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제2권2호
- /
- Pages.53-63
- /
- 2002
- /
- 1598-4877(pISSN)
- /
- 2508-6723(eISSN)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정보 가전 OSD의 사용성 평가
Usability Evaluation of Informative Home Appliances OSD based on Conjoint Analysis
초록
최근 전자기술의 발달과 함께 제품들이 인간의 지적 측면을 지원하는 스마트한 제품으로 변하면서 OSD는 이런 제품의 입출력을 담당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본체의 외형 못지 않게 제품개발의 핵심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특히 영상기기와 정보기기의 경우 그 중요성은 더 커진다. 이런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하드웨어 본체에 탑재하는 부속물로서 취급되어 많은 검증과 평가를 통해 개발되는 하드웨어 본체에 비하여 단순하고 개별적인 사용성평가만을 통해 개발되고 있다. 즉 얼마나 빨리 주어진 기능을 수행하는지 사용하는데 애로는 없는지 등 개별적인 속성에 대한 수행도 위주의 사용성평가에 그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수행도 위주의 사용성평가에서 탈피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주관적 선호도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입장에서 중요한 속성은 무엇이며 또 그러한 속성의 각 수준에 사용자가 부여하는 가치는 어느 정도인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제 제품을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환경 하에서 사용하게 한 후 선호도를 측정하였으며 컨조인트분석에 의하여 각 속성의 중요도 및 각 수준의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사용성평가 및 분석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프로세스의 최종단계로서 진행되는 것이 아닌 초기단계부터 그 방법과 내용, 또 어떻게 디자인에 피드백할 것인가 등을 계획하여 반복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As the microelectronics technology is developed, new types d smart intelligent produce are being emerged. OSD user interface is one of the critical factor in this kind of product, especially brown goods and information devices, as it is responsible for input and output function. OSD is being treated as accompaniment to hardware in spite of its importance, and therefore is developed from only simple and separate usability testing based on performance measurement. This study propose a usability evaluation method of OSD based on subjective preference to support existing usability testing.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is to make dear what is important factor and how its preference level is from the user's viewpoint. The various attributes of OSD are clarified from user's questionaire and interview, and orthogonal array is generated with specifed factor levels. The prototypes are generated from rapid prototyping tool and tested in natural simulation environment. The preference data which collected in this usability testing is analyzed with conjoint analysis module. This usability evaluation is not the final stage in user interface design process but the early famed and circulated s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