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 뇌 혈류 영상에서 방사성의약품에 따라 혈류 분포에 차이가 있는가: 통계적 파라미터 지도를 사용한 분석

Different Uptake of Tc-99m ECD and Tc-99m HMPAO in the Normal Brains: Analysis by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 김의녕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 정용안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 손형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 김성훈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 유이령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 정수교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Kim, Euy-Neyng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Jung, Yong-A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Sohn, Hyung-Su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im, Sung-Hoo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Yoo, Ie-Ryung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Chung, Soo-Kyo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발행 : 2002.08.30

초록

목적: 이번 연구는 두 명의 경험 있는 핵의학과 의사에 의하여 정상이라고 판독된 뇌 혈류 단일광자방출전신화단층촬영 영상에서 사용한 방사성의약품에 따라 혈류 분포에 차이가 있는지를 통계적 파라미터 지도를 사용하여 분석하여 보았다. 대상 및 방법: 정상이라고 판독된 뇌 혈류 단일광자방출전산화단층촬영 53 증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고, 그 중 32증례는 Tc-99m ECD를 방사성의약품으로 사용하였으며 나머지 21 증례는 Tc-99m HMPAO를 방사성의약품으로 사용하여 획득한 영상이었다. 모든 뇌 혈류 단일광자방출전산화단층촬영 영상은 통계적 파라미터 지도 분석에 적합하도록 미리 표준화 시킨 후 분석을 시행하였고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두 그룹간에 corrected P value가 0.05 이하인 경우에 서로 의미 있는 차이라고 해석하였다. 결과: 정상으로 판독된 뇌 혈류 단일광자방출전산화단층촬영 중에서도 방사성의약품을 어느것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분명한 혈류 분포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Tc-99m ECD를 사용한 뇌 혈류 단일광자방출전산화단층촬영에서는 Tc-99m HMPAO를 사용하였을 때 보다 전두엽, 측두엽, 후두엽, 기저핵, 시상 및 소뇌의 상부 등 광범위한 부위에서 높은 혈류분포를 보였으며 반대로 Tc-99m HMPAO를 방사성의약품으로 사용한 경우에는 Tc-99m ECD를 사용하였을 경우보다 전두엽의 피질하 부위, 측두엽 일부 및 소뇌의 하부 등 국소적인 부위에서 상대적으로 증가된 혈류분포가 관찰되었다. 결론: 통계적 파라미터 지도를 사용하여 분석하여 본 결과 정상으로 판독된 뇌 혈류 단일광자방출전산화단층촬영에서 사용된 방사성의약품에 따라 유의한 혈류분포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뇌 혈류를 평가하는데 있어서는 어떠한 방사성 의약품을 사용하였는가를 반드시 고려하여야 한다.손상 환자들의 정신의학적 후유 장애에서 임상심리평가에 보조적 역할을 한다.n{\pm}S.D.$) 이다. 결론적으로 기존의 신장깊이를 구하는 여러 방법들과는 달리 본 연구를 통해 핵의학 영상만으로도 개인차가 고려된 신장깊이를 얻어낼 수 있게 되었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신장깊이 계산 방정식을 이용하여 구한 신장깊이는 방사성동위윈소 주입 후 감마카메라를 이용하여 집적된 계수를 이용하여 구하는 것이 되므로 개개인의 개인차는 물론 좌신과 우신에 따른 차이도 고려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연구에서 개발된 신장깊이 계산 프로그램의 임상 응용에서의 적용을 위해서는 신장에 도달하는 방사성 동위윈소의 방사능양과 효율적일 관심영역 크기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며 좀더 정확하고 개인차가 고려된 신장깊이가 계산될 것이라고 사료된다.발한 핵의학 영상의 정량적 분석을 통한 신장기능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장 기능을 분석한 결과, 타당성 있는 결과를 도출하여 그 유용성을 입증하였다. 이 개발 프로그램은 좀 더 다양한 임상응용 목적의 분석기능을 사용자가 직접 개발, 추가하기가 용이하여 기존 상용 프로그램보다 연구적 활용범위가 크다고 사료된다.2.2{\pm}0.4\;(1.6{\sim}3.2){\mu}g/ml$와 $1.4{\pm}0.2\;(0.8{\sim}1.6){\mu}g/ml$로서(p=0.16), 표준균주 3종 모두에서 Infecton의 MBC 또한 ciprofloxacin에 비해 $2{\sim}4$배가 높았다. 결론: Tc-99m Infecton은 ciprofloxacin 보다는 약하였지만 표준균주에 대해 생체외 항균력을 보였다.를 보였고 또한 다변량분석에서 휴식기의 관류지수는 좌심실 확장을 예측할 수 있는 유일한 지표였다. 또한 작은 수의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technetium-99m ethyl cysteinate dimer (Tc-99m ECD) and technetium-99m hexamethylpropylene amine oxime (Tc-99m HMPAO) uptake in the normal brain by means of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SPM) analysi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age and sex matched 53 cases of normal brain SPECT. Thirty-two cases were obtained with Tc-99m ECD and 21 cases with Tc-99m HMPAO. There were no abnormal findings on brain MRIs. All of the SPECT images were spatially transformed to standard space, smoothed and globally normaliz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c-99m ECD and Tc-99m HMPAO SPECT imag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SPM'99) software. The differences bgetween the two groups were considered significant ant a threshold of corrected P values less than 0.05. Results: SPM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ly different uptakes of Tc-99m ECD and Tc-99m