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Promoting Inter-organizational Linkage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 Focusing on Linkage Experiences and Predictors

지역기반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관간 연계강화에 관한 연구 : 연계경험 및 예측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 Lee, Keum-Jin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 이금진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 Published : 2003.08.31

Abstract

This study is to explore experience on the inter-organizational linkage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nd to find out predictors affecting the linkages. This study used triangulation a way as to combine the advantages of both the qualitative and the quantitative approach. The qualitative approach is based on grounded theory by Strauss & Cobin. The quantitative research used the samples of 122 organizations, and was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results of in-depth interview, interviewees perceived linkage experience as 'turning the eyes on the other organization in community', namely 'the pursue of collaboration'. This concept is classified four types: initiative, cooperative, authoritative and passive type. Second, according to Tobin(1986)'s five phase of the closeness of inter-organizational linkages, our linkages were found to be in third phase, "coordination". Finally, predictors of the attempt of having linkages & linkage strengthening were analyzed by logistic regression & multiple regression. 'The experience of professional training on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nd 'the resource dependency'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with the attempt to have linkages. 'The length of current service', 'the experience of professional training on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nd 'recognition about other organizational activitie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strengthening linkag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lternatives for promoting inter-organization linkage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were proposed.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지역기반으로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을 조합하여 규정하고, 이들간의 연계경험과 연계실태 및 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질적조사와 양적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하는 삼각측정방식(triangulation)으로 진행되었다. 근거이론에 바탕을 둔 Strauss & Cobin의 절차에 따라 한 지역을 선정하여 담당자들의 연계경험을 분석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122개 기관의 연계실태와 연계시도요인, 연계강좌요인을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연계경험은 '다른 기관에 관심돌리기', 즉 '협력추구'과정을 도출되었으며, 협력추구유형으로는 '주도형 협조형 권위형 반응형'으로 분류되었다. 연계실태는 전반적으로 Tobin(1986)의 연계긴밀도 5단계에 따라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관들은 3단계 조정(Coordination)이 필요한 시기로 나타났으며, 정신보건기관과 전통적 재활기관사이에는 '협조(Cooperation)'가 정신보건기관간, 전통적 재활기관간에는'조정'이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계시도'와 '연계강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구성을 개인요인과 조직요인으로 구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중다귀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개인의 '정신장애인 이해를 위한 교육연수경청'이 있을 경우, 조직의 '자원의존도'가 높을수록 연계시도를 할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의 '현 근무지 근무기간'이 길수록, '관련기관 사업인지도'가 높을수록, '정신장애인 이해를 위안 교육연수경험'이 있을 경우, 조직에 '직업재활전담인력'이 있을 경우 연계가 강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관간 연계강화방안을 논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