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Volume 32 Issue 1 Serial No. 90
- /
- Pages.19-31
- /
- 2002
- /
- 2234-7518(pISSN)
- /
- 2005-372X(eISSN)
A comparison study of the effects of hypertrophied adenoid tissue on jaws morphology
정상 교합자와 adenoid가 과식증된 부정교합자의 악골 형태의 비교
- Yu, Hyung-Seog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 Park, Sun-Hyung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Ilsan Hospital)
- Published : 2002.02.28
Abstract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hypertrophy of adenoid and jaw morphology during growth, this paper was based on children patients with experimental adenoids (male-15 subjects at each bone age group, female-15 subjects at each bone group) and comparing them to data taken from a control group (male-15 subjects at each bone age group, female-15 subjects at each bone group) with normal respiratory function. The comparisons between the groups were done at each growth stage using cervical vertebrae maturation index(CVMI) of Hassel.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differences in craniofacial morphology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appeared from CVMI 3 and CVMI 4 (aroud adolescent period) in males, and from CVMI 1 in females. 2. The mandibular position of experimental group was more inferior than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appeared at adolescent period(male : at CVMI 4, female : at CVMI 5). 3. Experimental group had greater anterior facial height than control group. This difference seemed a relation with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The difference appears at CVMI 3(11.94
과증식된 아데노이드가 악골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대답은 아직도 논란의 여지가 많다. 일부에서는 구호흡의 병력을 가진 환자에서 좁은 안면 폭경, 돌출된 치아, 안정시 입술의 이개, 전안면고경의 증가, 큰 수평피개와 감소된 수직피개를 보이는 아데노이드 안모(adenoid face)라는 특징적인 안모형태를 가진다고 보고하였다. 반면에 일부에서는 과증식한 아데노이드를 지닌 환자 중 적은 수에서만이 이러한 소견을 나타내면서 아데노이드와 두개악안면 성장과의 관련성을 부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비호흡을 하며 측모두부규격방사선사진 상에서 과증식된 아데노이드가 보이지 않는 정상교합자를 대조군으로 하고 구호흡을 하며 아데노이드가 과증식된 환자들을 실험군으로 하여, 골 연령(bone age)별로 비교함으로써 각 시기마다 구호흡과 악골 형태간의 연관성 여부를 관찰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악골의 형태에 있어서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유의차는 남자에서는 CVMI 3과 CVMI 4(사춘기 전후)에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여자에서는 CVMI 1부터 유의차를 보였다. 2. 실험군 하악골이 남자는 CVMI 4부터, 여자는 CVMI 5부터 하방에 위치하고 있었다. 3. 남자는 CVMI 3부터, 여자는 CVMI 1부터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큰 전안면고경을 보였으며, 이는 주로 전하안면고경의 차이에 의해 발생되었다. 4. 아데노이드는 대조군 남자에서는 CVMI 2(1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