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s of Stress Coping Strategy on Depression and Anxiety in Recipients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 Yoon, Su-Jung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Lee, Chul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Lim, Seong-Hu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Chae, Jeong-Ho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Jun, Tae-Youn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im, Kwang-Soo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윤수정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이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임성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채정호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전태연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김광수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2002.06.15

Abstract

Objective : Increasing in frequency and success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and improved survival rates have led to growing concerns regarding the psychosocial aspects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recipients. In this study, we have examined the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related psychiatric symptom in the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recipients. Methods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sychological stress symptoms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recipients and differences of psychosocial variables between active coping group and passive coping group. Twenty nine recipients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were recruited prospectively and assessed at 2 weeks pretranplant and at 1-2 days posttranplant. Thirty normal controls were recruited. Assessments included a psychiatric interview, a variety of standardized questionnaires (Ways of Coping Questionnaires, Perceived Stress Scale, Hospital Depression and Anxiety Scale, Short-Form 36 Health Survey). Results :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patients showed higher degree of depression (p<0.001) and anxiety (p=0.011) symptoms than normal control group. However, no differences of depression and anxiety symptoms between pretransplant and posttransplant status were showed. And, passive coping group showed higher degree of depression (p=0.046) and anxiety symptoms (p<0.001) than active coping group. Conclusions : Our results suggested that many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recipients would exhibit severe to moderate symptoms of anxiety and depression. Also, it seemed likely that passive coping style might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negative affect such as anxiety and depression.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need to monitor the coping strategies and apply the appropriate psychiatric intervention. And, further prospective studies about long-term survival and psychological adaptive functions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patients are recommended.

연구목적: 본 조혈모세포 이식술의 광범위한 사용 및 시술 후 생존율의 증가와 함께 조혈모세포 이식환자의 심리적 적응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혈모세포 이식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발현될 수 있는 정신과적 증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을 전후하여 환자들의 심리적 스트레스 증상을 평가하였으며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심리적 변인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다. 29명의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가 본 연구에 참여하여 조혈모세포 이식 직전과 직후에 평가를 시행하였으며, 30명의 정상 대조군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평가방법으로는, 면담을 통한 정신상태검사와 여러 가지 표준화된 설문지(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 스트레스 지각 척도, Short-Form 36 Health Survey)를 사용하였다. 결과: 환자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우울(p<0.001) 이나 불안(p=0.011) 의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환자군의 조혈모세포 이식 전후에 우울과 불안은 차이가 없었다 또한 소극적인 대처방식을 사용하는 환자군에서 우울(p=0.046) 이나 불안(p<0.001)의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조혈모세포 이삭 환자들이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심한 우울과 불안 증상을 경험하고 있으며, 비적응적인 수동적 대처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이런 부정적 감정 경험의 정도가 심해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는 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석에 대한 적절한 평가와 정신과적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