. Handbook of Environmental Isotope Geochemistry : The Terrestrial Environment v.2 Isotope effects of nitrogen in the soil and biosphere Hubner H.;P. Fritz (ed.);J. C. Fontes (ed.)
  26. Water Resour. Res. v.30 Interpretation of isotopic data in groundwater-rock systems: model development to Sr isotope data from Yucca Mountain Johnson T. M.;DePallo D. J.
  27. Isotope Tracers in Catchment Hydrogelogy Tracing Nitrogen Sources and Cycling in Catchments Kendell C.;Kendell C. (ed.);McDonnell J. J. (ed.)
  28. Jour. Korean Soc. v.5 Geochemical modeling of groundwater in granitic terrain: the Yeongcheon area Koh Y. K.;Kim C. S.;Bae D. S.;Yun S. T.
  29. Jour. Hydrology v.61 Nitrogen-isotope analysis of groundwater nitrate in carbonate aquifers: natural sources versus human pollution Kreitler C. W.;Browning L. A. https://doi.org/10.1016/0022-1694(83)90254-8
  30. Groundwater v.33 The use of the multi-packerport monitoring wells for aquifer characterization and plume delineation in a thick alluvial aquifer Landin B. K.;Lauctes B.
  31. Environmental Geology v.32 Development of an apparatus to measure groundwater qualities in situ and to sample groundwater using boreholes Li H.;Horie Y.;Ishii T.;Shimada J. https://doi.org/10.1007/s002540050189
  32. Deep groundwater chemistry, SKB Tech. Rep. 87-07 Wikberg P.;Axelsen K.;Fredlund 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