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urification Chara00cteristics of Bentonite with Dry-Based Process

벤토나이트광의 건식 정제 특성 연구

  • 정수복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활용연구부) ;
  • 김완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활용연구부) ;
  • 채영배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활용연구부) ;
  • 임정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활용연구부)
  • Published : 2002.12.01

Abstract

Dry-based processes such as crushing, milling, sieving, magnetic and gravity separation were employ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urification characteristics of bentonite. The CECs of Gampo 13 and 35 bentonites were estimated at 88.3 and 93.3 meq/100 g and the samples contained quartz and feldspar as impurity minerals. According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constituent minerals of bentonite, the purification techniques were adopted to enhance the grade of montmorillonite High grade of montmorillonite could be obtained by the combination of each process. Consequently, the recovery of final products of Gampo 13 and 35 bentonite were 68.6 and 49.5%, and the CECs of them were 96.9 and 109.6 meq/100 g, respectively.

파·분쇄, 체가름, 자력 및 비중 선별과 같은 건식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벤토나이트 광의 고순도화 특성을 고찰하였다. 시료로 사용한 감포 13호 및 감포 35호 시료의 CEC는 88.3, 93.3 meq/100 g이었으며, 석영, 장석과 같은 불순 광물을 함유하고 있었다. 벤토나이트를 구성하는 광물들의 물리적 특성차이를 이용한 정제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몬모릴로나이트의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이들의 복합 공정에 의한 처리 결과 고품위의 몬모릴로나이트를 회수할 수 있었다. 복합 공정에 의한 처리 결과, 감포 13호와 35호의 회수율은 각각 68.6, 45.9%이었으며 회수된 산물의 CEC 는 96.9, 109.6 meq/100 g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일본벤토나이트 공업회 (1986) 표준시험방법 JBA-106-77.
  2. 채영배, 정수복, 김완태, 현종영, 신동철, 조효영(2001) 국내산 벤토나이트를 이용한 노노복합재용 고순도 원료 소재화 기술. 자원활용소재워크샾,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5-214.
  3. 황진연, 박성환, 황한석 (1997) 국내 토목용 벤토나이트의 물리화학적 특성. 지질공학회지, 7, 127-137.
  4. Carter, D.L Mortland M.M., and Kemper W.D.(1986) Method of Soil Analysis. 2nd ed., Am. Soc. Agron. & Soil Sci. Soc. Am., 413-422.
  5. Mason, B. and Berry L.G. (1968) Elements of Mineralogy. W. H. Freeman and Company, San rancisco and London. 550.
  6. Wang, M.K., Wang S.L., and Wang W.M. (1996) Rapid estimation of cation exchange capacity of soil and clay with methylene blue exchange. Soil Sci. Soc. Am. J.. 60, 138-141.