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um Levels of IL-$1\beta$, IL-2 and IL-6 in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in Relation to Depression and Stressful Life Events

기능성 위장관 장애에서 혈청 IL-$1\beta$, IL-2, IL-6의 변화 : 우울증 및 스트레스와의 상관성

  • Park, Si-Sung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Kosin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Lee, Sang-Shin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Kosin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Park, Moo-I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sin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Koo, Ja-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sin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Park, Je-Min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chool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Myung-Jung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chool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박시성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이상신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박무인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구자영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제민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김명정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2002.12.15

Abstract

Objectives : Stress induces alteration of gastrointestinal function in which interleukin (IL) and hypothalamo-pituitary-axis are involved. Depression again is associated with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FGID) and interleukins. The author attempted to look into the role of interleukins in the FGID also the association of depression and stress in this context. Methods : Entered were 20 patients with FGID, diagnosed by Rome IT criteria and 20 healthy controls. Depression was measured by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HAM-D), and stress of the last one year by Schedule of Recent Experience (SRE). Serum levels of IL-$1\beta$, IL-2, IL-6 were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and serum cortisol by Fluorescence Polarization Immunoassa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Results: 1) Serum levels of IL-$1\beta$, IL-2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patients with FGID than those in the controls, but level of IL-6 did not differ between two groups. 2) The pati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erum cortisol as well as higher degrees of depression and stress. 3) Positive correlation was noted between depression and serum cortisol, and between depression and IL-2. A trend of negative correlation was seen between depression IL-$1\beta$. Positive correlation was noted between SRE and IL-6 and IL-6 and serum cortisol. Conclusions : It was concluded that FGID might be related to depression and stress. Changes of the interleukins might be involved with elevated cortisol level.

스트레스가 위장관 기능을 변화시키며 이에는 interleukin과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피질 축이 관여한 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우울증이 기능성 위장관 장애 및 interleukin과 연관성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IL-$1\beta$, IL-2, IL-6의 혈청 농도를 기능성 위장관 장애 환자에서 측정하고, 혈청 cortisol 및 우울증과 스트레스의 정도를 조사하여 기능성 위장관 장애에 있어서 interleukin의 역할과 우울증 및 스트레스와의 상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기능성 위장관 장애의 진단을 위한 로마기준 II에 따라 진단된 환자 20명과 건강한 대조군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채취한 혈액에서 혈청을 분리한 다음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방법으로 혈청 IL-$1\beta$, IL-2, IL-6 농도를 측정하고 Fluorescence Polarization Immunoassay 방법으로 혈청 cortisol 농도 를 측정하였다. 우울증상의 정도를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을 이용하여 평가하고, Schedule of Recent Experience를 이용하여 최근 일년간의 스트레스 생활사건의 양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과: 1) 기능성 위장관 장애 환자들의 혈청 IL-$1\beta$, IL-2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나 혈청 IL-6 농도는 차이가 없었다. 2) 기능성 위장관 장애 환자군의 혈청 cortisol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우울증상도 유의하게 더 심하였으며, 스트레스 생활사건의 양 또한 유의하게 더 많았다. 3) 기능성 위장관 장애에서 우울증상의 정도와 혈청 cortisol 간에는 유의한 정상관관계가 있었다. 정도는 IL-$1\beta$와 역상관하는 경향이 있고, IL-2와는 정상관하였다. 스트레스 생활사건의 양파 혈청 cortisol 농도는 IL-6 와 유의하게 정상관하였다 대조군을 포함한 전 집단에서 IL-$1\beta$는 우울 정도, 스트레스 생활사건의 양, 혈청 cortisol 등과 유의하게 역 상관하였다. IL-6와 의하게 정상관하였다. 결론: 기능성 위장관 장애는 우울증 및 스트레스와 연관되며, 우울증, 스트레스가 심할수록 혈청 cortisol이 높았다. 기능성 위장관 장애 환자들에서 IL-$1\beta$, IL-2가 감소되어 있었지만, IL-6는 변화가 없었다. 상대적으로 증가된 혈청 cortisol이 IL의 변화와 관련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