HMPAO in the normal brains. On the Tc-99m ECD SPECT images, relatively higher uptake was observed in the frontal, parietal and occipital lobes, in the basal ganglia and thalamus, and in the superior region of the cerebellum. On the Tc-99m HMPAO SPECT images, relatively higher uptakes was observed in subcortical areas of the frontal region, temporal lobe, and posterior portion of inferior cerebellum. Conclusion: Uptake of Tc-99m ECD and Tc-99m HMPO in the normallooking brai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on SPM analysis. The selective use of Tc-99m ECD of Tc-99m HMPAO in brain SPECT imaging appears especially valuable for the interpretation of cerebral perfusion. Further investigation is necessary to determine which tracer is more accurate for diagnosing different clinical condi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Greenberg JH, Lassen NA. Characterization ofTc-99m bicisate as an agent for the measurementof cerebral blood flow with SPET. J CerebBlood Flow Metab 1994;14: S36-43.
  2. Walovitch RC, Hill TC, Garrity ST, CheesmanEH, Burgess BA, O'Leary DH, et al:Characterization of Tc-99m-L,L-ECD for brainperfusion imaging. Part 1. Pharmacology ofTc-99m-ECD in nonhuman primates. J NuclMed 1989;30:1902-10.
  3. Van Dyck CH, Lin CH, Smith EO, Wisniewski G, Cellar J, Robinson R, et al. Comparison of Tc-99m-HMPAO and Tc-99m-ECD cerebral SPET images in Alzheimer's disease. J Nucl Med 1996;37:1749-55.
  4. Rieck H, Adelwohrer C, Lungenschmid K,Deisenhammer E. Discordance of Tc-99mHMPAOand Tc-99m-ECD SPET in herpessimplex encephalitis. J Nucl Med 1998;39:1508-10.
  5. Lee JD, Kim DI, Ryu YH, Whang GJ, Park CI,Kim DG, et al. Tc-99m-ECD brain SPET incerebral palsy: comparison with MR!. J NuclMed 1998;39:619-23.
  6. Friberg L, Andersen AR, Lassen NA, Holm S,Dam M. Retention of Tc-99m bicisate in thehuman brain after intracarotid injection. J CerebBlood Flow Metab 1994;14:S19-27.
  7. Leveille J, Demonceau G, Walovitch RC.Intrasubject comparison between Tc-99m- ECDand Tc-99m-HMPAO in healthy human subjects.J Nucl Med 1992;33:480-4.
  8. Pupi A, Castagnoli A, De Cristofaro MT,Bacciottini L, Petti AR. Quantitative comparisonbetween Tc-99m HMPAO and Tc-99m ECD:measurement of arterial input and brainretention. Eur J Nucl Med 1994;21:124-30.
  9. Matsuda H, Li YM, Higashi S, Sumiya H, TsujiS, Kinuya K et al. Comparative SPECT study ofstroke using Tc-99m ECD, 123 I-IMP andTc-99m HMPAO. Clin Nucl Med 1993;18:754-8.
  10. Friston KJ, Holmes AP, Worsley KJ. Statisticalparametric maps in functional imaging: a generallinear approach. Human Brain Mapping 1995;2:190-210.
  11. Friston KJ, Ashburner CD, Frith CD. Spatialregistration and normalization of images. HumanBrain Mapping 1995:3;165- 89.
  12. Patterson JC, Early TS, Martin A, Walker MZ,Russell JM, Villanueva-Meyer H, et al. SPETimage analysis using statistical parametricmapping: comparison of Tc-99m- HMPAO and Tc-99m-ECD. J Nucl Med 1997;38:1721-5.
  13. Hyun IY, Lee IS, Rha JR, Lee IK, Ha CK, LeeDS. Different uptake of Tc-99m ECD andTc-99m HMPAO in the same brains: analysis by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Eur J Nucl Med2001;28:191-7.
  14. Oku N, Matsumoto M, Hashikawa K, MoriwakiH, Ishida M, Seike Y, et al. Intra-individualdifferences between Tc-99m-HMPAO and Tc99m-ECD in the normal medial temporal lobe. JNucl Med 1997;28:1109-1l.
  15. Perry TL, Berry K, Hansen S, Diamond S, MokC. Regional distribution of amino acids inhuman brain obtained at autopsy. J Neurochem1971;18:513-9.
  16. Asenbaum S, Brucke T, Pirker W, Pietrzyk U,Podreka I. Imaging of cerebral blood flow withTc-99m-HMPAO and Tc--99m-ECD: a comparison.J Nucl Med 1998;39:613-8.
  17. Heiss WD, Herholz K, Podreka I, Neubauer I,Pietrzyk U. Comparison of [99m Tcl HMPAOSPET with es Fjfluoromethane PET in cerebrovasculardisease. J Cereb Blood Flow Metab1990;10:687-97.
  18. Koyama M, Kawashima R, Ito H, Ono S, SatoK, Goto R, et al. SPECT imaging of normalsubjects with technetium-99m- HMPAO andtechnetium-99m-ECD. J Nucl Med 1997;38:587-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