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Consumer Education on Food Labels

식품표시에 관한 소비자 교육의 효과

  • 이경애 (순천향대학교 응용과학부 식품영양전공) ;
  • 김향숙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2002.10.01

Abstract

The effect of consumer education on food label was investigated by conducting a survey. The questionnaire had been collected from university students in Choongnam and Chungbuk province, and total 462 answ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food label appeared to be improved by consumer education. Especially, the respondents showed a good understanding on food additive labeling after consumer education. However, most respondents misrecognize 'sell by date' as 'expiration date'. The results suggested the necessity of consumer education on the shelf life of foods.

식품표시에 관한 소비자 교육 자료를 개발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소비자 교육을 실시한 다음, 소비자 교육의 효과는 설문지법으로 검토하였다. 식품표시의 정의, 목적, 법적 규정에 대해 올바르게 인식하고 있는 응답자의 비율은 소비자 교육을 실시한 후에 6.5-9.7% 정도 증가하였으나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유통기한에 대해서는 '판매할 수 있는 최종일'로서 바르게 답한 응답자는 교육 후에 16.7%정도 증가되었으며,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은 반드시 먹을 수 없다'고 답한 응답자가 교육 실시 후에 26.8% 증가되었다. 표기해야 하는 원재료명의 수(p<0.01)와 표기 순서(p<0.001)에 대한 응답은 교육 전과 교육 후에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원재료명의 수에 대한 질문인 '모든 원재명을 표기해야 한다'에 대해 '아니오'라고 답한 응답자는 교육 후에 48.5%로 크게 증가되었고, 원재료명의 표시순서에 대한 질문인 '가장 먼저 표시된 원재료명은 가장 적게 사용된 것이다'에 대해 '아니오'라고 답한 응답자는 교육 후에 0.6% 증가되었다. 한편 원재료 중 식품 첨가물의 표시방법과 사용 이유에 관한 응답은 교육 전과 교육 후에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1). 식품 첨가물의 표시방법에 관한 질문인 '식품 첨가물은 성분 또는 원재료명과 구별없이 표시하고 있다'에 대해 '예'라고 바르게 답한 응답자는 교육 후에 42.0% 증가되었다. 식품 첨가물의 사용 이유에 관한 질문에 대해 바르게 답한 응답자는 교육 후에 10.5% 증가되었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문항에서 교육 효과를 볼 수 있었으며, 특히 식품 첨가물의 표시방법에 대한 교육 효과가 가장 좋게 나타났다. 한편 유통기한의 정의는 바르게 이해하고 있었으나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은 반드시 먹을 수 없다고 답한 응답자 교육 후에 상당히 증가하여 유통기한의 활용에 대한 보다 철저한 소비자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식품위생법규교재 편찬위원회 : 식품위생법규, 광문각, p.54, 1997
  2. 增尾淸 : 食品表示がか本 農文協, pp.6-7, 1993
  3. Marks, L : What's in label? Consumers, public policy and food labels, Food Policy, pp.252-258, 1984
  4. Park, HR, Min, YH. and Jung, HR : A basic research for the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nutrition labeling (II), comparative perceptions of consumers, Producers and goverrnment officials, Korean J. Dietary Culture, 10:175-184, 1995
  5. Kim, HS, Baik, SJ and Lee, KA : Consumers'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food labe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4):948-953, 1999
  6. Lee, KA and Kim, HS : Consumers'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for shelf life and ingredient listings in food label, Korean J. Soc. Food Sci., 17(4):405-411, 2001
  7. Lee, KA and Kim, HS : Consumers' understanding of food labels, J. Natur. Sci. Soonchunhyang Univ., 7(2): 239-242, 2002
  8. 食品衛生調査會合同部會 : 食品の日付表示は使用期限 と品質保持期限表示へ, 食品工業, 37(11):91-92, 1994
  9. 食品の期限表示で, 厚生省と農林省が局長通達, 食品工業, 38(7):42-48, 1996
  10. 林田耕一郞 : 食品の日付表示のあり方, 食品工業, 37 (1):72-77, 1994
  11. Park, HR and Min, YH : A basic research for the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nutrition labeling : with a reference to the consumer awareness, Korean J Dietary Culture, 10:155-166, 1995
  12. 食品表示硏究會 : 食品表示マ二ユアル, 中央法規出版, pp. 101-105, 1996
  13. Lee. KA : Food labeling system of foreign countries -Food labels in Japan-, 2nd workshop on the establishment of food labeling system, pp.8-17, 1998
  14. FDA : Code of federal regulation,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