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수산시장에 유통중인 젓갈류의 세균 분포

Bacterial Distribution of Salt-Fermented Fishery Products in Seoul Garak Wholesale Market

  • 발행 : 2002.12.01

초록

2002년 3-5월 서울시 가락농수산물시장에서 구입한 젓갈류 72건(새우젓류 21건, 명태젓류 9건 및 조개젓류 9건, 오징어젓, 밴댕이젓 및 멸치젓 각각 7건, 황세기젓 5건, 꼴뚜기젓 3건 그리고 굴젓 및 갈치젓 각각 2건)을 대상으로 세균분포를 시험한 결과, 평균 염도는 17.2%, 1 ml당 일반세균수는 4,900, 대장균군수 44, 비브리오속균수 160, 포도상구균속균수 3,000 CFU/m1로 각각 집계되었고, 젓갈별 세균 분리 동정결과, 오징어젓에서 13주, 꼴뚜기젓과 추젓에서 각각 11주, 명란젓과 조개젓에서 각각 9주, 멸치젓에서 7주 등 총 93주의 세균이 분리되었다. 세균의 생화학적 분리 동정 결과 대장균군 35.5%(33/93), 비브리오속균 8.6%(8/93) 그리고 포도상구균속균 12.9%(12/93)로 분리되었고, 대장균군의 경우 E. cloacae가 15주로 가장 많았으며, 비브리오속균의 경우 V. alginolyticus가 5주, V. fluvialis가 3주, 포도상구균속균의 경우 S. lentus가 5주로 가장 많았다.

It was performed to survey bacterial distribution on 72 salted fermented fishery products in Seoul Garak wholesale market from April to May in 2002. In average values of biological aspects, salts were 17.2%, in microbiological aspects (Unit: CFU/ml, bacterial cell count 4,900, coliforms 44, Vibrio spp., 160, Staphylococcus spp., 3,000 respectively. Of 93 isolated cells, coliforms were 35.5% (33/93), Vibrio spp. 8.6% (8/93) and Staphylococcus spp. 12.9% (12/93). E. cloacae was the highest (15/33) in coliforms, V. alinolyticus were the most (each 5/8) in Vibrio spp., In case of Staphylococcus spp., S. lentus was the best (5/12).

키워드

참고문헌

  1. 허성호: 젓갈제품의 미생물학적 품질표준화에 관한 고찰. Korean J. Soc. Food Sci. Nutr 25(5), 885-891 (1996)
  2. 임상빈, 양문식, 김수현, 목철균, 우건조: 초고압처리에 의한 저염 멸치젓의 품질변화. Korean J. Food Sci. Technol, 32(1), 111-116 (2000)
  3. 김영만, 이원재, 정윤미, 허성호, 최성희 : 저염 오징어 젓갈 제조방법 및 향미 성분, 2. 온도, 염도 및 pH가 저염 오징어 젓갈 숙성 세균의 발육에 미치는 영향. Korean J. Soc. Food Nutr 24(4), 631-635 (1995)
  4. 임상빈, 좌미경, 목철균, 우건조: 초고압 처리한 멸치젓의 저장 중 품질변화. Korean J. Food Sci. Technol, 32(2), 373-379 (2000)
  5.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Bacteriological analytical manual, 7th ed. AOAC, International., (1992)
  6. Marshall, R.T.: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dairy products, Washington.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1993)
  7. 식품의약품 안전청: 식품공전.문영사, pp 78-111 (2000)
  8. 홍연, 김정희, 안병학, 차성관 : 젓갈의 숙성 및 저온저장이 미생물 균수 및 균총에 미치는 영향. Korean J. Food Sci. TechnoI., 32(6), 1341-1349 (2000)
  9. 김동호, 김재훈, 육홍성, 안현주, 김정옥, 손천배, 변명우: 감마선 조사된 저염 오징어 젓갈 발효의 미생물총 특성. Korean J. Food Sci. Technol., 31(6), 1619-1627 (1999)
  10. 김재훈, 이경행, 안현주, 차보숙, 변명우 : 감마선 이용 저염 오징어 젓갈 제조시 미생물적,관능적 품질변화. Korean J. Food Sci. Technol, 31(4), 1050-1056 (1999)
  11. Young-Man Kim, Yun-Mee Jeong and Jeong-Hwa Hong: Processing conditions for Low-Salted Squid Jeotkal. 韓水誌, 26(4), 312-320 (1993)
  12. 함희진, 안미진, 박석기 : 식수에서 분리한 대장균군의 생화학적 성상에 의한 균종별 분포. J. Fd Hyg. Safety, 14(3), 227-232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