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Volume 7 Issue 2
- /
- Pages.93-99
- /
- 2003
- /
- 2384-1095(pISSN)
- /
- 2384-1109(eISSN)
Functional MRI Study on Perceiving Orthographic Structure and Simplified Semantic Pictures
의미론적인 단순화된 그림 및 표의문자를 인지하는 과정에 대한 fMRI 연구
- Kim Kyung Hwan (fMRI laboratory, Korean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Human-computer Interaction laboratory, Samsung Advanced Institute of Technology) ;
- Lee Sung Ki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Korean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Song Myung Sung (fMRI laboratory, Korean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Kwon Min Jung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Korean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Chung Jun Young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Korean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Park Hyun Wook (fMRI laboratory, Korean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Korean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Yoon Hyo Woon (fMRI laboratory, Korean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김경환 (한국과학기술원 전기전자공학과, 삼성종합기술원 HCI랩) ;
- 이성기 (한국과학기술원 전기전자공학과) ;
- 송명성 (한국과학기술원 뇌과학연구센터 fMRI 연구실) ;
- 권민정 (한국과학기술원 전기전자공학과) ;
- 정준영 (한국과학기술원 전기전자공학과) ;
- 박현욱 (한국과학기술원 뇌과학연구센터 fMRI 연구실, 한국과학기술원 전기전자공학과) ;
- 윤효운 (한국과학기술원 뇌과학연구센터 fMRI 연구실)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The different perceiving patterns of each picture, alphabetic words and Chinese characters, were widely investigated psychophysically. The more precise localisation can be done in terms of brain activity us-ing functional image technique such as PET and fMRI recently, Until now, there was no fMRI study to make direct comparison between perception of single Chinese character and simplified pictures (pictograph). We have made direct comparison of these two components using modern magnetic resonance techniques. We cannot confirm the right hemispheric dominance for perception of single Chinese character and pictographs. These two kinds of perceiving pattern can be underlying different mechanism.
문자와 그림을 인식하는데 있어 인식패턴의 반구차이는 인지심리학적으로 널리 연구되어왔고 또 증명되어졌다. 일반적으로 그림을 인식하는 있어서는 우반구 우세를 문자를 인식하는 있어는 좌반구 우세를 이야기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 사실을 바탕으로 fMRI 연구를 진행하였다. 동양문화권에서 문자로 사용되고 있는 한자 역시 그림으로 인식한다는 견해가 있다는 것이다. 한자의 인지가 좌반구 또는 우반구 우세라는 엇갈린 견해들이 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한자와 그림의 인식패턴에 대한 반구차이 및 활성화되는 두뇌의 영역을 규명하기 위해 비교 실험하였다. 자극으로 사용되어진 그림은 한자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 단순화된 것이다. 실험 디자인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블록디자인을 사용하였고 SP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론으로 한자와 그림 인식패턴 모두 반구우세성을 이야길 할 경우 시각영역인 후두엽 및 측두엽 부분에서는 우반구 우세가 보이지만 일반적으로 반구우세성을 이야기하기는 무리가 있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