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elf and the Spouse and Marital Quality : Comparison between the Husband and the Wife

본인과 배우자의 성격특성이 결혼의 질에 미치는 영향: 남편과 부인의 비교 연구

  • 오선주 (인하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아동학과)
  • Published : 2002.10.01

Abstract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s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n marital quality of the husband and the wife. Marital quality was measured in two aspects: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conflict. At the first step of the regression analysis, socio-demographic variables were entered, at the second step, variables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at the third step, variables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pouse were added. Age group of 35 and under is higher in marital satisfaction or lower in marital conflict than that of 36 to 40. People who grew up in Chungchung area are lower in marital satisfaction compared to those who grew up in Seoul and adjacent area, and those who grew up in Chunla area are higher in marital satisfaction. Marital conflict increases when people are less educated. Marital conflict decreases when the husband has high income. Religion is related to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conflict of the husband. Stability is related to both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conflict. Sociability of the wife is related to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conflict of the husband, and responsibility of the wife is related to her own marital conflict. Responsibility of the husband is related to marital conflict of the wife. This result shows that the husband is expected to perform the instrumental role and the wife the expressive role.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hould be considered when family life education programs for couples are constructed. First, family life cycle needs to be considered when family life education programs are offered. Second, regional differences in family culture should be put into consideration. Third, the idea that conjugal role relationships can be flexible needs to be included in family life education programs. Fourth, programs to improve stability, responsibility and sociability are needed for wives. Fifth, programs to improve stability and responsibility should be offered in work settings for husbands.

Keywords

References

  1. 권희완(1994). 부부관계의 인식에 관한 연구. 여성한 국사회연구회(편) 한국가족의 부부관계. 서울:사회문화연구소
  2. 금온순(1996). 자아분화수준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갑숙, 최외선(1992). 아내가 인지한 부부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학지. 10(2),133-143
  4. 김경신, 김오남(1996). 맞벌이 부부의 역할기대 및 역할갈등과 결혼만족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2), 1-18
  5. 김덕일(1996). 애착유형에 따른 부부간의 사랑유형과 결혼만족도.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영희(2000). 성격유형과 유머감각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5(1), 121-138
  7. 김현정, 김명자(1999). 근원가족 건강도, 자아존중감, 결혼적응의 관계-청주시 결혼초기부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2), 39-60
  8. 김혜경(1996). 노년기 부부관계에 따른 결혼만족도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문경실(1995). 남편의 직업만족도와 결혼만족도가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전업주부 부부를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박수선(1996). 주부의 취업여부에 따른 자아분화 수준과 결혼만족도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박숙경(1996) 부부간의 의사결정 및 역할수행구조와 결혼적응 자녀를 둔 서울시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송성자(2001), 효댁문화와 가족치료 법문사
  13. 이미숙(2000). 부인의 취업상태에 따른 부부의 성역 할태도와 부인의 가정성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4), 145-161
  14. 이상로, 변창진, 진위교(1989). 표준화성격진단검사. 서울코리안테스팅센타
  15. 이선희(2000). 부부의 MBTI 성격유형의 유사성과 의사소통 및 결혼만족도의 관계. 가톨릭대학 교석사학위논문
  16. 이수정(1997). 맞벌이부부의 가족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이영숙, 박경란, 전귀연(1999). 가족문제. 학지사
  18. 이종숙(1987), 주부의 내외통제성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이창만(1992). 자아분화수준에 따른 부부갈등과 부부적응.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장현희(1989). 남성과 여성의 결혼만족의 근거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정성순(1998). 대학생의 성격유형에 따른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의 차이분석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정승혜(1988). 부부의 성역할태도에 따른 결혼만족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조원표(1997). 고등학생의 성격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차이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조은숙(1990). 남편의 직무관련변수와 부인의 결혼적응 간의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최규련(1984). 부부의 성역할태도와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1). 대한가정학회지, 22(2), 91-102
  26. 최규련(1993). 맞벌이부부의 결혼만족도와 우울증에 관한 연구-학동기 자녀를 둔 맞벌이부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1(1), 61-84
  27. 최규련(1994). 가족체계유형과 부부간 갈등 및 대처방안에 관한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2), 140-152
  28. 최재석(1982). 한국가족연구. 일지사
  29.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1). 한국의 보건복지지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0. 홍보선(1994). 부부간 의사소통 효율성 및 의사결정 유형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흥원희(1992). 성격특성이 스트레스 빛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홍정희(1995). 도시주부의 배우자 역할 평가와 결혼만족도-대구시 주부를 중심으로-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홍지영(1995). 청소년의 성격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양식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Crohan, S.E. (1996). Marital quality and conflict across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in African American and white coupl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8,933-944 https://doi.org/10.2307/353981
  35. Larson, J.H. & Holman, T.B. (1994). Premarital predictors of marital quality and stability. Family Relations, 43, 228-23 https://doi.org/10.2307/585327
  36. Oh, S.J. (1997). The change of the sex ratio at birth and son preference in Korea. Proceedings of the 9th Conference of Asian Regional Association for Home Economics, 127
  37. Rogers, S.J. (1996). Mothers' work hours and marital quality: Variations by family structure and family siz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8,606-617 https://doi.org/10.2307/353721
  38. Weigel, D.J. & Ballard-Reisch, D.S. (1999). How couples maintain marriage: A closer look at self and spouse influences upon the use of maintenance behaviors in marriages. Family Relations, 48, 263-269 https://doi.org/10.2307/585635
  39. Wilkie, J.R., Ferree, M.M. & Ratcliff, K.S. (1998). Gender and fairness: Marital satisfaction in two-earner coupl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0, 577-594 https://doi.org/10.2307/353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