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농가생산 원유의 유질 및 위생진단에 관한 연구

Studies on Hygienic Status of Raw Milk in Dairy Farms

  • Jin, S.H. (Jeju Agri. Exp. Station, R.D.A) ;
  • Ko, M.S. (Jeju Agri. Exp. Station, R.D.A) ;
  • Lee, C.E. (Jeju Agri. Exp. Station, R.D.A) ;
  • Lee, H.J. (Animal Biotechnology, Jeju National University) ;
  • Kim, E.J. (Jeju provincial Institute for Livestock Promotion)
  • 발행 : 2002.02.28

초록

본 시험은 제주도내 92개 낙농가중 3지역 8개 낙농가 착유우 262두에서 생산되는 우유의 품질을 분석하고, 고품질 우유생산에 저해 요인이 되는 유방염 원인균을 분석 처방하여 체세포 수가 낮은 신선한 고품질의 우유를 생산코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6-10월 중 일일 1두당 평균 산유량은 22.4kg, 평균 유지율은 3.69%였다. 우유내 평균 세균수는 15천/ml로 대체로 양호 하였으며, 체세포 수는 농가 평균 254.6천/ml 였고, 착유우 742분방에 대한 6-10월간 체세포수의 분포 비율은 우유 ml당 20만 이하 68.8%, 20-50만 18.8%, 50만 이상 12.4% 였다. 유방염 원인균별 발생분포는 포도구균성이 47분방으로 가장 많았으며, 연쇄상 구균성 17분방, 바실러스성 12분방 등으로 분석되었다. 산유량, 유지율, 세균 수, 체세포 수를 적용한 농가별 월간 조수입은 두당평균 407천원이였으며, E와 A 농가에서는 456-445천원으로 높은 반면, H농가는 314천원으로 낮아 농가간에 큰 소득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낙농소득 향상을 위해서는 사양체계 개선에 의한 산유량 및 유지 율을 높이고, 위생적인 사양관리로 세균 수를 낮추며, 유방염의 예방 및 정기 검진에 의한 적정 처방으로 체세포 수를 경감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ilk quality produced from dairy farms in Jeju province and to analyze the variety of pathogenes and the number of somatic cells in the milk. Data were collected from 262 lactating cows from 8 farms of three regions an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verage daily milk yields and milk fat contents from June and October were 22.3 kg and 3.7%, respectively. 2. The average number of bacterial counts in raw milk was 1.5${\times}10^4$/ml, but that in farm A was over 3.0${\times}10^4$/ml. 3. The somatic cell counts were 2.5${\times}10^5$/ml in average and those in farm G and H were higher than those in other farms. Their distribution in 262 lactating cows from June to October was as follows; less than 2.0${\times}10^4$ /ml in 68.8% of cows, 2.0-5.0${\times}10^4$/ml in 18.8% of cows and more than 5.0${\times}10^4$/ml in 12.4% of cows. 4. Of the 113 isolates (compartments of cow udder) from mastitic milk, Staphylococcus aureus was found in 47, Streptococcus ogalatiae in 17 and Bacillus in 12. 5. The average monthly income of the farmers was 407 thousand won/head, and that in farm A or E was higher than that of farm H (456-475 thousand won vs. 314 thousand won) In conclusion, to improve income dairy farmers should reduce the somatic cell counts in the milk and mastitis infection through regular disinfection and inspec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Cowan, S. T. 1974. Cowan and steel’s manual for the identification of edical bacteria. Cambrige Uni. Press. London., 238pp.
  2. Elmer, W. K., Stephen, D. A., Dowell, U. R. and Jr., H. M. S. 1979. Color. Atlara and Textbook of diagnostic microbiology. J. B. Lippin cott comapny 495pp.
  3. Griffith, M. F., Phillips, J. D. and Muir, D. D. 1981. Thermostability of protease and lipases from a member of species of psychrotrophic bacteria of dairy origin. J. Appl. Bacteriol. 50:279-303.
  4. Langeveld, L. P. M. and Cuperus, H. 1980. The relation between temperature and growth rate in pasteurized milk of different type of bacteria which are important to deterioration of that milk. J. Netherland milk & Dairy 34:106-125.
  5. Law, B. A., Sahrpe, M. E. and Chapman, H. R. 1976. The effect of lypolytic gram negative psychrotrophs in stored milk on the development of rancidity in cheddar cheese. J. Dairy Res. 43: 459-468. https://doi.org/10.1017/S0022029900016046
  6. MacFaddin, J. F. 1980. Biochemical tests for identification of medical bacteria. 2nd Ed. Williams & Wilkins company, Baltimore.
  7. Mikolajcik, E. M. 1979. Psychrotrophic bacteria and dairy product quality. I. Major organisms involved and defects produced. Cultured dairy products J. 14:6-10.
  8. Schalm, O. W. and Noorlander, D. O. 1957. Experiment and observations leading to development of the California mastitis test. J. A. V. M. A., 130(5):199-209.
  9. 강희정. 2001. 제주지역 젖소의 유방염 원인균 분리 및 약제 감수성 검사.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고광수, 김두. 1991, 강원지역의 젖소 유방염 감열율 및 원인균에 관한 연구. 한국임상수의학회지. 8(1):47-51.
  11. 노상호. 1999. 체세포 수와 우유의 품질. 낙농육우. '99. 6:109-111.
  12. 손봉환. 1991. 원유의 질과 유방염 관계. 유가공연구회지. 8(2):66-87.
  13. 손봉환, 1994. 유방염 감염조사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최근 3년간(’91~’93) 유방염 발생실태에 관한 최종 보고서). 한국가축위생학회 단행본, 189pp
  14. 손봉환, 최진영, 배도권, 정충일. 1997. 유질 개선을 통한 낙농가 소득증대. 한국가축위생학회지. 20(3):261-279.
  15. 신현성, 1988, 최신 일반미생물학실습, 고려의학 출판사, 서울, 407pp.
  16. 육종륭. 1986. 낙농학요론. 선진문화사.
  17. 이정규. 1999. 낙농목장 경영기록 해석과 개선전략. 한국낙농육우협회.
  18. 정충일. 1991. 최근 원유의 미생물학적 품질. 유가공연구회지. 8(2):92-98.
  19. 정충일. 1995. 유대 차등지불제도의 차후 개선방향. 고품질 안전우유 생산을 위한 학술심포지움: 61-67.
  20. 제주도. 2000. 축산사업추진계획. 제주도.
  21. 주이석. 1988. 유방염과 체세포 줄이기. 낙농육우. 3:134-139.
  22. 축협. 1998. 젖소산유능력검정사업보고서. 축협중앙회 유우개량사업소.
  23. 최현식, 남은숙, 강현미, 정충일. 1998. 낙농지도가 원유의 위생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낙농학회지. 20(1):45-52.
  24. 한홍율, 1993. 유방염 대항조치(번역판). 서울대 유방염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