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est Items and the Applicants' Responses on the Chemistry Part in the General Science of College Scholastics Ability Test

대학수학능력시험 공통과학 중 화학 영역의 문항 및 응시자 응답 분석

  • Published : 2002.06.30

Abstract

In this study, the students' responses on the chemistry items of in the general science of College Scholastics Ability Test (CSAT) implemented for the past 3 years since 1999 were investigated. The number of items by content and inquiry process, the average percent correct by content and inquiry process, the distribution of items by the level of percent correct, and the items with high and/or low percent correct were analysed. There were the fewest items in 'environment' area, especially in 'ozon layer', no test item had been made. The most difficult content area was 'acid rain' in 'environment'. By inquiry process, the most number of items belonged to 'analyzing & interpreting data', and 'identifying problems & formulating hypothesis' was the most difficult process. No test item came under the level of 'very difficult', and many items under the 'easy' or 'very easy' level. Students were generally poor at solving test items demanding several concepts, and very good at simply requiring basic concept treated in lower grade.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1999학년도부터 지난 3년 동안 시행된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공통과학 중 화학 영역 문항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을 조사하였다. 내용 영역과 탐구 과정에 따른 문항수, 내용 영역과 탐구 과정에 따른 평균 정답률, 정답률 수준에 따른 문항 분포, 정답률이 높거나 낮은 문항 등을 분석하였다. '환경' 영역에서의 문항수가 매우 적었는데, 특히 '오존층'에 대해서는 한문항도 출제되지 않았다. 가장 어려운 내용 영역은 '환경' 영역의 '산성비'였다. 탐구 과정별로는 '자료 분석 및 해석'에서 가장 많은 문항이 출제되었고, '문제 인식 및 가설 설정'이 가장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아주 어려운 수준'의 문항은 하나도 없고. '쉬운 수준'이나 '아주 쉬운 수준'에 해당하는 문항이 많았다. 학생들은 여러 가지 개념이나 지식을 요구하는 문항을 해결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을 느꼈고, 저학년에서 다루어진 개념만을 요구하는 문항을 쉽게 해결하였다. 교육학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만식, 정창희, 이원식, 홍승수, 이창진, 장병기, 윤용(1996). 고등학교 공통과학. 서울: (주)교학사
  2. 강영희, 조완규, 권숙일, 나일성, 소현수, 조희구, 이민호, 윤길수, 하효명, 서평웅, 김종권, 이영만, 목창수, 이강석(1996). 고등학교 공통과학. 서울: 동아출판사
  3. 교육부(1992). 고등학교 교육과정(I).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4. 김신영, 구창현, 임형, 박정(1998). 대학수학능력시험 결과 보고 및 분석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PRE98-5
  5. 남중욱(1996).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과학탐구영역 문항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노태희와 전경문(1996). High school students' conceptions regarding change of states and dissolution and the relationships with logical reasoning ability. 화학교육, 23(2), 102-112
  7. 마광규(1996).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영향에 대한 조사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박수진(1995).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역사교육현장에 미친 영향과 바람직한 역사과 교수.학습 방법.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 홍미영, 전경문, 이범홍, 이양락(2002). 대학수학능력 시험 화학II 문항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204-213
  10. Osborne, R. J .. & Cosgrove, M. M. (1983). Children's conceptions of the changes of state of water.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9). 825-838 https://doi.org/10.1002/tea.366020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