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Intelligence and Scientific Attitude on Understanding in Surrounding Plants

지능과 과학 태도가 주변 식물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2.06.30

Abstract

Understanding the surrounding plants (SP) by the high school students was compared with their abilities of intelligence (SI) and attitude (SA) in science education. 276 students attending 11 grade high school in the city of Incheon selected for this work were tested for SP and their abilities of SI and SA. The rates of SP were observed to be not related to the personal properties of student but to the abilities of total or science achievement scores made throughout school life. The abilities of SP were, by linear regression, calculated to be dependent upon the some components or variables of SI or of SA. Particularly, the abilities of SP were closely related to the abilities of picture matrix and vocabulary, but not to those of scientific logics among variables of SI. Also, the abilities of SP were calculated to be positively related those of scientific attitude, but negatively to science anxiety in SA. As based on this work, the SP was strongly suggested to be helpful for students 'intelligences or for students' learning in their life.

이 연구의 기본 목적은 학습자 변인, 지능, 과학 태도가 주변의 식물 이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2학년 학생 276명을 대상으로 몇 가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거주 및 부모 직업, 생물 태도, 지능, 과학 성적과 교과목성적, 주변 식물의 이해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정 환경적 요인에 따라서 주변 식물 이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습 환경 요인의 수준에 따라서는 차이를 보였다. 학생의 계열, 지능, 생물 태도, 과학 성적 및 교과 성적의 수준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에 비해 식물을 더 잘 이해하였다. 학습환경 요소와 주변 식물 이해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계열과 교과총점이 주변 식물 이해를 예언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지능과 생물 태도의 구인과 주변 식물 이해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특히 지능의 하위 요소 중 어휘력과 과학 불안, 생물 직업이 주변 식물 이해를 예언하는 변인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은정, 이인규(1986). 우리나라 고등학교 생물교육에서 생물의 분류에 관한 분석적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14(1), 8-24
  2. 김대수(1991). 개념 형성론: 개념, 원리, 법칙, 이론. 우신출판사
  3. 김영신, 정완호(2001). 과학적 사고력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규명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3), 590-608
  4. 김영채(1996). 사고와 문제해결 심리학: 인지의 이론과 적용. 박영사
  5. 류면옥(1998). 고등학교 생물 I 교과서에 있는 식물명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6(2). 125-131
  6. 서석조, 성민웅(1982). 중학교 정원식물의 실태 및 중학교 교과서의 식물명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10(1). 18-30
  7. 여성희, 장남기(1998). 초.중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식물 학습 소재 분석 I- 생물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6(1). 85-93
  8. 오복순(1985) . 비취원아의 분류개념 형성에 관한 일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윤희섭, 임영득(2000). 식물명 제시가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들의 식물 인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8(4), 356-362
  10. 임인숙(1994). 유아의 인지양식과 분류개념과의 관계. 유아교육. 4(1). 158-183
  11. 정용재, 서수영(1986). 초.중.고등학교 생물교과서에 나오는 생물명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14(2), 23-71
  12. Magner, L. N.(1993), A History of the Life Sciences. Marcel Dekker. Inc. New York
  13. Rowlands, M.(1995). Against methodological solipsism: The ecological approach. Philosophical Psychology, 8(1), 5-24 https://doi.org/10.1080/09515089508573142
  14. Siegel. A. W., & Fresh. E.(1971). Children`s ability to operation within a matrix: A developmental study. Developmental Psychology, 4(2), 232-239 https://doi.org/10.1037/h0030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