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istical Analysis on Danger Period of Forest Fire by Regions in Korean

통계분석을 이용한 지역별 산불위험시기 구분

  • 김선영 (충북대학교 원예학과) ;
  • 이시영 (임업연구원 산림생태과 산불연구실) ;
  • 안상현 (임업연구원 산림생태과 산불연구실) ;
  • 신영철 (충북대학교 원예학과) ;
  • 오정수 (임업연구원 산림생태과 산불연구실)
  • Published : 2002.03.30

Abstract

Forest fire danger period in nine Provinces (Gangwondo, Kyonggido, Gyeongsangnamdo, Gyeongsangbukdo, Jeollanamdo, Jeollabukdo, Jejudo, Chungcheongnamdo, Chungcheongbukdo) has turned out to be similar to recognize wheth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each Provinces, we used correlation analysis with number of occurrence and damage area by an interval of ten-day period. Based on this analysis, there was significant numbers of occurrence at all areas wish serious burns except Gyeongsangnamdo and Jejudo Provinces. Since persuasive power is insufficient as danger period of forest fire applies equally to nine Provinces, statistical analysis using number of forest fire occurrence and burned area are executed. And then, a analysis of variance(ANOVA) test of significance by an interval of ten day period is carried out.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re showed significant at 1% level for number of occurrence except Jejudo, and is also showed significant at 1% level for burned area except Gangwondo and Chejudo. Through regional correlation analysis for danger period, we classified three parts of Middle region (Gangwondo, Kyonggido, Gyeongsangnamdo, Gyeongsangbukdo, Jeollabukdo, Chungcheongnamdo, Chungcheongbukdo) Southern region (Gyongsangnamdo, Jeollanamdo) and Jejudo region. With respect to forest fire occurrence time, Middle region showed from the middle of February to first of May that amounts to 81% of entire occurrence in this region, and Southern region begins with at the last of January to the middle of April covering 71%. In terms of forest fire burned areas, it appears at the middle of February to the first of May, occupying 98% in Middle region, and Southern region showed burned areas from the last of January to the middle of April amounting to 82% of total occurrences.

전국단위로 시행되고 있는 산불위험시기가 전국 9개 지역(강원, 경기, 경남, 경북, 전남, 전북, 제주, 충남, 충북)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산불발생건수와 피해면적을 가지고 순기별로 구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산불발생건수에서는 모든 지역에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산불피해면적에서는 경남, 제주와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전국을 대상으로 모든 지역을 설명하기에는 부족하므로 전국 9개도를 대상으로 하여 산불위험시기를 구분하기 위하여 산불발생과 피해면적을 이용하여 분산분석의 다중검정을 실시하고 순기별로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산불발생에 있어서 제주를 제외한 지역에서 1% 유의성이 있었고, 산불피해면적은 강원, 제주를 제외한 지역에서 1% 유의성을 보였다. 각 지역별로 위험시기를 구분할 수 있지만 행정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지역별 상관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산불위험시기가 비슷한 중부권(강원, 경기, 경북, 전북, 충남, 충북), 남부권(경남, 전남), 그리고 제주권(제주)으로 분류하였다. 산불발생시기에 있어서는 중부권은 2월중순${\sim}$5월상순까지 전체의 81%가 발생한 반면 남부권은 1월하순${\sim}$4월중순까지 전체의 71%가 발생하였다. 산불피해면적에 있어서는 중부권은 2월중순${\sim}$5월상순까지 전체의 98% 가 발생한 반면 남부권은 1월하순${\sim}$4월중순까지 전체의 82%가 발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관수, 1997, 산불의 예방과 방지 산불생태연구소
  2. 동해시 , 2000, 4.12산불의 교훈
  3. 산림청, 2001, 동해안산불백서 I. II
  4. 안상현, 2000, GIS를 이용한 산불방제방안,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이시영, 1995, 산불발생 위험도 및 연소확대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이시영, 한상열, 안상현, 오정수, 조명희, 김명수, 2001, 강원도 지역 산불발생인자의 지역별 유형화, 한국농림기상학회지 제3권 제3호. pp.135~142
  7. Deeming, J.E., R.E. Burgan, and J.D. Cohen, 1997: The national fire-dangerratjng system, 1978, USDA For. Servo Gen. Tech. Rep. INT, 39
  8. Pyne, S.J., P.L. Andrews, and R.D. Laven. 1996, Introduction to Wildland Fi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